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불교 관련 무형문화재 지정 현황과 과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55190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은 최근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불교의례의 발전 방안을 다룬 글이다. 특히 무형문화재 제도 속에서 불교의례의 위상을 살핀 후 나갈 방향을 찾아보았다. 먼저 무형문화재로 지정된 불교의례의 현황을 살폈다. 국가나 시도 무형문화재 지정 종목 중에서 불교 관련 종목이 차지하는 비중은 높지 않다. 국가 무형문화재가 수륙재 중심이라면 시도 무형문화재는 영산재 중심이다. 따라서 시도 무형문화재로 수륙재가 추가 지정될 가능성이 높다. 또한 다비의식, 이운의식 등 다양한 불교의식도 지정될 수 있을 것이고, 보편성을 강조하고 있는 무형문화재 정책을 바탕으로 하면 널리 행해지고 있는 사십구재도 지정될 수 있다. 다음으로 불교의례를 담당하고 있는 어산집단에 대한 관심을 갖자고 했다. 무형문화재 지정 기준을 살핀 결과, 지정 기준은 어산 집단의 특성에 모두 부합한다. 불교 무형유산 연구자들이 어산 집단에 대한 연구를 바탕으로 하여 문화재청에 정책 제안이 가능한 부분이다. 어산의 계보에 대한 연구는 필수적이다. 과거 어산의 계보에 대한 연구뿐만이 아니라 현재 활동하고 있는 어산 계보까지 살펴야 한다. 아울러 각 지역에서 어산들이 자체적으로 모여 설립 운영하고 있는 다양한 교육 기관까지 포함한 조사 및 연구가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무엇보다 불교계 내부의 인식 전환이 필요하다. 그래서 불교 무형문화재 추가 지정을 위해 공동체성의 확보, 새로운 의미망 부여하기, 조직의 정비, 불교학계의 연구 확산 등이 필요하다고 했다. 이러한 연구의 기저에는 무형유산을 바라보는 불교계 내부의 인식 전환이 있어야 한다. 과거보다는 나아졌지만 ‘의례를 맡은 스님들에 대한 편견’, ‘불교음악 무용을 감당하고 있는 스님들에 대한 가치 폄하’ 등이 개선되어야 한다. 부처님께 올리는 인간의 간절한 소망을 종합예술로 표현한 불교의례의 가치를 인식하고 소중하게 여길 때, 불교 무형유산은 무형문화재 지정이나 그에 버금갈 사회적 대우를 받을 수 있다.
      번역하기

      이 글은 최근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불교의례의 발전 방안을 다룬 글이다. 특히 무형문화재 제도 속에서 불교의례의 위상을 살핀 후 나갈 방향을 찾아보았다. 먼저 무형문화재로 지정된 불...

