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소아용 의약품의 안전사용을 위한 홍보방안 수립 및 효율적 홍보 수단(책자, 팜플렛, 광고 등) 마련을 위해계층별 맞춤형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교육 실시하였음. 이는 식약청의 홍보역...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E1656251
2010년
Korean
510
국립의과학지식센터(NCMIK)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 소아용 의약품의 안전사용을 위한 홍보방안 수립 및 효율적 홍보 수단(책자, 팜플렛, 광고 등) 마련을 위해계층별 맞춤형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교육 실시하였음. 이는 식약청의 홍보역...
○ 소아용 의약품의 안전사용을 위한 홍보방안 수립 및 효율적 홍보 수단(책자, 팜플렛, 광고 등) 마련을 위해계층별 맞춤형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교육 실시하였음. 이는 식약청의 홍보역량 강화를 위한 연구로서 국내외 소아용의약품안전사용을 위한 홍보정책과 책자,팜플렛,광고등의 홍보수단 활용형태등 현황 조사가 진행되었음.(국내 소아용의약품안전 및 보건에 관한 어린이용 교육자료수집 및 현황조사) 설문조사 결과를 토대로 CF, 인형극, 홍보용 포스터, 교육용 리플렛, 저학년 워킹북이 제작되었으며 각각은 전문가, 일반인을 대상으로 시사회 등을 통해 3차례 검토회의를 거쳐 수정 보완되었음.
○ 소아용의약품 관련 소비자상담사례 분석 및 대국민(교사나부모등)인식조사를 통해 필요한 홍보컨텐츠 수요조사는 다음과 같이 수행되었음.
- 서울지역 초등학교 보건담당 교사 대상 홍보 컨텐츠 수요 조사 (85명)
- 서울지역 보육시설 교사 대상 홍보 컨텐츠 수요조사 (300명)
- 12세이하 자녀를 둔 부모 대상 홍보 컨텐츠 수요조사 (300명)
○ 소아용 의약품 안전 관련 소비자상담 사례(2008년부터 2009년까지 한국소비자단체협의회 및 한국소비자원을 통해 접수된 약80만건)를 분석하였으나 실제 상담사례는 극히 적었음.
○ 소아용/어린이용등으로 연령별눈높이에 맞는 차별화된 홍보프로그램개발 및 홍보: 현장 교육과 설문조사등을 통해 연령별로 선호하는 교육홍보 프로그램의 유형 파악하였으며 어린이용(6-7세) 초등학교 저학년용 (1-3학년)용으로 구분하여 교육․홍보프로그램 개발, 연령에 맞는 프로그램 유형 개발을 위한 전문가 회의를 개최하였고 그 결과를 반영하여 교육홍보자료를 제작하였음. 개발된 교육프로그램을 가지고 실제 교육을 실시하였으며, 교육실시후 평가회 또는 홍보물에 대한 시사회를 통해 교육효과 분석, 평가 및 프로그램보완을 거쳐 연구결과물을 산출하였음.
○ 본 연구결과는 소아용 의약품의 안전사용 홍보 및 교육을 통한 소아용 의약품 안전성 제고, 정확하고 올바른 소아용의약품 사용 정보의 제공이 가능해 졌고, 물품별, 눈높이 홍보정책마련을 통한 KFDA 홍보방안이 제안되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