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의 목적은 태권도 수련기간이 중학생의 신체구성 및 발목관절과 무릎관절의 등속성 근기능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구명(究明)하여 청소년시기에 나타나는 비만예방 및 체력향상...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1721687
용인: 단국대학교 대학원, 2009
학위논문(박사) -- 단국대학교 대학원 , 체육학과 체육학전공 , 2009. 8
2009
한국어
796.82 판사항(22)
경기도
Influence on the Change of Taekwondo Training Duration on the Body Composition and Isokinetic Muscular Function of Middle School Students
120장: 삽도; 26 cm.
단국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지도교수:정찬모
참고문헌 : p.98-111장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의 목적은 태권도 수련기간이 중학생의 신체구성 및 발목관절과 무릎관절의 등속성 근기능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구명(究明)하여 청소년시기에 나타나는 비만예방 및 체력향상...
이 연구의 목적은 태권도 수련기간이 중학생의 신체구성 및 발목관절과 무릎관절의 등속성 근기능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구명(究明)하여 청소년시기에 나타나는 비만예방 및 체력향상을 위한 운동 프로그램 개발과 태권도지도자들의 과학적인 훈련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중학교 2학년에 재학하고 있는 남자 중학생 중에서 계발활동 수업 및 방과 후 학교에서 태권도를 수련하는 남학생 실험군 45명(12주 15명, 24주 15명, 48주 15명)과 통제군 15명 총 6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신체구성은 체지방률, 체지방량, 근육량을 측정하였고, 등속성근기능은 발목과 무릎관절의 최대근력, 평균파워, 근지구력을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태권도 수련기간은 중학생의 신체구성 변화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1) 12주간의 태권도 수련은 체지방률과 체지방량이 감소하였고, 근육량은 증가를 나타내었지만 통계적인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2) 24주간의 태권도 수련은 체지방량의 감소와 근육량의 증가를 나타냈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3) 48주간의 태권도 수련은 체지방률과 체지방량의 감소와 근육량의 증가를 나타냈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2. 태권도 수련 기간별에 따라 중학생의 신체구성 중 체지방률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으며, 48주에서 가장 많은 감소를 나타냈다. 근육량에서도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고, 24주에서 가장 많은 증가를 나타냈다.
3. 태권도 수련기간은 중학생의 발목관절 등속성 근기능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1) 12주간의 태권도 수련은 발목관절 오른쪽 배측굴곡 체중 당 최대근력에서 통계적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고, 오른쪽 저측굴곡 최대근력에서 통계적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2) 24주간의 태권도 수련은 발목관절 오른쪽 저측굴곡 평균파워, 체중 당 평균파워에서 통계적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3) 48주간의 태권도 수련은 발목관절 오른쪽 배측굴곡 체중 당 최대근력, 근지구력비에서 통계적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고, 오른쪽 저측굴곡 최대근력, 체중 당 최대근력, 평균파워, 체중 당 평균파워, 근지구력비에서 통계적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왼쪽 배측굴곡 최대근력, 체중 당 최대근력, 체중 당 평균파워, 근지구력비에서 통계적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고, 왼쪽 저측굴곡 최대근력 평균파워, 체중 당 평균파워, 근지구력비에서 통계적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4. 태권도 수련 기간별에 따라 중학생의 발목관절 등속성 근기능 중 오른쪽 근지구력비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으며, 48주에서 가장 많은 증가를 나타냈다.
5. 태권도 수련기간은 중학생의 무릎관절 등속성 근기능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1) 12주간의 태권도 수련은 무릎관절 오른쪽 굴근력 체중 당 평균파워에서 통계적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고, 왼쪽 굴근력 최대근력과 체중 당 최대근력, 체중 당 평균파워에서 통계적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2) 24주간의 태권도 수련은 무릎관절 오른쪽 굴근력 체중 당 평균파워에서 통계적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고, 왼쪽 굴근력 최대근력, 체중 당 최대근력, 체중 당 평균파워에서 통계적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3) 48주간의 태권도 수련은 무릎관절 오른쪽 신근력 체중 당 최대근력, 체중 당 평균파워, 근지구력비에서 통계적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고, 오른쪽 굴근력 최대근력, 체중 당 최대근력, 평균파워, 체중 당 평균파워, 근지구력비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고, 왼쪽 굴근력 최대근력, 체중 당 최대근력, 평균파워, 체중 당 평균파워, 근지구력비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6. 태권도 수련 기간별에 따라 중학생의 무릎관절 등속성 근기능 중 오른쪽, 왼쪽 굴근력 최대근력, 오른쪽 체중 당 최대근력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으며, 48주에서 가장 많은 증가를 나타냈다.
이상의 결과를 정리해 보면 장기간의 규칙적인 태권도 수련은 중학생의 체지방률과 체지방량을 감소시키고, 근육량 증가에 영향을 미쳤다. 또한 발목관절의 배측굴곡에서 근지구력비가 향상되었으며, 무릎관절의 오른쪽과 왼쪽 굴근의 최대근력 증가에 영향을 미쳤다.
위와 같은 결과로 보아 장기간의 태권도 수련은 중학생의 신체구성과 등속성 근기능 향상에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오기 때문에 학교나 교육당국에서는 청소년들의 비만 예방과 근기능 향상을 위해 태권도 수련을 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사료된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