      이 글은 최근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불교의례의 발전 방안을 다룬 글이다. 특히 무형문화재 제도 속에서 불교의례의 위상을 살핀 후 나갈 방향을 찾아보았다. 먼저 무형문화재로 지정된 불교의례의 현황을 살폈다. 국가나 시도 무형문화재 지정 종목 중에서 불교 관련 종목이 차지하는 비중은 높지 않다. 국가 무형문화재가 수륙재 중심이라면 시도 무형문화재는 영산재 중심이다. 따라서 시도 무형문화재로 수륙재가 추가 지정될 가능성이 높다. 또한 다비의식, 이운의식 등 다양한 불교의식도 지정될 수 있을 것이고, 보편성을 강조하고 있는 무형문화재 정책을 바탕으로 하면 널리 행해지고 있는 사십구재도 지정될 수 있다. 다음으로 불교의례를 담당하고 있는 어산집단에 대한 관심을 갖자고 했다. 무형문화재 지정 기준을 살핀 결과, 지정 기준은 어산 집단의 특성에 모두 부합한다. 불교 무형유산 연구자들이 어산 집단에 대한 연구를 바탕으로 하여 문화재청에 정책 제안이 가능한 부분이다. 어산의 계보에 대한 연구는 필수적이다. 과거 어산의 계보에 대한 연구뿐만이 아니라 현재 활동하고 있는 어산 계보까지 살펴야 한다. 아울러 각 지역에서 어산들이 자체적으로 모여 설립 운영하고 있는 다양한 교육 기관까지 포함한 조사 및 연구가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무엇보다 불교계 내부의 인식 전환이 필요하다. 그래서 불교 무형문화재 추가 지정을 위해 공동체성의 확보, 새로운 의미망 부여하기, 조직의 정비, 불교학계의 연구 확산 등이 필요하다고 했다. 이러한 연구의 기저에는 무형유산을 바라보는 불교계 내부의 인식 전환이 있어야 한다. 과거보다는 나아졌지만 ‘의례를 맡은 스님들에 대한 편견’, ‘불교음악 무용을 감당하고 있는 스님들에 대한 가치 폄하’ 등이 개선되어야 한다. 부처님께 올리는 인간의 간절한 소망을 종합예술로 표현한 불교의례의 가치를 인식하고 소중하게 여길 때, 불교 무형유산은 무형문화재 지정이나 그에 버금갈 사회적 대우를 받을 수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al with how to develop Buddhist
      rituals which people are paying keen attention to lately. Particularly,
      this author has examined the status of Buddhist rituals in terms of the
      system for intangible cultural assets and then figured out how to
      develop them. First of all, the status of Buddhist rituals designated as
      intangible cultural assets has been investigated. Among the items
      designated as national or municipal/provincial intangible cultural assets,
      those related to Buddhism do not form a large part. National intangible
      cultural assets are centered around Suryukjae while municipal/provincial
      intangible cultural assets are oriented to Yeongsanjae. Therefore, there is
      a great possibility that Suryukjae will be additionally designated as a
      municipal/provincial intangible cultural asset. Also, many Buddhist
      rituals like Dabiuisik or Iunuisik can be designated, and grounded on
      the policy for intangible cultural assets stressing universality, Sasipgujae
      that is being widely performed may be designated as one of those, too.
      Next, it says it is needed to pay attention to the Eosan group being in
      charge of Buddhist ritual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examining the
      criteria of designating intangible cultural assets, they all correspond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Eosan group. This is the part where
      researchers dealing with intangible heritages related to Buddhism can
      suggest policy to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based on research on
      the Eosan group. Research on the genealogy of Eosan is essential. It is
      necessary to look into not only the genealogy of Eosan in the past but
      that of Eosan presently involved in it actively. Furthermore, it is needed
      to conduct research and investigation on a variety of educational institutes founded and operated by Eosan gathering voluntarily in
      different regions. Above all, those concerned in Buddhism should change
      their own recognition. Therefore, to designate intangible cultural assets
      related to Buddhism additionally, it is necessary to have community
      spirit, from a new semantic network, maintain related organizations, and
      also increase research in the academic circles of Buddhism. On the
      ground of this research, those concerned in Buddhism should change
      their viewpoint about intangible heritages. It is rather better now, but
      we should try to change ‘our fixed ideas about monks being in charge of
      those rituals’ or ‘our underestimation over the monks being in charge of
      Buddhist music or dance’. When we accept and cherish the value of
      Buddhist rituals expressed as composite art containing humans’ desperate
      wishes to Buddha, Buddhism intangible heritages can be socially treated
      as an intangible cultural asset being designated as one of those or
      something equivalent to that.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al with how to develop Buddhist rituals which people are paying keen attention to lately. Particularly, this author has examined the status of Buddhist rituals in terms of the system for intangible cultural assets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al with how to develop Buddhist
      rituals which people are paying keen attention to lately. Particularly,
      this author has examined the status of Buddhist rituals in terms of the
      system for intangible cultural assets and then figured out how to
      develop them. First of all, the status of Buddhist rituals designated as
      intangible cultural assets has been investigated. Among the items
      designated as national or municipal/provincial intangible cultural assets,
      those related to Buddhism do not form a large part. National intangible
      cultural assets are centered around Suryukjae while municipal/provincial
      intangible cultural assets are oriented to Yeongsanjae. Therefore, there is
      a great possibility that Suryukjae will be additionally designated as a
      municipal/provincial intangible cultural asset. Also, many Buddhist
      rituals like Dabiuisik or Iunuisik can be designated, and grounded on
      the policy for intangible cultural assets stressing universality, Sasipgujae
      that is being widely performed may be designated as one of those, too.
      Next, it says it is needed to pay attention to the Eosan group being in
      charge of Buddhist ritual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examining the
      criteria of designating intangible cultural assets, they all correspond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Eosan group. This is the part where
      researchers dealing with intangible heritages related to Buddhism can
      suggest policy to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based on research on
      the Eosan group. Research on the genealogy of Eosan is essential. It is
      necessary to look into not only the genealogy of Eosan in the past but
      that of Eosan presently involved in it actively. Furthermore, it is needed
      to conduct research and investigation on a variety of educational institutes founded and operated by Eosan gathering voluntarily in
      different regions. Above all, those concerned in Buddhism should change
      their own recognition. Therefore, to designate intangible cultural assets
      related to Buddhism additionally, it is necessary to have community
      spirit, from a new semantic network, maintain related organizations, and
      also increase research in the academic circles of Buddhism. On the
      ground of this research, those concerned in Buddhism should change
      their viewpoint about intangible heritages. It is rather better now, but
      we should try to change ‘our fixed ideas about monks being in charge of
      those rituals’ or ‘our underestimation over the monks being in charge of
      Buddhist music or dance’. When we accept and cherish the value of
      Buddhist rituals expressed as composite art containing humans’ desperate
      wishes to Buddha, Buddhism intangible heritages can be socially treated
      as an intangible cultural asset being designated as one of those or
      something equivalent to that.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Ⅰ. 머리말
      • Ⅱ. 불교 관련 무형문화재 지정 현황 검토
      • Ⅲ. 무형문화재전승주체로서어산집단에대한관심
      • Ⅳ. 무형문화재 지정 확산을 위한 몇 가지 제언
      • 국문초록
      • Ⅰ. 머리말
      • Ⅱ. 불교 관련 무형문화재 지정 현황 검토
      • Ⅲ. 무형문화재전승주체로서어산집단에대한관심
      • Ⅳ. 무형문화재 지정 확산을 위한 몇 가지 제언
      • Ⅴ. 맺음말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민정(동환), "한국 불교재의례의 사상적 구조" 원광대학교 2018

