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배영동, "혈연공동체를 결속하는 조상제사" 안동대 한국국학진흥원 67-94, 2005
2 강관식, "털과 눈, 조선시대 초상화의 제의적 명제와 조형적 과제" (248) : 95-125, 2005.12
3 조인수, "중국초상화의 성격과 기능-명청대 조종화를 중심으로" 서울시립미술관 152-161, 2003
4 馬華, "중국은사문화" 동문선 1997
5 미조구치 유조(溝口雄三), "중국사상 명강의" 소나무 2004
6 미조구치 유조(溝口雄三), "중국 전근대 사상의 굴절과 전개" 동과서 2007
7 이태호, "조선후기에‘카메라 옵스큐라’로 그림을 그렸다" (6) : 105-129, 2005
8 이태호, "조선후기 초상화의 제작공정과 그 비용" 서울서예박물관 398-404, 2003
9 강관식, "조선시대 초상화의 圖像과 心像" 미술사교육연구회 7-55, 2001
10 이성미, "조선시대 그림 속의 서양화법" 대원사 2000
1 배영동, "혈연공동체를 결속하는 조상제사" 안동대 한국국학진흥원 67-94, 2005
2 강관식, "털과 눈, 조선시대 초상화의 제의적 명제와 조형적 과제" (248) : 95-125, 2005.12
3 조인수, "중국초상화의 성격과 기능-명청대 조종화를 중심으로" 서울시립미술관 152-161, 2003
4 馬華, "중국은사문화" 동문선 1997
5 미조구치 유조(溝口雄三), "중국사상 명강의" 소나무 2004
6 미조구치 유조(溝口雄三), "중국 전근대 사상의 굴절과 전개" 동과서 2007
7 이태호, "조선후기에‘카메라 옵스큐라’로 그림을 그렸다" (6) : 105-129, 2005
8 이태호, "조선후기 초상화의 제작공정과 그 비용" 서울서예박물관 398-404, 2003
9 강관식, "조선시대 초상화의 圖像과 心像" 미술사교육연구회 7-55, 2001
10 이성미, "조선시대 그림 속의 서양화법" 대원사 2000
11 張光直, "신화 미술 제사" 동문선 1990.
12 趙善美, "명.청대 초상화와의 비교를 통해 본 조선시대 초상화의 성격" 1 : 500-521, 2006
13 박효은, "김광국의《석농화원》과 18세기 후반 조선화단" 학고재 125-157, 2003
14 崔仁辰, "韓國寫眞史, 1631-1945" 눈빛 1999
15 "湖洛..爭의 哲學史的意義 제2회 동양문화학술회의 자료집" 144155-, 1980
16 洪善杓, "朝鮮後期의 西洋畵觀" 154165-, 1988
17 趙善美, "朝鮮後期中國肖像畵의 ..入과 韓國的變用: 赴京使行持來本을 중심으로" (14) : 125-152, 2002.상반기
18 "政治的側面에서 본 忠孝思想" 15 : 2934-, 1977
19 "忠孝의 ..念과 그 思想的屈折" 15 : 8491-, 1977
20 김승혜, "儒家的人間像과 舊約的人間像 君子와 義人에 대한 宗敎學的고찰 서강대학교 국어국문학과 편 東西洋文化의 ..解" 524-, 1990
21 미조구치 유조(溝口雄三), "中國思想文化事典" 민족문화문고 2003
22 ”Chu Hsi, "Youn Sa-soon.“The Korean Controversy over Chu Hsi’s View on the Nature of Man and Things Papers presented at th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hu Hsi 1982 in Honolulu University of Hawaii Press" 570571-, 1986
23 ”eds. Arnold. J. Marsella, "Tu Wei-Ming.“Selfhood and Otherness in Confucian Thought" 231251-, 1985
24 Jansen, Marius B, "The Making of Modern Japan" Cambridge & London: Harvard University Press 2000
25 Slote, Walter H, "Psychocultural Dynamics within the Confucian Family" Albany: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37-51, 1998
26 Lu Dong, "Place des jardins dans la culture chinoise" Paris 9-15, 2000
27 Hou Ching-lang, "Physiognomonie d’apres le teint sous la dynastie des T’ang" 5570-, 1979
28 "Nostalgies coreennes: peintures et paravents du XVIIe au XIXe siecle" Paris: Musee Guimet 2001
29 Gies, Jacques, "La Perspectiva ou Science de la vision de Nian Xiyao(?..1739): le paradoxe recurrent de la rencontre Chine-Occident" Paris: Musee Guimet 13-43, 2006
30 Hsu, "Francis L. K.“ The Self in Cross Cultural Perspective" 2455-, 1985
31 Moore, "Charles A. ed. The Status of the Individual in East and West. Honolulu University of Hawaii Press" 1968.
32 King, Ambrose Y. C, "Ambrose Y. C.“ The Individual and Group in Confucianism Studies in Confucian and Taoist Value. Ann Arbor Center for Chinese Studies-University of Michigan" 5769-, 1985
33 이수미, "<尹斗緖自畵像>의 표현기법 및 안료 분석" (74) : 81-83, 2006.7
34 박은순, "19세기 文人影幀의 圖像과 樣式-..漢喆의 <..裕元像>을 중심으로-" (24) : 157-189, 2005.6
35 박은순, "..巖..賢輔의 影幀과 <影幀改摹時日記>" (242, 243) : 225-254, 2004.9
36 ..崇正, "..世寧과 宮廷繪畵" (5) : 94-101, 19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