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년 1월 26일, 1층 응급실 천장에서 발생한 경상남도 밀양시 세종병원화재는 소방대의 적극적인 구조활동에도 불구하고 47명이 사망하고 143명이 부상을 입은 대형화재이었다. 화재조사결과...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2018년 1월 26일, 1층 응급실 천장에서 발생한 경상남도 밀양시 세종병원화재는 소방대의 적극적인 구조활동에도 불구하고 47명이 사망하고 143명이 부상을 입은 대형화재이었다. 화재조사결과...
2018년 1월 26일, 1층 응급실 천장에서 발생한 경상남도 밀양시 세종병원화재는 소방대의 적극적인 구조활동에도 불구하고 47명이 사망하고 143명이 부상을 입은 대형화재이었다. 화재조사결과 등을 토대로 이 화재사례에서 다수 사상자가 발생한 주요 원인을 다음과 같이 분석하였다. ① 화재초기에 화재경보가 되었음에도 입원환자 대부분이 자력피난이 불가능하였고, ② 화재경보가 되고 7분이 경과한 후 119 신고를 하여 병원 건물 전체가 연기에 휩싸인 상황에서 소방대가 화재현장에 도착하였고, ③ 1층 내부 피난계단 입구의 방화문이 철거되어 내부 피난계단으로의 피난이 불가능하고 1층 응급실 출구쪽 강화유리문을 연기를 배출시키려고 개방하여 외부계단도 연기와 열기에 휩싸여서 외부계단을 통한 피난도 어려웠고, ④ 배관과 전선 등이 1층에서 5층까지 수직으로 관통하는 피트와 내부 피난 계단실의 방화구획이 되어 있지 않아 1층의 연기와 열기를 위의 모든 층으로 급속히 전파시켰고, ⑤ 세종병원 건물에 거동이 불편한 환자 99명이 입원해있음에도 10명만이 근무하고 있어서 근무자들이 환자를 지상으로 신속히 피난시킬 수 없었고, ⑥ 화재 시 사용해서는 안 되는 일반승강기를 간호사 등 6명이 탑승하여 승강기 안에서 모두가 사망하였고, ⑦ 세종병원 건물과 세종요양병원 건물 1층과 2층을 연결하고 2층 연결통로에 비가림막을 설치하여 세종요양병원 건물 안으로 급속히 열기와 연기확산을 시켰다.
참고문헌 (Reference)
1 최승복, "필로티 구조의 공동주택 화재 위험성 연구 - 의정부 대봉그린 도시형아파트 화재 사례를 중심으로 -" 한국화재소방학회 30 (30): 48-54, 2016
2 이의평, "천장 발화 화재의 문제점과 대책 분석" 한국방재학회 19 (19): 297-303, 2019
3 이의평, "제천 스포츠센터 화재의 소방대 도착 후 시간대별 상황 분석" 한국과학수사학회 13 (13): 50-59, 2019
4 이의평, "제천 스포츠센터 화재의 소방대 도착 전 시간대별 상황분석" 한국과학수사학회 12 (12): 265-273, 2018
5 이의평, "제천 스포츠센터 화재의 다수 사상자 발생원인 분석-초기대응과 관리적인 측면을 중심으로-" 한국화재소방학회 32 (32): 57-66, 2018
6 이의평, "제천 스포츠센터 화재의 다수 사상자 발생원인 분석- 건물과 설비의 구조적인 요인을 중심으로-" 한국화재소방학회 32 (32): 86-94, 2018
7 이의평, "제천 스포츠센터 화재와 밀양 세종병원 화재의 비교 분석" 한국방재학회 19 (19): 151-158, 2019
8 이의평, "제천 스포츠센터 대형 화재 현장에 출동한 소방대의 대응실태 분석" 한국과학수사학회 13 (13): 232-244, 2019
9 김정학, "연소생성물의 인체 위험도; 밀양 세종병원 화재사례 분석" 70-85, 2018
10 소방청, "밀양 ‘세종병원’ 화재"
1 최승복, "필로티 구조의 공동주택 화재 위험성 연구 - 의정부 대봉그린 도시형아파트 화재 사례를 중심으로 -" 한국화재소방학회 30 (30): 48-54, 2016
2 이의평, "천장 발화 화재의 문제점과 대책 분석" 한국방재학회 19 (19): 297-303, 2019
3 이의평, "제천 스포츠센터 화재의 소방대 도착 후 시간대별 상황 분석" 한국과학수사학회 13 (13): 50-59, 2019
4 이의평, "제천 스포츠센터 화재의 소방대 도착 전 시간대별 상황분석" 한국과학수사학회 12 (12): 265-273, 2018
5 이의평, "제천 스포츠센터 화재의 다수 사상자 발생원인 분석-초기대응과 관리적인 측면을 중심으로-" 한국화재소방학회 32 (32): 57-66, 2018
6 이의평, "제천 스포츠센터 화재의 다수 사상자 발생원인 분석- 건물과 설비의 구조적인 요인을 중심으로-" 한국화재소방학회 32 (32): 86-94, 2018
7 이의평, "제천 스포츠센터 화재와 밀양 세종병원 화재의 비교 분석" 한국방재학회 19 (19): 151-158, 2019
8 이의평, "제천 스포츠센터 대형 화재 현장에 출동한 소방대의 대응실태 분석" 한국과학수사학회 13 (13): 232-244, 2019
9 김정학, "연소생성물의 인체 위험도; 밀양 세종병원 화재사례 분석" 70-85, 2018
10 소방청, "밀양 ‘세종병원’ 화재"
11 김태현, "대구지하철화재 조사 분석(1) -타임테이블 및 참사수습체계-" 877-880, 2003
12 정순찬, "대구지하철 화재사고 사례분석" 경북대학교행정대학원 2004
13 이의평, "단락흔으로 발화개소를 입증한 화재사례의 분석" 한국방재학회 17 (17): 245-251, 2017
14 이의평, "냉동창고 화재의 문제점 및 재발방지대책" 대한건축학회 24 (24): 39-46, 2008
15 이영병, "국립현대미술관 화재특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3 (3): 81-88, 2012
16 이의평, "고양종합터미널화재의 조사·분석" 13-42, 2017
17 이의평, "고양 종합터미널 화재의 대형피해 발생원인 및 유사 대형화재에대한 예방대책 분석" 한국과학수사학회 12 (12): 39-48, 2018
18 유현정, "The Effects of Trust in Food Label Information and Negative Emotions about Food on Safety Behavior among Adult South Korean Consumers"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14 (14): 167-183, 2018
19 대법원 제1부, "2019도13563 판결문"
20 창원지방법원 밀양지원 제1형사부, "2018고합6, 10(병합), 38(병합) 판결문"
21 소방청, "2017년도 화재통계연감" 430-434, 2018
22 부산고등법원 창원제1형사부, "(창원) 2019노74 판결문"
23 국립과학수사연구원, "(밀양 세종병원)법안전감정서"
조사면담 맥락에서 피해 아동의 폭로를 촉진하는 기법 고찰
의료 시설에서 증거 보존을 위한 법의학적 사후처치 간호 프로토콜의 개발
과학수사 증거물로서 개와 고양이 털의 모수질 유형에 따른 식별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2 | 평가예정 | 계속평가 신청대상 (계속평가) | |
2021-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6-02-25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과학수사학 -> 과학수사학회지외국어명 : Korean Journal of Scientific Criminal Investigation -> Journal of Science Criminal Investigation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 ![]() |
2012-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2007-05-23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미등록 -> The Korean Academy of Scientific Criminal Investigation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45 | 0.45 | 0.45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39 | 0.36 | 0.797 | 0.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