      2 국립무형유산원, "잔관사 수륙재" 민속원 2017

      3 국립무형유산원, "아랫녘 수륙재" 민속원 2017

      4 최명철(원명), "수륙재의 설행양상에 대한 비교 연구" 위덕대학교 2018

      5 생전예수재보존회, "생전예수재 연구" 민속원 2017

      6 홍태한, "불교의례의 민속적 이해" 민속원 2016

      7 부여수륙재보존회, "부여수륙재 연구" 민속원 2016

      8 달전사수륙재보존회, "달전사 수륙재 연구" 달전사 2018

      1 김민정(동환), "한국 불교재의례의 사상적 구조" 원광대학교 2018

      2 국립무형유산원, "잔관사 수륙재" 민속원 2017

      3 국립무형유산원, "아랫녘 수륙재" 민속원 2017

      4 최명철(원명), "수륙재의 설행양상에 대한 비교 연구" 위덕대학교 2018

      5 생전예수재보존회, "생전예수재 연구" 민속원 2017

      6 홍태한, "불교의례의 민속적 이해" 민속원 2016

      7 부여수륙재보존회, "부여수륙재 연구" 민속원 2016

      8 달전사수륙재보존회, "달전사 수륙재 연구" 달전사 201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4-11 학회명변경 영문명 : 미등록 -> Buddhist Culture and Art Laboratory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 0 0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 0 0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