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2010년 1월 4일부터 2015년 1월 19일 까지 1,256개의 일간자료로 달러 선물을이용한 무역대금 변동 위험관리에 관한 실증적 연구이다. 이 연구의 모형으로는 전통적인 회귀분석모형인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0717075
2015
Korean
달러 현물 ; 달러 현물 ; 위험관리 ; 헤지 모형 ; 헤지 성과 ; us dollar ; us dollar futures ; risk management ; hedging models ; hedging performance
KCI등재
학술저널
67-85(19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2010년 1월 4일부터 2015년 1월 19일 까지 1,256개의 일간자료로 달러 선물을이용한 무역대금 변동 위험관리에 관한 실증적 연구이다. 이 연구의 모형으로는 전통적인 회귀분석모형인 ...
본 연구는 2010년 1월 4일부터 2015년 1월 19일 까지 1,256개의 일간자료로 달러 선물을이용한 무역대금 변동 위험관리에 관한 실증적 연구이다. 이 연구의 모형으로는 전통적인 회귀분석모형인 최소분산모형, 벡터오차수정모형(VECM), 이변량 GARCH(1,1)모형과 헤지성과는 분산의 감소비율로 측정하여 분석을 하였다. 달러서물을 이용한 무역대금의 변동 위험을 관리하기 위한헤지비율들을 추정하고, 각 모형들의 헤지성과들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최소분산헤지모형, 벡터오차수정모형 및 이변량 GARCH(1,1)모형의 외표본(out-of-sample)과 내표본(in-sample)방식에 의한 헤지비율과 헤지성과에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출입기업들의 무역대금관리 담당자들이 달러 선물을 이용하여 무역대금의 불리한 가격변동으로 인한 변동 위험을 제거시키기 위해서 통계적인 자료의 문제점으로 인한 VECM 및 이분산GARCH(1,1)모형을 사용하는 것과 전통적 분석모형인 회귀분석모형을 사용하는 것을 비교해보면 통계적으로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수출입기업들의 무역대금관리 담당자들이 가장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전통적 회귀분석모형을 사용하여도 수출입기업들의 무역대금인달러의 가치변화에 따른 무역대금의 변동위험을 96%이상 줄일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s hedging performance of us dollar futures with respect to us dollar by VECM, Bivariate GARCH(1,1) and OLS regression hedging models to risk management in the trading price fluctuation of foreign exchange. Daily hedging performan...
This study investigates hedging performance of us dollar futures with respect to us dollar by VECM, Bivariate GARCH(1,1) and OLS regression hedging models to risk management in the trading price fluctuation of foreign exchange. Daily hedging performance is evaluated. The sample period covers from January 4, 2010 to January 19, 2015. We found the following results. Firstly, unit roots are found in us dollar futures and us dollar. There exists at least one cointegrating relationship among them. Secondly, we can not find statistical differences among hedge ratios estimated from VECM, Bivariate GARCH(1,1) and OLS regression models. Thirdly, there a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hedging performance among various models. Finally, overall hedging performance and hedge ratios estimated from VECM, Bivariate GARCH(1,1) a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목차 (Table of Contents)
글로벌 금융·재정위기를 전후한 유로화와 달러화의 환율변동성과 조건부공분산 분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