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일부 초등학생에서 주의력결핍 과잉행동 성향과 관련된 식이요인 = Study on Dietary Factors Associated with Characteristics of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56653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etary factors associated with characteristics of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DHD) in upper-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study subjects were 397 students, and 52% of total study subjects were boys. The risk for developing ADHD was assessed by using a DSM-IV questionnaire. Boy`s ADHD score was higher than that of girls (p<0.001). Subjec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ccording to the median of the ADHD score in boys and girls. The high ADHD score group showed higher frequency of skipping breakfast and a lower score for good dietary habits, as compared to the normal group. Further, the high ADHD score group showed higher frequency of processed food intake with lower frequency of vegetable intake, as compared to the normal group. These results suggest that undesirable eating habits and frequent intake of processed foods may be associated with higher risk of developing ADHD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etary factors associated with characteristics of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DHD) in upper-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study subjects were 397 students, and 52% of total stud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etary factors associated with characteristics of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DHD) in upper-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study subjects were 397 students, and 52% of total study subjects were boys. The risk for developing ADHD was assessed by using a DSM-IV questionnaire. Boy`s ADHD score was higher than that of girls (p<0.001). Subjec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ccording to the median of the ADHD score in boys and girls. The high ADHD score group showed higher frequency of skipping breakfast and a lower score for good dietary habits, as compared to the normal group. Further, the high ADHD score group showed higher frequency of processed food intake with lower frequency of vegetable intake, as compared to the normal group. These results suggest that undesirable eating habits and frequent intake of processed foods may be associated with higher risk of developing ADHD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강문희, "초등학생의 주요 가공식품으로부터 섭취하는 당, 나트륨, 지방류 등의 노출실태 조사 연구"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8 (38): 52-61, 2009

      2 이지은, "초등학생의 식습관 실태 및 학교 교육과정에서의 영양교육에 대한 인식" 한국가정과교육학회 17 (17): 79-93, 2005

      3 연미영, "초등학교 고학년생의 성별과 영양지식 수준에 따른식습관, 식품섭취빈도, 식태도 비교"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 13 (13): 307-322, 2008

      4 김남희,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 성향을 지닌 유아의 식행동과 식사균형도 조사" 한국식품영양학회 23 (23): 102-113, 2010

      5 유옥경, "전주지역 초등학교 고학년 남·여 학생의 식습관 및 식행동, 영양지식에 관한 연구" 한국식생활문화학회 22 (22): 665-672, 2007

      6 주나미, "아동의 간식섭취가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식생활문화학회 21 (21): 193-201, 2006

      7 조은아, "시흥지역 초등학생의 간식섭취 실태 및 간식관련 영양지식에 관한 연구"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 15 (15): 169-179, 2010

      8 최진영, "서울시내 일부 중학생의 식습관, 영양지식과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와의 관계" 한국영양학회 42 (42): 682-690, 2009

      9 김설아, "부천시 일부 초등학생의 영양소 섭취상태, 식습관, 학업스트레스와 학업성취도와의 관련성 연구" 한국영양학회 41 (41): 786-796, 2008

      10 왕수경, "대전지역 초등학교 4학년 학생의 비만율과 식습관 및 영양 상태에 대한 연구" 한국생활과학회 16 (16): 631-642, 2007

      1 강문희, "초등학생의 주요 가공식품으로부터 섭취하는 당, 나트륨, 지방류 등의 노출실태 조사 연구"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8 (38): 52-61, 2009

      2 이지은, "초등학생의 식습관 실태 및 학교 교육과정에서의 영양교육에 대한 인식" 한국가정과교육학회 17 (17): 79-93, 2005

      3 연미영, "초등학교 고학년생의 성별과 영양지식 수준에 따른식습관, 식품섭취빈도, 식태도 비교"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 13 (13): 307-322, 2008

      4 김남희,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 성향을 지닌 유아의 식행동과 식사균형도 조사" 한국식품영양학회 23 (23): 102-113, 2010

      5 유옥경, "전주지역 초등학교 고학년 남·여 학생의 식습관 및 식행동, 영양지식에 관한 연구" 한국식생활문화학회 22 (22): 665-672, 2007

      6 주나미, "아동의 간식섭취가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식생활문화학회 21 (21): 193-201, 2006

      7 조은아, "시흥지역 초등학생의 간식섭취 실태 및 간식관련 영양지식에 관한 연구"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 15 (15): 169-179, 2010

      8 최진영, "서울시내 일부 중학생의 식습관, 영양지식과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와의 관계" 한국영양학회 42 (42): 682-690, 2009

      9 김설아, "부천시 일부 초등학생의 영양소 섭취상태, 식습관, 학업스트레스와 학업성취도와의 관련성 연구" 한국영양학회 41 (41): 786-796, 2008

      10 왕수경, "대전지역 초등학교 4학년 학생의 비만율과 식습관 및 영양 상태에 대한 연구" 한국생활과학회 16 (16): 631-642, 2007

      11 Ministry of health & welfare, "The second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 Overview" 2002

      12 Oh EJ., "The relationship between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nd food behavior in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Seoul" SungShin Women's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Nutrition Education 2010

      13 Han SS, "The Relationships among Household Characteristics, Nutrient Intake Status and Academic Achievements of Prim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32 (32): 691-704, 1999

      14 Jang CB, "The Relationship Between Caffeine Intake and 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2 : 131-, 2008

      15 Lee YS, "Nutrition through the life cycle" Kyomunsa 187-214, 2003

      16 McCann D, "Food additives and hyperactive behaviour in 3-year-old and 8/ 9-year-old children in the community: A randomised, double-blinded, placebocontrolled trial" 370 : 1560-1567, 2007

      17 Kim HG, "A Survey of Life Style Habits of obese School Children" 11 (11): 99-110, 1998

      18 Ministry of health & welfare, "2005 The third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 Nutrition survey (I)" 200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4-12-16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Dietary Culture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Culture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0-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 0.8 0.8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7 0.89 1.461 0.1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