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SCOPUS

      시뮬레이션 기반 허약노인 방문간호 교육 요구도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29387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educational needs of nurses and nursing students for the development of a simulation module of home visiting care for frail, elderly people. Methods: Focus group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15 home visiting...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educational needs of nurses and nursing students for the development of a simulation module of home visiting care for frail, elderly people. Methods: Focus group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15 home visiting nurses working in public health centers and 14 nursing students who experienced home visiting from September 10 to October 10, 2018. Results: Bloom’s taxonomy of learning objectives, namely, cognitive, affective, and psychomotor domains was used as a framework for data analysis. The defined educational needs for each domain were as follows: “understanding frail, elderly people” for the cognitive domain; “intervention for mental health” and “building a therapeutic relationship” for the affective domain; and “nursing skills”, “health education for healthy lifestyles”, “referral to the community resource connection”, “protection for visiting nurses” for the psychomotor domain. Conclusion: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a simulation module of home visiting care for frail, elderly people can be developed and used for nursing students and nurses to strengthen the capacity for home visiting car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서론
      • 연구 방법
      • 연구 결과
      • 논의
      • 결론 및 제언
      • 서론
      • 연구 방법
      • 연구 결과
      • 논의
      • 결론 및 제언
      • Reference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전경자, "지역사회간호학 실습교육 개선 방안: 간호교육 인증평가 기준을 중심으로" 한국지역사회간호학회 27 (27): 183-192, 2016

      2 김정희, "졸업 예정 간호대학생의 주관적 투약수행역량 영향요인"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7 (17): 215-224, 2019

      3 박은옥, "우리나라 가정방문간호의 현황과 향후 과제" 한국농촌의학.지역보건학회 44 (44): 28-38, 2019

      4 이한주, "미국 보건간호사 핵심역량과 일 지역사회의 지역사회간호학 실습교육내용 비교 연구" 한국지역사회간호학회 28 (28): 334-346, 2017

      5 백희정, "노인전담 방문간호사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평가" 한국가정간호학회 25 (25): 240-248, 2018

      6 조명희, "교육요구분석에서 예비교사와 현직교사의 중요도 인식 차이에 따른 모델 수정에 관한 연구" 교육연구원 32 (32): 147-168, 2016

      7 박현주, "간호학생의 보건진료소 실습경험" 한국지역사회간호학회 21 (21): 188-199, 2010

      8 하이경, "간호학생을 위한 의사소통 시뮬레이션교육프로그램의 지역사회간호학 교과적용을 위한 예비연구" 한국산학기술학회 16 (16): 2329-2337, 2015

      9 하재현, "간호대학생의 지역사회 방문건강관리 실습경험" 한국지역사회간호학회 31 (31): 43-53, 2020

      10 이순희,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 중 언어폭력, 성폭력 및 우울, 자아존중감이 진로정체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 17 (17): 550-560, 2017

      1 전경자, "지역사회간호학 실습교육 개선 방안: 간호교육 인증평가 기준을 중심으로" 한국지역사회간호학회 27 (27): 183-192, 2016

      2 김정희, "졸업 예정 간호대학생의 주관적 투약수행역량 영향요인"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7 (17): 215-224, 2019

      3 박은옥, "우리나라 가정방문간호의 현황과 향후 과제" 한국농촌의학.지역보건학회 44 (44): 28-38, 2019

      4 이한주, "미국 보건간호사 핵심역량과 일 지역사회의 지역사회간호학 실습교육내용 비교 연구" 한국지역사회간호학회 28 (28): 334-346, 2017

      5 백희정, "노인전담 방문간호사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평가" 한국가정간호학회 25 (25): 240-248, 2018

      6 조명희, "교육요구분석에서 예비교사와 현직교사의 중요도 인식 차이에 따른 모델 수정에 관한 연구" 교육연구원 32 (32): 147-168, 2016

      7 박현주, "간호학생의 보건진료소 실습경험" 한국지역사회간호학회 21 (21): 188-199, 2010

      8 하이경, "간호학생을 위한 의사소통 시뮬레이션교육프로그램의 지역사회간호학 교과적용을 위한 예비연구" 한국산학기술학회 16 (16): 2329-2337, 2015

      9 하재현, "간호대학생의 지역사회 방문건강관리 실습경험" 한국지역사회간호학회 31 (31): 43-53, 2020

      10 이순희,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 중 언어폭력, 성폭력 및 우울, 자아존중감이 진로정체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 17 (17): 550-560, 2017

      11 Daniel Hartley, "Workplace Violence Prevention for Nurses" Ovid Technologies (Wolters Kluwer Health) 119 (119): 19-20, 2019

      12 Eunjoo Kim, "Who Cares for Visiting Nurses? Workplace Violence against Home Visiting Nurses from Public Health Centers in Korea" MDPI AG 17 (17): 4222-, 2020

      13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Visit safety manual for visiting community center"

      14 Davis AL, "Using instructional design principles to develop effective information literacy instruction : The ADDIE model" 74 (74): 205-207, 2013

      15 Satu Elo, "The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process" Wiley 62 (62): 107-115, 2008

      16 Bloom B,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 The classification of educational goals" Longmans, Green & Co 1-207, 1956

      17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Self-promotion guidebook for integrated community car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18 Zheng Zheng, "Prevalence and Incidence of Frailty in Community-Dwelling Older People: Beijing Longitudinal Study of Aging II" Wiley 64 (64): 1281-1286, 2016

      19 Lincoln YS, "Naturalistic inquiry" Sage 1-416, 1985

      20 Bette Mariani, "Medication Safety Simulation to Assess Student Knowledge and Competence" Elsevier BV 13 (13): 210-216, 2017

      21 Chin YR, "Learning experience of nursing students on community health nursing clinical placements" 13 (13): 25-31, 2018

      22 Darlene Hutchings, "Keeping Community Health Care Workers Safe" SAGE Publications 23 (23): 27-35, 2011

      23 Park K, "Integrative review for simulation based leaning research in nursing education : 2015-2016" 4 (4): 41-58, 2016

      24 Fried LP, "Frailty in older adults: Evidence for a phenotype" 56A (56A): 146-156, 2001

      25 Krueger RA, "Focus groups: A practical guide for applied research" Myunginbooks 1-29, 2017

      26 Robin Evans-Agnew, "Community Health Needs Assessments: Expanding the Boundaries of Nursing Education in Population Health" Wiley 34 (34): 69-77, 2017

      27 Jeffries PR, "A framework for designing implementing and evaluation simulation used as teaching strategies in nursing" 26 (26): 96-103, 2005

      28 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20 statistics elderly" 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

      29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 Korea Health Promotion Institute, "2018 Guideline on integrated community health promotion program"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 Korea Health Promotion Institute

      30 Jung KH, "2017 Korean national survey on elderly"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4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2019-01-01 평가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2.49 2.49 2.8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87 3.05 3.548 0.4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