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Social Capital and Resident Happiness in Kore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39683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사회적 자본은 한 사회의 건전한 발전을 위해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특히 한국사회는 물리적 경제적 성장은 괄목하게 이루었지만 공감적 심리적 토대를 구축하지 못해 전반적인 행복지수...

      사회적 자본은 한 사회의 건전한 발전을 위해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특히 한국사회는 물리적 경제적 성장은 괄목하게 이루었지만 공감적 심리적 토대를 구축하지 못해 전반적인 행복지수를 낮추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사회적 자본 중 특별히 공정성과 주민행복간의 관계와 영향관계에 있어서 의사소통의 매개 효과를 분석한 것이다.
      경제적 수입은 삶의 질과 인간의 만족에 절대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행복의 중요한 지표로 간주될 수 있다. 그러나 소득이 일정 수준에 도달하고 기본적인 욕구가 충족되면 Easterlyn의 역설에서 볼 수 있듯이 행복을 비례적으로 증가시키지 못한다. 따라서 공정성과 같은 사회적 자본을 적극적으로 활성화하는 정책으로 전환하여야 한다. 공정성 이론은 교환 과정에서 인식된 불균형의 동기 효과를 설명하며 이 이론에 따르면 사람들은 지각된 산출물과 투입물의 비율을 다른 사람들과 비교한다. 따라서 행복에 영향을 미치는 다른 요인들에 대한 기본적 평가기준이 될 수 있으며 이 과정에서 공정성을 인식할 수 있는 소통이 매우 중요하게 된다. 분석결과 공정성은 직간접적으로 유의미한 효과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향후 주민 행복의 향상을 위해 지역 사회 내 공정성을 높이기 위한 정책적 노력을 기울이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Korean society has achieved remarkable economic growth, however when income reaches a certain level and basic needs are met, it does not proportionally increase happiness cognition, as it can be seen in Easterlin"s paradox. Therefore, we should consid...

      Korean society has achieved remarkable economic growth, however when income reaches a certain level and basic needs are met, it does not proportionally increase happiness cognition, as it can be seen in Easterlin"s paradox. Therefore, we should consider complementary factor such as fairness to enhance the level of residents’ satisfaction. Fairness theory explains the motivational effects of perceived imbalances in the exchange process, and people subconsciously compare the proportion of perceived input and output. In addition, communication perform a role as a medium in the conscious process because it can be a essential criterion on evaluation. We finds many results of the precedent analysis have investigated that fairness judgement has a direct and indirect effect on value evaluation. but the role of communication is not well-defined in that process.
      This study tried to analyze the mediating effect of communic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airness and the residents" happiness awareness. Recognizing fairness may be a very important factor in this process and mediating effect of communication is identified simultaneously. Therefore, it is important not to make policy reflected effects of fairness but to make public program considering communication for residents’ happiness in the futur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I. Introduction
      • II. Theoretical Discussion
      • III. Research method
      • IV. Analysis
      • V. Conclusion
      • I. Introduction
      • II. Theoretical Discussion
      • III. Research method
      • IV. Analysis
      • V. Conclusion
      • Reference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신승배, "한국인의 행복감 결정요인" 사회과학연구원 41 (41): 183-208, 2015

      2 최영출, "지역 주민의 생활 여건과 행복도의 인과적 관계" 한국자치행정학회 28 (28): 1-25, 2014

      3 서인석, "지니계수를 활용한 지역의 행복불평등 수준 분석: 서울시 25개 자치구 행복불평등지수 산출" 한국지방행정연구원 30 (30): 109-137, 2016

      4 김승현, "사회조사의 응답편향과 대체문항의 타당성: 사회적 신뢰와 공익추구" 한국정책과학학회 17 (17): 1-22, 2013

      5 최영출, "사회정책적 요인이 국민행복도와 국가경쟁력에 미치는 영향요인 분석- OECD를 중심으로 -" 한국비교정부학회 18 (18): 1-22, 2014

      6 정은진, "사회적 자본과 행복의 관계에 대한 연구: 긍정적 자아관을 매개로"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33 (33): 101-117, 2017

      7 김승현, "사회적 규범의 측정: 응답편향의 실험적 연구" 사회과학연구원 한국정치연구소 22 (22): 153-178, 2013

      8 김병섭, "거시적 사회경제요인이 국민의 행복에 미치는 영향분석: 우리나라 기초자치단체를 대상으로" 한국행정연구소 53 (53): 97-121, 2015

