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참나무류 優良種의 花粉分析에 관한 硏究 = Pollen Analysis of Superior Tree in Quercus spp.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968558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참나무류 7種에 對한 花粉을 光學顯微鏡으로 觀察한 結果는 다음과 같다. 花粉粒은 單粒이고 花粉의 크기는 約 22.75∼31.25×27.75∼39.75㎛(Min.∼Max., P×E)이며 中粒(Medium sized)이다. 赤道面 粒狀에서 갈참나무, 졸참나무, 떡갈나무, 가시나무는 장구형이고 상수리나무와 굴참나무는 약장구형이며 신갈나무는 아장구형이다. 극면粒狀은 모든종이 半三角形이다. 발아구는 3공구형 또는 3약공구형이다. 구구는 폭이 좁은 편이며 표면은 평활상이거나 약간 망상이었고 外口綠은 상수리나무와 굴참나무가 발달했다.
      번역하기

      참나무류 7種에 對한 花粉을 光學顯微鏡으로 觀察한 結果는 다음과 같다. 花粉粒은 單粒이고 花粉의 크기는 約 22.75∼31.25×27.75∼39.75㎛(Min.∼Max., P×E)이며 中粒(Medium sized)이다. 赤道面 粒狀�...

      참나무류 7種에 對한 花粉을 光學顯微鏡으로 觀察한 結果는 다음과 같다. 花粉粒은 單粒이고 花粉의 크기는 約 22.75∼31.25×27.75∼39.75㎛(Min.∼Max., P×E)이며 中粒(Medium sized)이다. 赤道面 粒狀에서 갈참나무, 졸참나무, 떡갈나무, 가시나무는 장구형이고 상수리나무와 굴참나무는 약장구형이며 신갈나무는 아장구형이다. 극면粒狀은 모든종이 半三角形이다. 발아구는 3공구형 또는 3약공구형이다. 구구는 폭이 좁은 편이며 표면은 평활상이거나 약간 망상이었고 外口綠은 상수리나무와 굴참나무가 발달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ollens of Quercus (7 species) were observated with light microscope and analyzed. Pollens were monad and their sizes were 22.75∼31.25×27.75∼39.75㎛(Min.∼Max., P×E) In average and equatorial shapes in Q. aliena, Q. serrata, Q. dentata, and Q. myrsinaefolia were prolate, In Q acutissima and Q. variabilis was prolate-spheroidal, and in Q. mongolica was subprolate and polar shape was semitriangular. Aperture was tricolporate or tricolporoidata. The width of colpus was small and its surface was smooth or somewhat reticulate and margo was developed in Q. acutissima and Q. variabilis.
      번역하기

      Pollens of Quercus (7 species) were observated with light microscope and analyzed. Pollens were monad and their sizes were 22.75∼31.25×27.75∼39.75㎛(Min.∼Max., P×E) In average and equatorial shapes in Q. aliena, Q. serrata, Q. dentata, and Q....

      Pollens of Quercus (7 species) were observated with light microscope and analyzed. Pollens were monad and their sizes were 22.75∼31.25×27.75∼39.75㎛(Min.∼Max., P×E) In average and equatorial shapes in Q. aliena, Q. serrata, Q. dentata, and Q. myrsinaefolia were prolate, In Q acutissima and Q. variabilis was prolate-spheroidal, and in Q. mongolica was subprolate and polar shape was semitriangular. Aperture was tricolporate or tricolporoidata. The width of colpus was small and its surface was smooth or somewhat reticulate and margo was developed in Q. acutissima and Q. variabilis.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