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동안 상담 영역에서는 가정 내의 갈등을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접근방법들이 있어 왔으며 그 중 가족놀이치료는 언어를 중심매개로 하는 기존의 접근 방법의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해서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G3686581
2017년
Korean
한국연구재단(NRF)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그동안 상담 영역에서는 가정 내의 갈등을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접근방법들이 있어 왔으며 그 중 가족놀이치료는 언어를 중심매개로 하는 기존의 접근 방법의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해서 ...
그동안 상담 영역에서는 가정 내의 갈등을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접근방법들이 있어 왔으며 그 중 가족놀이치료는 언어를 중심매개로 하는 기존의 접근 방법의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해서 가족치료와 놀이치료를 결합하여 시도된 접근방법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가족놀이치료는 가족이 함께 놀이를 통하여 자신을 안전하게 표현할 수 있고, 가족들이 가진 문제와 갈등 등을 다양한 놀이 활동을 통하여 비언어적으로 더 잘 표현할 수 있다는 점에서 자기표현이 서투른 나이어린 아동에서부터 표현하기를 거부하는 모든 가족구성원들이 자신의 정서적인 문제를 보다 쉽게 노출시키며, 가족 간의 역기능적 상호작용의 모습을 은유적으로 표출시킬 수 있게 된다(김광웅 외, 2004; Schaefer & Koduson, 2006; 선우현, 2007; Hartig, 2011).
Sori(2006)는 가족놀이치료의 목적을 세 가지로 제시하고 있다. 첫째, 가족놀이치료는 치료자가 가족구성원의 놀이를 통하여 가족구조, 의사소통, 정서적인 밀착과 친밀감과 같은 가족의 역동을 탐색할 수 있게 한다. 둘째, 가족놀이치료의 목적은 놀이라는 공동의 작업을 통하여 가족이 문제해결을 위해 함께 협력하도록 격려하는 경험을 하게 한다. 다시 말해서 놀이라는 맥락에서 가족구성원이 상호작용하면서 자신들의 문제와 가족구성원에 대해 이전과는 다른 관점을 갖게 된다. 마지막으로 가족놀이치료는 치료자가 가족과 마찬가지로 문제에 고착되었을 때 놀이는 새로운 길을 열어주며 새로운 대화의 장을 열어준다(이현주, 2009; 재인용). 또한 가족놀이치료는 가족 구성원들이 놀이 활동을 함께 경험하면서 개별 가족 간 관계의 긍정적 변화가 가능하다. 또 다른 가족들과의 관계도 자연스럽게 형성되어 개인치료에서 기대할 수 없었던 새로운 치료효과를 경험하게 된다고 보고하고 있다(선우현, 2007).
국내외 가족놀이치료 사례연구를 보면 상호작용 놀이를 통해 모든 가족구성원들간의 언어적, 비언어적 의사소통이 촉진되어 가정 내의 긍정적 상호작용이 나타나고 자녀와 신체접촉이나 놀이하면서 표출되는 긍정적 정서의 분위기, 부모와 자녀 적극적 상호작용 등이 자녀의 상호작용 능력을 촉진시키며 이는 또래와의 건강한 관계형성에 영향을 미친다고 보고하고 있다(임숙빈, 1997; 김유숙, 2006). 최근 신체적 접촉을 통한 놀이를 강조한 치료접근으로 발달장애 아동들과 정서적 어려움을 겪는 아동들의 정서적 교류에 강조점을 두어 건강한 부모-자녀 관계형성을 이끌어내는 가족놀이치료에서부터(이상희, 2003) 역기능적 상호작용 패턴 속에서 공포증, 강박-충동적 증후, 우울, 품행장애, 과잉행동, 사회부적응, 비행 등 광범위한 문제를 가진 아동들에게 성공적으로 적용된 전략적 가족놀이치료의 사례연구가 보고되고 있다(O'Connor & Bravermann, 1997; Schaefer & Koduson, 2006; 이승희 & 윤호열, 2007; 선우현, 2007). 가족놀이치료가 부모-자녀관계의 변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는데 가족놀이라는 즐겁고 편안한 맥락과 치료자의 정서적인 지지와 수용을 통하여 부모가 긍정적인 마음을 가지게 되었고 이러한 긍정적인 감정과 부모역할에 대한 효능감이 자녀와의 긍정적 상호작용 뿐 아니라 자녀의 정서 및 행동발달에도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선우현, 2006; 2007a; 2007b; 2013; 박재훈, 선우현, 2012; 정현아, 선우현, 2012; 김효선, 선우현, 2014; 김효정, 선우현, 2015; 김명애, 선우현, 2016).
본 연구자는 유, 아동기 자녀를 둔 부모가 자녀와 함께 가족놀이에 참여하여 부모와 자녀 간의 긍정적 상호작용을 경험하고 자녀의 문제행동의 변화를 이끌어내었던 가족놀이치료의 효과성을 토대로 상호작용 가족놀이치료를 개발하고 그 효과성 연구를 지속하고 있다(선우현, 2006; 2007a; 2007b; 2013; 박재훈, 선우현, 2012; 정현아, 선우현, 2012; 김효선, 선우현, 2014; 김효정, 선우현, 2015; 김명애, 선우현, 2016). 상호작용 놀이치료는 부모역할의 어려움이나 아동과의 상호작용에 어려움 그리고 아동의 문제행동이 발생했을 때 가족 간의 긍정적 상호작용을 증진시킴으로써 아동의 건강한 정서 및 행동발달과 가족관계를 강화한다고 본다. 즉 가족놀이치료를 통한 부모-자녀 간의 질적인 상호작용이 아동의 정서 및 사회적 행동에 긍정적 변화를 이끌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본 저술에서는 가족놀이치료의 이론적 배경과 그 접근방법들을 이론과 실제를 통해 서술하고 위기가정 아동을 위한 가족놀이치료 개입과 사례를다루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