      9 Kahneman, D, "Would You Be Happier If You Were Richer? A Focusing Illusion" 312 (312): 1908-, 2006

      10 Easterlin, R. A, "Will raising the incomes of all increase the happiness of all" 27 (27): 35-47, 1995

      1 신승배, "한국인의 행복감 결정요인" 사회과학연구원 41 (41): 183-208, 2015

      2 최영출, "지역 주민의 생활 여건과 행복도의 인과적 관계" 한국자치행정학회 28 (28): 1-25, 2014

      3 서인석, "지니계수를 활용한 지역의 행복불평등 수준 분석: 서울시 25개 자치구 행복불평등지수 산출" 한국지방행정연구원 30 (30): 109-137, 2016

      4 김승현, "사회조사의 응답편향과 대체문항의 타당성: 사회적 신뢰와 공익추구" 한국정책과학학회 17 (17): 1-22, 2013

      5 최영출, "사회정책적 요인이 국민행복도와 국가경쟁력에 미치는 영향요인 분석- OECD를 중심으로 -" 한국비교정부학회 18 (18): 1-22, 2014

      6 정은진, "사회적 자본과 행복의 관계에 대한 연구: 긍정적 자아관을 매개로"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33 (33): 101-117, 2017

      7 김승현, "사회적 규범의 측정: 응답편향의 실험적 연구" 사회과학연구원 한국정치연구소 22 (22): 153-178, 2013

      8 김병섭, "거시적 사회경제요인이 국민의 행복에 미치는 영향분석: 우리나라 기초자치단체를 대상으로" 한국행정연구소 53 (53): 97-121, 2015

      9 Kahneman, D, "Would You Be Happier If You Were Richer? A Focusing Illusion" 312 (312): 1908-, 2006

      10 Easterlin, R. A, "Will raising the incomes of all increase the happiness of all" 27 (27): 35-47, 1995

      11 Helliwell, J, "The review of economic performance and social progress" 1-, 2001

      12 Diener, E, "The relationship between income and subjective well-being: Relative or absolute" 28 (28): 195-223, 1993

      13 Ryu Jia, "The more income, the happier it Is" 39 (39): 71-95, 2016

      14 Helliwell, J. F, "The Social Context of Well-Being" 359 (359): 1435-1446, 2004

      15 Lee Ji Eun, "The Impact of Urban Risk Awareness on Euphoria" 18 (18): 559-588, 2014

      16 Diener, E, "Subjective well-being: Three decades of progress" 125 (125): 276-, 1999

      17 Campbell, A, "Subjective measures of well-being" 31 (31): 117-, 1976

      18 Clark, A. E., "Relative Income, Happiness, and Utility: An Explanation for the Easterlin Paradox and Other Puzzles" 46 (46): 95-144, 2008

      19 Kim Seung Hyun, "Measurement of Value and Social Hopes Bias: An Example of Social Trust" 44 (44): 23-40, 2010

      20 Helliwell, J. F, "How's life? Combining individual and national variables to explain subjective well-being" 20 (20): 331-360, 2003

      21 Johnson, W, "How money buys happiness: Genetic and environmental processes linking finances and life satisfaction" 90 (90): 680-691, 2006

      22 Frey, B. S, "Happiness and economics : How the economy and institutions affect human"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10

      23 Oswald, A. J, "Happiness and Economic Performance" 107 (107): 1815-1831, 1997

      24 Veenhoven, R, "Freedom and happiness: A comparative study in forty-four nations in the early 1990s" 257-288, 2000

      25 Veenhoven, R, "Developments in satisfaction-research" 37 (37): 1-46, 1996

      26 Jung Soon-dul, "Comparison of Social Capital and Life Satisfaction by Age Group" 2012

      27 Choi Young- Chool, "Analysis of causality between decentralization, national competitiveness and national happiness: application of policy simulation" 30 (30): 1-30, 2016

      28 Kim, Byung Sup,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National Happiness, Quality of Life, and Public Service" 49 (49): 97-122, 2015

      29 Nam Ho Ha, "A Study on the Measurement of Economic Happiness Index in Korea" 18 (18): 1-28, 2012

      30 Lee Yeon Kyung, "A Study on the Influence of Social Class on Happiness: Focused on Objective Class and Subjective Class Consciousness" 55 (55): 1-39, 2017

      31 Lee, Seung Jong, "A Comparative Study on the Evaluation of Community Wellbeing Indicators by Public Officials and Experts" 47 (47): 313-337, 201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 0 0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 0 0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