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국가간 경제적 의존성 증가와 급변하는 소비자시장의 다양성으로 인해 기업은 유연하고 적극적인 대처가 필요하게 되었으며 이에 따라, 근로자들의 노동삶의 변화도 빠르게 이루어지...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3198072
2017
Korean
학술저널
195-212(18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최근 국가간 경제적 의존성 증가와 급변하는 소비자시장의 다양성으로 인해 기업은 유연하고 적극적인 대처가 필요하게 되었으며 이에 따라, 근로자들의 노동삶의 변화도 빠르게 이루어지...
최근 국가간 경제적 의존성 증가와 급변하는 소비자시장의 다양성으로 인해 기업은 유연하고 적극적인 대처가 필요하게 되었으며 이에 따라, 근로자들의 노동삶의 변화도 빠르게 이루어지고 있다(De Witte, 2005; Goslinga, 2005). “고용가능성”이란 안정적이고 지속적인 고용유지 능력을 의미하며 본 연구는 한 세기 동안 혼재되고 있는 고용가능성 개념에 대한 이론적 탐구를 통해 이를 새롭게 재조명 하였으며 “고용가능성 딜레마”의 부정적 영향의 원인을 경험적 연구를 통해 대안을 제시 하였다. 자료수집은 2017년 4월15일부터 30일 까지 실시하였으며 200부중 151부를 회수하였으며 18부를 제외한 133부를 최종사용 하였다. 최종분석은 AMOS 22.0을 사용하여 구조방정식모형을 분석. 검정 하였다.
근로자들의 고용가능성은 조직시민행동에 부(-)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직의도에는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고용가능성과 조직시민행동과 이직의도 간의 영향관계를 리더-멤버간의 교환관계가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직무불안정은 매개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고용가능성은 직무불안정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직무불안정은 조직시민행동에 부(-)의 영향과 이직의도에(+)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용가능성의 잠재적 유용성을 위해서는 직장 내 사회적 교환관계의 강화를 통한 리더십 역할의 중요성이 입증되었다. 고용가능성의 개발은 조직과 개인의 상호작용을 통한 조직발전과 함께 근로자의 노동가치 향상과 고용가치의 중요성을 위해 더욱 발전해야 한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