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 1차년 연구(유아의 정서적 안정 척도 타당도 검증) 요약 본 연구의 목표는 부모평정용 정서적 안정척도(Security in the Marital Subsystem Scale–Parent Report Inventory(SIMS-PR)의 타당도를 검증하는 것...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G3751705
2018년
Korean
한국연구재단(NRF)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가. 1차년 연구(유아의 정서적 안정 척도 타당도 검증) 요약 본 연구의 목표는 부모평정용 정서적 안정척도(Security in the Marital Subsystem Scale–Parent Report Inventory(SIMS-PR)의 타당도를 검증하는 것...
가. 1차년 연구(유아의 정서적 안정 척도 타당도 검증) 요약
본 연구의 목표는 부모평정용 정서적 안정척도(Security in the Marital Subsystem Scale–Parent Report Inventory(SIMS-PR)의 타당도를 검증하는 것이다. 부모평정용 정서적 안정척도가 우리나라 유아들의 정서적 안정을 얼마나 밀접하게 반영하고, 타당하게 측정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고 있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1차년 연구의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평정용 정서적 안정 척도의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는 어떠한가? 둘째, 부모평정용 정서적 안정 척도의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는 어떠한가? 셋째, 부모평정용 정서적 안정 척도의 하위 요인들과 유아와 그 부모의 인구학적 변인, 부부갈등해결방식, 부모양육태도의 상관관계는 어떠한가?
위와 같은 연구문제를 알아보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어린이집, 유치원 및 육아종합지원센터를 이용하는 유아(3-5세)의 어머니와 아버지 각 100명을 대상으로 유아 및 유아 부모의 인구학적 정보(예: 유아 성별, 월령, 출생순위, 부모의 연령, 교육수준, 취업여부, 가족 소득 등), 부부갈등해결방식, 유아의 정서적 안정, 부모양육행동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위해 부모평정용 정서적 안정척도는 미국에서 박사학위를 받은 연구자 2명에 의해 번역-재번역 방식으로 번역될 것이다. 번역을 마친 척도는 전문가 집단에 의해 국내 연구대상과 맞지 않은 문항은 없는지, 내용의 이해를 돕기 위해 구체적인 예시를 넣어야 하는지 등의 내용 타당도를 검증받을 것이다. 자료가 수집된 이후에는 수집된 변인에 대한 기술통계분석, 정서적 안정척도에 대한 탐색적 및 확인적 요인분석, 각 변인과 정서적 안정척도의 하위변인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할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해 정서적 안정척도가 국내에서도 신뢰로운 도구임을 밝혀진다면, 국내 유아의 정서적 안정에 대한 학제 간 연구를 활성화하는데 기여할 것이다. 뿐만 아니라 타당도가 검증된 척도는 어린이집, 유치원, 육아종합지원센터 뿐 아니라 발달 연구소 등에서 유아들의 정서 안정을 평가하고 이를 바탕으로 부모들과 상담하는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나. 2차년 연구(APIMeM 분석을 통한 정서적 안정의 매개효과 검증) 요약
본 연구의 목표는 APIMeM이라는 새로운 연구방법을 통해 부부갈등해결방식과 부모양육행동의 관계에서 유아의 정서적 안정이 어떠한 경로로 매개역할을 하는지 알아볼 것이다.
2차년 연구의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와 아버지의 부부갈등해결 방식(1차년 연구수집자료)이 6개월 뒤의 부모양육행동(2차년 연구수집자료)을 예측할 수 있는가? 둘째, 배우자의 부부갈등해결 방식(1차년 연구수집자료)은 6개월 뒤의 부모양육행동(2차년 연구수집자료)을 예측할 수 있는가? 셋째, 부부갈등해결방식(1차년 연구수집자료)과 6개월 뒤 부모의 양육행동(2차년 연구수집자료) 간의 관계에서 유아의 정서적 안정(1차년 연구수집자료)은 어떠한 경로를 통해 매개역할을 하는가?
위와 같은 연구문제를 알아보기 위하여, 1차년 연구자료 수집 후 6개월 뒤에 연구대상을 추적하여 연구 변인에 대한 정보를 수집할 것이다. 자료 분석계획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대상자와 주요연구변인의 일반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서 기술통계분석을 실시할 것이다. 둘째, 어머니와 아버지의 주요 연구 변인들 간에 차이가 있는지를 검증하기 위해 paired-t test 분석을 실시할 것이다. 셋째, 연구 모델의 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구조모형을 APIMeM을 통해 분석할 것이다.
본 연구는 정서적 안정이론(Davies & Cummings, 1994)을 국내 유아를 대상으로 처음으로 실증적 검증을 한다는 점에서 학문적 의의가 있다. 또한 APIMeM 연구방법을 통해 어머니와 아버지 간의 역동적 상호관계를 밝혀냄으로써, 어머니와 아버지 육아지원 프로그램을 향상시키는 기초자료로 사용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