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산업연관분석에 의한 중국 물류산업의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 Economic Impact Analysis of China’s Logistics Industry by Input-Output Tabl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02522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중국 산업연관표를 이용하여 중국 물류산업의 경제적 파급효과의 분석결과를 통해 물류산업에 대한 미래 발 전의 시사점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위해 중국...

      본 연구의 목적은 중국 산업연관표를 이용하여 중국 물류산업의 경제적 파급효과의 분석결과를 통해 물류산업에 대한 미래 발 전의 시사점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위해 중국 통계청의 2012, 2017년 산업연관표의 139개, 149개 산업 중 물류산 업과 직접 연관된 육상운송, 수상운송 등 5개 부문을 중국 물류산업으로 분류하였다. 분석결과 물류산업은 생산유발계수의 열 합 계는 2012년 3.6276에서 2017년 2.7666로, 행 합계는 2012년 5.7127에서 2017년 4.5200으로 감소하였다. 감응도계수는 2012년 1.7250에서 2017년 1.5581로, 영향력계수는 2012년 1.0954에서 2017년 0.9538로 다소 감소하였다. 부가가치유발계수는 2012년 1.261, 2017년 1.1578로 나타났다. 노동유발계수는 2012년 0.0589에서 2017년 0.0433로 감소하였다. 따라서 물류산업은 국민경제에 대한 이끌어 갈 수 있는 능력이 재고하기 위해 첫째, 물류산업의 전체 시스템화와 종합성을 강화해야 하고 산업 구조를 전환에 대한 노력이 필요하다. 둘째, 운송구조를 조정하여 우세를 가지고 있는 운송방식을 중점으로서 발전시키는 정책이 필요하다. 셋째, 물류산업의 국제화 수준을 높이기 위해서 정부 지원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기술기반의 자본집약형 산업으로 전환하기 위해 새 로운 기술과 정보 네트워크 기술을 적용함으로써 물류산업의 업그레이드를 추진한 정책이 필요하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By analyzing how China’s logistics industry affect the national economy, this thesis hopes to suggest future strategies for logistics industry. In order to analyze the logistics industry effects on national economy, among the 139 industries, 149 ind...

      By analyzing how China’s logistics industry affect the national economy, this thesis hopes to suggest future strategies for logistics industry. In order to analyze the logistics industry effects on national economy, among the 139 industries, 149 industries in China’s 2012 and 2017 input-output table of the Chinese National Statistical Office, choosing overland transportation, water transportation, air transportation, multimodal transportation, and logistics support service were classified as Chinese logistics industrie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total column of production inducement coefficient by the logistics industry decreased from 3.6276 in 2012 to 2.7666 in 2017, and the total row decreased from 5.7127 in 2012 to 4.5200 in 2017. The coefficient of sensitivity decreased slightly from 1.7250 in 2012 to 1.5581 in 2017 and the influence coefficient from 1.0954 in 2012 to 0.9538 in 2017. The value-added inducement coefficient was 1.261 in 2012 and 1.1578 in 2017. The labor inducement coefficient decreased from 0.0589 in 2012 to 0.0433 in 2017. There are four implications pointed out regarding to China’s logistics industry. First, the logistics industry needs to be a total systemization and generalization and make efforts to transform the industrial structure. Second, there needs a policy to focus on developing transportation methods that have an advantage. Third, logistics industry needs support from the government in order to reach its globalization level. Finally, for it to transform into a technology-capital-based industry, there needs to be a policy that expediate the upgrade of logistics industry, making it apply new technology and information network skill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 론 Ⅱ. 중국의 물류산업 현황 Ⅲ. 중국 물류산업의 산업연관분석 모형 Ⅳ. 중국 물류산업의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결과 Ⅴ. 결 론 참고문헌
      • Ⅰ. 서 론 Ⅱ. 중국의 물류산업 현황 Ⅲ. 중국 물류산업의 산업연관분석 모형 Ⅳ. 중국 물류산업의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결과 Ⅴ. 결 론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MENG HAIYANG, "중국 물류산업의 경제적 파급효과에 관한연구" 세종대학교 대학원 2016

