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단이 대형단계 진입 후 진행할 연구의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현대사회가 겪고 있는 정신건강의 문제는 그 원인과 결과 모두 예측하기 어려운 복잡한 양상을 띠고 있다. 고...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G3751979
2018년
Korean
한국연구재단(NRF)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단이 대형단계 진입 후 진행할 연구의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현대사회가 겪고 있는 정신건강의 문제는 그 원인과 결과 모두 예측하기 어려운 복잡한 양상을 띠고 있다. 고...
본 연구단이 대형단계 진입 후 진행할 연구의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현대사회가 겪고 있는 정신건강의 문제는 그 원인과 결과 모두 예측하기 어려운 복잡한 양상을 띠고 있다. 고위험군 중심의 지역사회 정신건강 정책은 한정된 재원과 인력부족으로 일반인의 정신건강뿐만 아니라 고위험군의 전문적인 관리에도 비효율과 비효과성을 나타내고 있다. 탈 시설화와 정상화의 가치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의료적, 사회 제도적 측면에서 주도적으로 진행해온 정신건강증진 정책과 전략이 보다 다변화되어야 한다. 따라서 시대적 변화에 부응하지 못하는 정신건강 패러다임과 지역사회 대응전략의 비효율성과 비효과성을 극복하고 정신건강증진 전략의 사회적 보편성을 구축하기 위해 본 연구단은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연구목적을 가지고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1) 첫 번째 연구목적인 “행복한 삶을 위한 정신건강증진의 환경적 패러다임 선도‘를 위해 건강복지서비스의 환경적 메커니즘과 지역사회 네트워킹을 구현하고 지속전략을 모색하고자 한다. 2016년 개정된 정신건강복지법 시행이후 정신질환을 가진 사람들의 의료 및 정주환경에 관한 연구뿐만 아니라 지역사회 구성원의 전체 생애주기별 정신건강 증진을 위한 서비스 메커니즘을 건축, 도시, 사회, 철학적 측면에서 고찰하고 실증적으로 규명하고자 한다.
2) 두 번째 연구목적인 “정신건강증진을 위한 치유-지원환경 마스터플랜 수립”을 위해 정신건강과 연계된 다양한 환경적 스펙트럼을 제시하고 현실에 적용할 수 있는 방안을 찾고자 한다. 연구단이 중형단계까지 도출한 정시건강도시지표의 부문별 검토 및 타당성 검증 연구를 통해 궁극적으로는 보편적 치유환경 가이드라인을 구축해내는 것을 목표로 한다. 신축 또는 증·개축된 정신건강관련시설 유형별 거주 후 평가(POE) 분석을 통한 근거 중심의 환경요인 도출 및 공공시설과 정신보건 관련 시설을 중심으로 하는 치유환경 가이드라인 제시 및 정신건강도시인증제 시범사업 제안서 작성을 통해 국가의 정신건강도시 정책수립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3) 세 번째 연구목적인 “첨단기술 융합과 개입을 통한 정신건강지원 환경 모델 제시”를 위해 정보통신기술(ICT)을 활용하여 개인의 정신건강에 최적화된 서비스 정보를 제공하고 접근성을 향상시키고자 한다. 정신건강증진을 위한 감정기반 공간특성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이를 근거로 지역사회의 환경 체크리스트를 제시할 계획이다. 대형센터에서는 특히 정신건강증진을 위한 기술들은 사회의 정책과 가치 및 생활환경과 모두 연결되어 있음을 가정하는 리좀서비스 모델에 따라 지속가능한 정신건강 생태계 리좀 플랫폼을 마련하고자 한다.
재난과 정신건강(Disaster and Mental Health)
K-MOOC 대구대학교 현진희인간관계와 정신건강 /Human relationship and mental health
K-MOOC 동국대학교(WISE) 김인홍재난과 정신건강(Disaster and Mental Health)
K-MOOC 대구대학교 현진희인간관계와 정신건강 /Human relationship and mental health
K-MOOC 동국대학교(WISE) 김인홍재난과 정신건강(Disaster and Mental Health)
K-MOOC 대구대학교 현진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