가로는 도심을 이루는 기본적이고 핵심적인 공간요소로 도시를 구성하는 공간들을 연결하고 이 공간들의 상호적인 관계에서 다양한 인간의 생활 활동을 만들어낸다. 우리나라 도심은 경제...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7082295
서울 : 홍익대학교 건축도시대학원, 2024
학위논문(석사) -- 홍익대학교 건축도시대학원 , 건축디자인전공 , 2024. 8
2024
한국어
720 판사항(22)
서울
A study on the architectural planning of the large office building with street revitalization elements - focusing on the lower floor area -
책 : 삽화
홍익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지도교수: 윤동식
I804:11064-000000032867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가로는 도심을 이루는 기본적이고 핵심적인 공간요소로 도시를 구성하는 공간들을 연결하고 이 공간들의 상호적인 관계에서 다양한 인간의 생활 활동을 만들어낸다. 우리나라 도심은 경제...
가로는 도심을 이루는 기본적이고 핵심적인 공간요소로 도시를 구성하는 공간들을 연결하고 이 공간들의 상호적인 관계에서 다양한 인간의 생활 활동을 만들어낸다. 우리나라 도심은 경제활동의 중심지로써 업무, 상업, 주거 등의 생활 활동이 집중적으로 발생하는 장소로 대표적 도심지인 종로구, 중구의 건축물 용도별 구성비를 살펴보면 업무 용도가 80%로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다.
오늘날의 도심은 급속한 경제 성장과 이를 뒷받침하는 기술의 발전으로 건축물의 초고층화·초대형화를 추구하며 오피스 빌딩의 양적 증가를 목적으로 발전되어 왔으며 이러한 과정에서 한정
된 도시공간 속의 대형 오피스빌딩은 가로공간의 공공적 의미와 주변의 도시적 맥락은 고려하지 않은 채 더욱 밀집되어 가로를 단절하고 가로 주변의 환경을 고립시키는 결과를 가져왔다. 이에 가로공간이 가진 도시공간 활성화의 가능성에 주목하여 가로와 밀접하게 연결되는 대형 오피스 저층부에 도시민의 편의적 생활을 제공하는 공공적인 기능 요구가 커지고 있다. 이러한 배경을 바탕으로 본 연구는 가로활성화 요소를 적용한 대형 오피스 건축계획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2장에서는 가로활성화에 대한 이해를 위하여 선행연구에서 나타나는 가로공간의 정의와 가로활성화의 필요성을 파악하고 현재 우리나라 도심지에서 적용하고 있는 가로활성화와 관련된 건축계획요소의 제도적 현황을살펴보았다.
3장에서는 대형 오피스 저층부가 도시공간에서 가지는 공공적인 의미를 파악하기 위해 선행연구를 통한 대형 오피스의 규모적 정의를 알아보고 도심 내 업무가로에서 대형 오피스 저층부의 가로활성화 기능에 대한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4장에서는 서울 도심부 중심업무지구의 연면적 5만㎡ 이상의 대형 오피스 사례 10개를 선정하고 오피스 저층부 공간에 대한 가로활성화적 요소 특징을 유형화하여 분류하였다. 중심업무지구 내의 대형 오피스는 개발 단계에서 법적 규제 및 건축심의를 통해 건축물에 공공성을 내포하도록 유도되므로 저층부에 가로활성화적 계획요소가 드러나는 사례를 선정하여 그 요소의 배치 및 형태를 분석하였다. 분석요소의 분류는 상업시설 배치 유형, 입면경관 분리유형, 보행통로 조성유형, 야외공간 배치유형, 입체연결공간 현황으로 나누어 각 요소의 유형분류별 배치특성을 분석하였고 이
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다.
첫째, 상업시설 배치유형에서 외포형 배치는 공공가로변에서 시각적으로 노출되며 오피스 내부공간을 통하지 않고 공공가로에서 직접 출입 가능한 상
업시설 구간을 효과적으로 확보할 수 있으므로 공공가로와 연계성이 증대하여 가로활성화 시설 구간 배치에 적합한 유형으로 보여진다.
둘째, 입면경관 분리유형은 최근의 오피스일수록 저층부의 돌출 또는 고층부와의 재료 및 패턴 분리 등 저층부와 고층부의 시각적인 분리감이 도
드라지는 전체분리형을 활용하는 경향을 보인다.