      2 손해양, "중국 물류산업의 경제적 파급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물류학회 27 (27): 41-51, 2017

      3 한국은행, "산업연분석해설" 한국은행 2007

      4 한국은행, "산업연분석해설" 한국은행 2004

      5 한국은행, "산업연관분석해설" 한국은행 1987

      6 배기형, "물류산업의 경제적 효과 분석 -산업연관분석을 중심으로-" 한국물류학회 18 (18): 159-178, 2008

      7 유경원, "대전지역 창조경제 전진기지 구축 관련 연구" 한국은행 대전충남본부 2014

      8 변용환, "경제중심지로의 도약을 위한 과제" 한국은행 강원본부 2010

      9 주정규, "게임콘텐츠산업의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에 관한 연구" 목표대학교 대학원 2018

      10 李学工, "论物流产业对国民经济的贡献" 18 (18): 21-26, 2003

      1 MENG HAIYANG, "중국 물류산업의 경제적 파급효과에 관한연구" 세종대학교 대학원 2016

      2 손해양, "중국 물류산업의 경제적 파급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물류학회 27 (27): 41-51, 2017

      3 한국은행, "산업연분석해설" 한국은행 2007

      4 한국은행, "산업연분석해설" 한국은행 2004

      5 한국은행, "산업연관분석해설" 한국은행 1987

      6 배기형, "물류산업의 경제적 효과 분석 -산업연관분석을 중심으로-" 한국물류학회 18 (18): 159-178, 2008

      7 유경원, "대전지역 창조경제 전진기지 구축 관련 연구" 한국은행 대전충남본부 2014

      8 변용환, "경제중심지로의 도약을 위한 과제" 한국은행 강원본부 2010

      9 주정규, "게임콘텐츠산업의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에 관한 연구" 목표대학교 대학원 2018

      10 李学工, "论物流产业对国民经济的贡献" 18 (18): 21-26, 2003

      11 中国机械工程学会, "现代物流大全" 铁道出版社 2004

      12 戴伯勋, "现代产业经济学" 经济管理出版社 2001

      13 田青, "物流产业经济学" 南京大学出版社 2010

      14 颜培丽, "物流产业发展对经济增长带动作用的实证研究" 20 (20): 18-21, 2018

      15 丁俊发, "正确认识物流, 物流产业,物流管理等基本概念" 33 (33): 328-331, 2003

      16 崔天舒, "我国社会物流成本的影响因素研究" 西安科技大学 2019

      17 王建发, "我国现代化物流产业发展思路及策略研究——基于降本增效视角" 39 (39): 23-25, 2019

      18 楚岩枫, "我国物流产业研究现状分析" 2017 (2017): 36-38, 2007

      19 毛文富, "我国物流产业与区域经济的协调发展评价研究" 首都经济贸易大学 2017

      20 黄璆, "我国物流业投入产出表的编制方法" 35 (35): 5-9, 2019

      21 徐寿波, "大物流论" 19 (19): 4-7, 2005

      22 国务院, "关于进一步推进物流降本增效促进实体经济发展的意见" 2017

      23 国家发展改革委员会, "关于推动物流高质量发展促进形成强大国内市场的意见" 2019

      24 前瞻产业研究院, "中国社会物流总额 [Data]"

      25 前瞻产业研究院, "中国社会物流总费用 [Data]"

      26 国家统计局国民经济核算司, "中国投入产出表(延长表)编制方法"

      27 宾厚, "“一带一路”背景下我国物流产业升级模式与路径研究" 39 (39): 13-17, 2019

      28 Arthur, D. Little, Inc, "Logistics in Service Industries" 16 (16): 527-, 1991

      29 中国物流与采购联合会, "2019年物流运行情况通报"

      30 中国物流与采购联合会, "2019年物流运行情况分析" 2020

      31 中国物流与采购联合会, "2019年中国物流年鉴" 财富出版社 2019

      32 中国国家统计局, "2017年全国投入产出表 [Data]"

      33 한국은행, "2015 기준년 산업연관표 해설편" 한국은행 201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19 1.19 1.0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05 0.99 1.114 0.3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