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두가 지구 공동체의 일원이라는 소명 의식을 바탕으로 환경적·사회적·문화적 이슈를 다루는 생태미술교육(Ecological Art Education)은 과거 근대사회의 과오였던 인간중심주의를 반성하고 이�...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6442375
진주 : 경상국립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학위논문(석사) -- 경상국립대학교 교육대학원 , 교육학과-미술교육전공 미술 , 2022.8
2022
한국어
경상남도
A Study on Teaching-Learning Method of Ecological Art in School Forest
vi, 53 p. : 삽화 ; 30 cm
경상국립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지도교수: 김수현
I804:48003-000000032042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모두가 지구 공동체의 일원이라는 소명 의식을 바탕으로 환경적·사회적·문화적 이슈를 다루는 생태미술교육(Ecological Art Education)은 과거 근대사회의 과오였던 인간중심주의를 반성하고 이�...
모두가 지구 공동체의 일원이라는 소명 의식을 바탕으로 환경적·사회적·문화적 이슈를 다루는 생태미술교육(Ecological Art Education)은 과거 근대사회의 과오였던 인간중심주의를 반성하고 이후 후대를 살아갈 모든 생명체를 위하여 삶의 기반을 보존하는 지속가능성에 의미를 두고 있다. 본 연구는 지구의 환경에 관심을 가지고 예술 활동을 전개해온 예술가들의 작품 및 작업 과정을 고찰하여 실제로 생태미술이 중등 미술교육 현장에서 수행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한 예비작업으로 다양한 생태학적 논의를 살펴보았다. 생태론을 우선적으로 검토하는 이유는, 생태학적 논의가 제기하고 있는 문제들이 앞으로의 생태미술이 드러내고 짚어나가야 할 예술적 논점들이 되기 때문이다. 생태론의 공통 결론은 환경뿐만 아니라 자연-인간 사이의 문화적 요소가 함께 고려될 때 전지구적 생명체의 삶이 더 풍요로워질 수 있다고 하였다.
이에 본고에서는 생태미술의 특성과 생태적 예술 작품 사례를 생태론에 입각하여 고찰하여보고 생태미술교육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지도안으로써 제시하였다. 첫째, 자연과 인간의 관계에 근원적 사고의 전환을 이끄는 수업이 요구된다. 학습자와 숲을 걷는 활동을 통해 ‘나와 자연’의 관계를 재정립하고 자연과 인간의 조화로운 관계에 대해 이해해본다. 둘째, 치유적 행동을 이끄는 영성적 접근이 필요하다. 학생들은 생명의 순환이라는 관점을 조형요소로 풀어내 보며 개인의 경험이 유한한 생명체계로서 시각적으로 드러나는 과정을 새롭게 경험하게 된다. 셋째, 결과적으로 공동체의 진화로 나아갈 수 있는 수업이 되어야 한다. 학생들은 환경문제의 해결과 관련하여 사회문제를 드러내는 과정을 통해 우리 사회 또한 자연의 한 부분임을 인식하고, 나아가 다양성과 다문화적인 동반자의 윤리를 발견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이 연구는 생태미술이 학습자에게 전일적 맥락으로 세계를 바라보는 시각을 형성하고, 학습자가 살아가는 장소와 주변 환경에서 자아실현을 경험하는 체험을 제공함을 밝힌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Ecological Art Education, which is dealt with environmental, cultural and social issues based on everyone is one of responsibly ‘Earth Community’, reflects on anthropocentrism in the worst past and be meant to be sustainable for all creatures in t...
Ecological Art Education, which is dealt with environmental, cultural and social issues based on everyone is one of responsibly ‘Earth Community’, reflects on anthropocentrism in the worst past and be meant to be sustainable for all creatures in the future to preserve foundation of life. The study considers artwork processes of artists who are interested in earth environment, which makes the goal to accomplish ecological art in practice. It is required to search a variety of ecological discussion. The reason which is examined logic of ecology preferentially is that the problem of ecological discussion has become ecological issues that ecological art needs to be revealed and expressed. Communal conclusion of ecological logic is that virtual life of global organism could be productive when not only environment but also cultural element between nature and human co-exists in a full-time paradigm.
The paper suggested considering concept and feature of ecological art with artists’ artworks for instance based on logic of ecology, which could guide the promising perspective for ecological art.
Firstly, it is required to change thought by the roots on relationship between nature and human. Learner reestablishes relationship between me and nature through activities during walking around School forest, which helps understand harmony relation between nature and human ultimately. Secondly, it is demanded spiritual approach which leads to healing behavior. Students could apply a formative element using a point of life circulation and experience a new visual process with individual experience as a finite creature. Thirdly, they should proceed to evolution of community in conclusion. Students are able to recognize that our society is a part of nature through identifying interest with social structural conflict and find out diversity and ethics of multicultural partner.
The point of this study reveals that ecological art makes up global perspective for learners with social and cultural context and that they could find and experience existence of life around their living area and surrounding environment.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