셋째, 보행통로 조성유형에서 대부분의 사례에 나타난 내부관통로형은 통로에 접하는 상업시설 구간이 증가한다는 이점으로 인해 가장 많이 활용되었으며, 측면필로티형과 연계하는 경우에는 외부 공공가로의 보행자를 내부관통로로 연결하기 용이하다는 이점을 가진다.
넷째, 야외공간 배치유형은 건축물과 가로 간의 관계보다는 부지의 형상과 더 밀접한 관계를 보이는데, 이는 의무 사항인 공개공지 등이 저층부
면적을 배치한 후에 남는 유휴공간에 배치되는 특성이 있음으로 판단된다.
다섯째, 입체연결공간 현황은 대부분의 사례에서 접지층과 지하층을 연결하는 시설을 배치하고 있었는데 이는 대부분의 오피스가 지하층에 전문식당가를 배치하고 있고 지하철과 인접할 경우 연결통로를 형성하고 있기때문으로 보여진다.
5장에서는 상기의 분석결과를 종합하여 서울도심권역 내 가로활성화 요소가 적용된 대형 오피스의 건축계획안을 제안하였고 향후 가로활성화적건축요소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나타나기를 바라며 본 논문의 분석과 계획안이 후속 연구의 기초자료로써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street is a basic and core space element that composes the city center, connecting the spaces that make the city and creating various human activities ba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pace elements. The city center of Korea is a place where the ...
The street is a basic and core space element that composes the city center, connecting the spaces that make the city and creating various human activities ba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pace elements. The city center of Korea is a place where the economic activity and ordinary human life activities such as working, commercing, and living occur intensively. Looking at the ratio of building use type in Jongno-gu and Jung-gu area, which are representative place of economic growth in Korea, the office building type occupies the largest proportionat 80%.
Today, city center areas have been developed for the purpose of number increase, pursuing skyscrapers and large-scale buildings with rapid economic growth and technological progress. In this background, large office buildings in city were accumulated without considering the urban context for the street space, resulting in disconnection of the street space and isolation of the environment near the street.
To solve this problem, focusing on the improvement possibility of street revitalization, publicness that provides the convenient life for citizen, appears in the lower floors area of the large office, which is closely connected to the street space. In this background, this thesis conducted a study on architectural plan for a large office applying the street revitalization elements.
In Chapter 2, to understand street revitalization, identified the definition of street space and the necessity of street revitalization with previous studies and examined the status of building planning elements related to street revitalization currently applied in city center area in Seoul.
In Chapter 3, to understand publicness of large office lower floor area in city center, defined the scale of the large office with prior research. And proved the need for the street revitalization function of large office lower floor area in working street area.
In Chapter 4, select 10 cases in Seoul CBD with the characteristics of street revitalization elements for lower floor area and categorized and classified its layout characteristics. Since large offices in the CBD are include publicness to building by legal regulations when the building plan begins, the layout and shape of the elements were analyzed by selecting cases in which street revitalization elements were showed at lower floor area. The following conclusion is drawn
based on the analysis by dividing into commercial facility layout type, elevation separation type, walking passage type, outdoor space layout type, and elevator/stair connection type.
First, in the type of commercial facility layout, the external covered layout, which increase the store number that can have a direct door to public street, is proper to the placement of commercial facilities in street revitalization facilities because it is easy to connect public street.
Second, in the elevation separation type, the overall separation type, which emphasizes the separation between the lower and higher floor elevation image with use of other materials and formation of protrusions, is emerged more in recent cases.
Third, in the type of walking passage layout, the penetration passage type, which appeared in most cases, has the advantage of increasing the number of stores along the passage. And when linked to the piloti passage type, it is easy to connect pedestrians on the public street to the internal passage.
Fourth, the outdoor space layout type is more closely correlated with the shape of the site than the related layout between the building and the street space, which is presumed to be due to the situation that mandatory open space is planned in the remain spaceafter the building area placed first.
Fifth, in most cases, elevator/stair is connecting the ground floor and the basement floor, which seems to be because most offices have restaurants for citizen on the basement floor and connected passage to subway station if it is adjacent to the subway.
In Chapter 5, suggest a architectural plan for the large scale office with street revitalization elements in city center in Seoul by applying the analysis of office building cases. And hope that studies on the street revitalization of building are appear continuously, and the analysis and planning of this study will be used as basic data for follow-up research.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