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공공 공간으로 본 도시형 오픈 스페이스와 광장디자인 - 청계천, 예술의 전당, 쌈지길, 오모테산도 힐스, 롯본기 힐스, 예르바 부에나 센터 디자인 분석을 중심으로 - = Open Space and Urban Plaza Design for Public Space in City Environment - Design Analysis of Cheonggyecheon, Seoul Arts Center, Omotesando Hills, Roppongi Hills and Yerba Buena Center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33230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blic spaces are integrated into the social and cultural activity of the community, bringing life to all aspects of the development. Especially open spaces and plazas should be planned and designed to build a strong sense of community, provide a sense of place, offer a wide-range of uses and activities, support transit options, well-integrated into existing communities, well-managed and programmed. Open space and plaza in city environment have many different scales and forms to provide social and cultural activities for citizens. This placemaking conditions and well organized city`s plaza and open space are revitalizing the towns, cities, and regions.
      번역하기

      The public spaces are integrated into the social and cultural activity of the community, bringing life to all aspects of the development. Especially open spaces and plazas should be planned and designed to build a strong sense of community, provide a ...

      The public spaces are integrated into the social and cultural activity of the community, bringing life to all aspects of the development. Especially open spaces and plazas should be planned and designed to build a strong sense of community, provide a sense of place, offer a wide-range of uses and activities, support transit options, well-integrated into existing communities, well-managed and programmed. Open space and plaza in city environment have many different scales and forms to provide social and cultural activities for citizens. This placemaking conditions and well organized city`s plaza and open space are revitalizing the towns, cities, and region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규목, "한국의 도시경관(열화당미술책방 017)" 열화당 2004

      2 김동찬, "집합주거단지의 오프스페이스계획 특성분석에 관한 연구" 17 (17): 1999

      3 구로가와, "중간영역으로서의 길과 건축" 국제 1986

      4 박학재, "서양건축사정론" 상조사 1981

      5 김선영, "복합문화시설의 실내광장에 나타난 상대적 공간개념" 한국실내디자인학회 40 : 52-59, 2003

      6 이규목, "도시경관과 오픈스페이스" 11 (11): 1976

      7 김선영, "도시 환경과 디자인 계획으로 본 현대 문화시설 비교 연구" 한국디자인학회 16 (16): 323-334, 2003

      8 송정화, "도시 맥락적 관점에서 본 문화공간의 의미 - 예술의 전당을 중심으로 -" 대한건축학회 21 (21): 19-26, 2005

      9 Morris, Chris., "Yerba Buena Gardens" S.F. Examiner 1993

      10 Vitruvius, "Vitruvius: Ten Books on Architectur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1

      1 이규목, "한국의 도시경관(열화당미술책방 017)" 열화당 2004

      2 김동찬, "집합주거단지의 오프스페이스계획 특성분석에 관한 연구" 17 (17): 1999

      3 구로가와, "중간영역으로서의 길과 건축" 국제 1986

      4 박학재, "서양건축사정론" 상조사 1981

      5 김선영, "복합문화시설의 실내광장에 나타난 상대적 공간개념" 한국실내디자인학회 40 : 52-59, 2003

      6 이규목, "도시경관과 오픈스페이스" 11 (11): 1976

      7 김선영, "도시 환경과 디자인 계획으로 본 현대 문화시설 비교 연구" 한국디자인학회 16 (16): 323-334, 2003

      8 송정화, "도시 맥락적 관점에서 본 문화공간의 의미 - 예술의 전당을 중심으로 -" 대한건축학회 21 (21): 19-26, 2005

      9 Morris, Chris., "Yerba Buena Gardens" S.F. Examiner 1993

      10 Vitruvius, "Vitruvius: Ten Books on Architectur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1

      11 Moughtin, Cliff, "Urban Design: Street & Square, 3rd Edition" Architectural Press 2003

      12 Schiffman, Jean, "The Yerba Buena Question" 11 (11): 1994

      13 Lynch, Kevin, "The Image of the City" The MIT. Press 1960

      14 Rubin, J., "Something wild(From Maurice Sendak to The 'Way Things Work' San-Francisco's Metreon is Sony's answer to the urban entertainment center)" 33 : 1999

      15 Pearson, Clifford A., "Metreon San-Francisco, California(SWWM and Gary E. Handel teamed up to design an urban entertainment center that takes technology as its theme)" 187 (187): 1999

      16 Temko, Suannah, "Maki, Polshek and Botta buildings to bloom at Yerba Buena Gardens" 181 (181): 1993

      17 "Greenberger, Alan. (1992). Y.B.G. ESPLANADE (Map rm. G4364 S5; 2Y4 1992. 67 case B)"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4-09-02 학회명변경 영문명 : Society of Korea Design Trend -> Korea Society of Design Trend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12-13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Korea Design Forum -> Journal of Korea Design Forum KCI등재
      2007-10-24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과학예술디자인학회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영문명 : Korea Science & art Academy of Design (KSAD) -> Society of Korea Design Trend
      KCI등재
      2007-04-23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디자인트랜드학회 -> 한국과학예술디자인학회
      영문명 : Korea Design Trend Association -> Korea Science & art Academy of Design (KSAD)
      KCI등재
      2006-06-10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Korea Society of Design Forum -> Korea Design Forum KCI등재
      2006-02-06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디자인포럼학회 -> 한국디자인트랜드학회
      영문명 : The Korea Society of Design Forum -> Korea Design Trend Association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10-31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 Sociaty of design forum -> The Korea Society of Design Forum KCI등재후보
      2005-10-12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디자인포름 -> 한국디자인포럼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Korea Society of Design Forum
      KCI등재후보
      2005-09-26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비쥬얼디자인학회 -> 한국디자인포럼학회
      영문명 : The Korea Sociaty Of Visual Design -> The Korea Sociaty of design forum
      KCI등재후보
      2005-05-30 학술지등록 한글명 : 한국디자인포름
      외국어명 : 미등록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3 0.43 0.4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3 0.43 0.631 0.1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