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위기 상황에서 비상통신체계의 전파 활용도 제고를 위한 실증 분석 = An Empirical Analysis for Improving the Utilization of Emergency Traffic in Crisis Situation - Amateur Radio Operators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276007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uggest the policy implications for improving the utilization of emergency traffic using the empirical analysis. As a result, lots of amateur radio oprators want to participate in the crisis and emergency management activities in crisis situations. So, it is firstly needed that we make some good legal conditions for using the amateur radio operators in disaster site. Especially, this paper suggests that activities of the amateur radio operators, frequency assignment, and the insurance support for the amateur radio operators are needed for getting their active participation in disaster management.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uggest the policy implications for improving the utilization of emergency traffic using the empirical analysis. As a result, lots of amateur radio oprators want to participate in the crisis and emergency management ac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uggest the policy implications for improving the utilization of emergency traffic using the empirical analysis. As a result, lots of amateur radio oprators want to participate in the crisis and emergency management activities in crisis situations. So, it is firstly needed that we make some good legal conditions for using the amateur radio operators in disaster site. Especially, this paper suggests that activities of the amateur radio operators, frequency assignment, and the insurance support for the amateur radio operators are needed for getting their active participation in disaster management.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은 아마추어 무선통신사를 대상으로 위기 상황에서의 비상통신체계의 효율적 운영을 위한 실증분석을 통해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위기 상황에서의 비상통신체계의 효율적 운영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을 위한 분석결과, 아마추어 무선사들의 위기 상황 시의 활동 참여에 대한 욕구가 강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에 따라 현행 위기 상황에서의 비상통신체계 강화를 위하여 무엇보다도 무선사의 참여 및 활용을 위한 법제도 규정이 우선 될 필요가 있는 것으로 평가되며, 무선사의 참여에 따른 정부의 지원정책과 활용방안에 대한 대안이 모색될 필요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특히, 분석의 주요 초점이 된 아마추어 무선사의 활동, 주파수 사용, 무선국 접속방법 등에 대한 법제도 정비와 협력지원 체계 강화를 위한 교육, 정부보조금 지원, 아마추어 무선사를 위한 보험가입 지원 등의 사항에 대하여는 보다 적극적인 정책 개선을 통하여 이들의 활용도를 제고하는 것이 요구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번역하기

      이 논문은 아마추어 무선통신사를 대상으로 위기 상황에서의 비상통신체계의 효율적 운영을 위한 실증분석을 통해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위기 상황에서의 비상통신체계의 효율적 ...

      이 논문은 아마추어 무선통신사를 대상으로 위기 상황에서의 비상통신체계의 효율적 운영을 위한 실증분석을 통해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위기 상황에서의 비상통신체계의 효율적 운영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을 위한 분석결과, 아마추어 무선사들의 위기 상황 시의 활동 참여에 대한 욕구가 강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에 따라 현행 위기 상황에서의 비상통신체계 강화를 위하여 무엇보다도 무선사의 참여 및 활용을 위한 법제도 규정이 우선 될 필요가 있는 것으로 평가되며, 무선사의 참여에 따른 정부의 지원정책과 활용방안에 대한 대안이 모색될 필요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특히, 분석의 주요 초점이 된 아마추어 무선사의 활동, 주파수 사용, 무선국 접속방법 등에 대한 법제도 정비와 협력지원 체계 강화를 위한 교육, 정부보조금 지원, 아마추어 무선사를 위한 보험가입 지원 등의 사항에 대하여는 보다 적극적인 정책 개선을 통하여 이들의 활용도를 제고하는 것이 요구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Ⅱ. 이론적 논의와 선행연구 검토
      • Ⅲ. 전파활용도 실증분석
      • Ⅳ. 위기관리 비상통신 전파 활용도 제고를 위한 개선방안
      • Ⅴ. 결론
      • Ⅰ. 서론
      • Ⅱ. 이론적 논의와 선행연구 검토
      • Ⅲ. 전파활용도 실증분석
      • Ⅳ. 위기관리 비상통신 전파 활용도 제고를 위한 개선방안
      • Ⅴ.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전관제, "효과적 전파 활용정책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신문방송대학원 1995

      2 신현식, "현대사회에서 재난관리시 통신의 역할에 관한 연구" 해양환경안전학회 14 (14): 55-64, 2008

      3 윤명오, "통합방재상황관리와 방재정보시스템에 관한 연구: 서울종합방재센터를 중심으로" 4 : 25-39, 2003

      4 조봉관, "철도 비상재난통신네트워크 구축" 7 (7): 29-32, 2004

      5 "전파법. 일부개정 2009. 2. 6 법률 제09455호"

      6 "전기통신기본법. 일부개정 2009. 1. 30 법률 제09401호"

      7 재난포커스, "재난포커스" 11 : 54-, 2008

      8 김진영, "재난통신시스템" 서울: 도서출판 인터비젼 2008

      9 Moor, Thomas M, "재난시 비상 시스템의 통신과 대응: 사고의 지휘 시스템" 4 (4): 49-54, 1990

      10 최경수, "재난비상위성통신망 구축방향" 14 (14): 66-79, 2007

      1 전관제, "효과적 전파 활용정책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신문방송대학원 1995

      2 신현식, "현대사회에서 재난관리시 통신의 역할에 관한 연구" 해양환경안전학회 14 (14): 55-64, 2008

      3 윤명오, "통합방재상황관리와 방재정보시스템에 관한 연구: 서울종합방재센터를 중심으로" 4 : 25-39, 2003

      4 조봉관, "철도 비상재난통신네트워크 구축" 7 (7): 29-32, 2004

      5 "전파법. 일부개정 2009. 2. 6 법률 제09455호"

      6 "전기통신기본법. 일부개정 2009. 1. 30 법률 제09401호"

      7 재난포커스, "재난포커스" 11 : 54-, 2008

      8 김진영, "재난통신시스템" 서울: 도서출판 인터비젼 2008

      9 Moor, Thomas M, "재난시 비상 시스템의 통신과 대응: 사고의 지휘 시스템" 4 (4): 49-54, 1990

      10 최경수, "재난비상위성통신망 구축방향" 14 (14): 66-79, 2007

      11 김성연, "재난대비 비상통신 사례 분석" 20 (20): 44-61, 2003

      12 이종순, "재난․재해 상황관리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서울종합방재센터를 중심으로" 서울종합방재센터 2002

      13 윤동심, "재난 정보전송 시스템을 위한 차세대 재난통신 기술" 647-652, 2009

      14 "재난 및 안전관리기본법. 일부개정 2008. 12. 31 법률 제09299호"

      15 김경환, "일본 총무성. 전파의 활용과 재분배 위한 실태조사 착수" 163 : 37-42, 2002

      16 소방방재청, "소방행정 자료 및 통계" 소방방재청 2008

      17 소방방재청, "소방방재정책백서" 소방방재청 2007

      18 김상완, "비상통신 해외사례 및 구축동향" 23 (23): 23-40, 2006

      19 이희상, "비상통신 사용자 요구사항 분석" 23 (23): 102-112, 2006

      20 김성연, "미국의 국가안전보장 및 비상대비 통신 체제 발전 동향 분석 시사점" 17 (17): 135-145, 2002

      21 선승호, "국가 재난관리 종합정보 시스템 구축 계획" 236-242, 2003

      22 전덕중, "국가 비상통신 관련 해외동향 분석" 19 (19): 159-168, 2004

      23 "http://www.weather.gov/skywarn/"

      24 "http://www.usraces.org/"

      25 "http://www.fema.gov/pdf/plan/slg101.pdf"

      26 "http://www.fcc.gov/Bureaus/Engineering_Technology/Documents/cfr/1998/47cfr97.pdf"

      27 "http://www.fcc.gov/Bureaus/Engineering_Technology/Documents/cfr/1998/47cfr97.pdf"

      28 "http://www.arrl.org/pio/emergen1.html"

      29 "http://www.arrl.org/FandES/field/pscm/sec1-ch1.html"

      30 "http://www.access.gpo.gov/nara/cfr/waisidx_07/47cfr97_07.html"

      31 "http://wireless.fcc.gov/services/index.htm?job=service_home&id=amateur"

      32 "http://wireless.fcc.gov/services/index.htm?job=about&id=amateu"

      33 "http://wireless.fcc.gov/index.htm?job=rules_and_regulations"

      34 "http://en.wikipedia.org/wiki/SKYWARN"

      35 "http://en.wikipedia.org/wiki/RACES"

      36 "http://en.wikipedia.org/wiki/Military_Affiliate_Radio_System"

      37 "http://en.wikipedia.org/wiki/Amateur_radio_emergency_communications"

      38 "http://en.wikipedia.org/wiki/Amateur_radio_emergency_communications"

      39 "http://en.wikipedia.org/wiki/Amateur_radio"

      40 "http://en.wikipedia.org/wiki/Amateur_Radio_Emergency_Service"

      41 "http://edocket.access.gpo.gov/cfr_2007/octqtr/pdf/47cfr97.407.pdf"

      42 김성경, "WiBro 기반의 공대역 공공안전재난통신기술 및 표준화 동향" 27 (27): 24-34, 201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9-21 학회명변경 한글명 :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 (사)위기관리이론과실천 KCI등재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5-12-30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위기관리논집 -> Crisisonomy
      외국어명 : Korean Review of Crisis and Emergency Management -> Crisisonomy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4 0.84 0.8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5 0.86 1.09 0.2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