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유방 조직 확장기의 1.5T와 3.0T MRI 환경 내 안정성 평가 = Evaluation of MR Safety of Breast Expander on 1.5T and 3.0T MRI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02177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safety of the breast tissue expander implanted patients who require MRI examination. Torques were 0ml, 150 ml, 300 ml, 450 ml at 1.5 Tesla forward direction, 4, 3, 3, and 2 respectively, and 1.5 Tesla rev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safety of the breast tissue expander implanted patients who require MRI examination. Torques were 0ml, 150 ml, 300 ml, 450 ml at 1.5 Tesla forward direction, 4, 3, 3, and 2 respectively, and 1.5 Tesla reverse direction at 4, 4, 4, 3 respectively. In the 3.0 T environment, 4 was shown in all conditions. In the overturning experiment, no overturning occurred in more than 300 ml in the 1.5Tesla environment, and most of the overturning occurred in the 3.0 Tesla environment. In terms of safety, MRI scans of patients with breast tissue expanders should be avoided at 3.0 Tesla and conditionally at 1.5 Tesla.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MRI 검사가 필요한 유방조직확장기 삽입 환자에 대해 체내 안전성을 평가하고자한다. 토크는 1.5 T 정방향 진입 시 0 ml, 150 ml, 300 ml, 450 ml 각각 4, 3, 3, 2이었고, 1.5 T 역방향 진입 시 각각 4, 4, 4, ...

      MRI 검사가 필요한 유방조직확장기 삽입 환자에 대해 체내 안전성을 평가하고자한다. 토크는 1.5 T 정방향 진입 시 0 ml, 150 ml, 300 ml, 450 ml 각각 4, 3, 3, 2이었고, 1.5 T 역방향 진입 시 각각 4, 4, 4, 3이었다. 3.0 T 환경에서는 모든 조건에서 4를 나타냈다. 뒤집힘 실험은 1.5 T 환경에서 300 ml 이상에서 뒤집힘이 발생하지 않았고, 3.0 T 환경에서는 대부분 뒤집힘이 발생하였다. 유방조직확장기 삽입 환자의 MRI 검사는 안전성 측면에서는 3.0 T는 피하고 1.5 T에서 조건부로 가능하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Frederick J. Duffy, "Tissue Expanders and Magnetic Resonance Imaging" Ovid Technologies (Wolters Kluwer Health) 35 (35): 647-649, 1995

      2 Sadok N, "The Effect of Smoking and Body Mass Index on The Complication Rate of Allo plastic Breast Reconstruction" 109 (109): 143-150, 2020

      3 Peter W. Henderson, "Successful Breast Reconstruction Despite Dislodgement of Tissue Expander Magnetic Ports" 36 (36): 307-309, 2016

      4 Maurizio B. Nava, "Effects of the Magnetic Resonance Field on Breast Tissue Expanders" Springer Science and Business Media LLC 36 (36): 901-907, 2012

      5 Andrew A. Marano, "Effect of MRI on breast tissue expanders and recommendations for safe use" Elsevier BV 70 (70): 1702-1707, 2017

      6 John-Paul Regan, "Breast Reconstruction Expander Implant"

      1 Frederick J. Duffy, "Tissue Expanders and Magnetic Resonance Imaging" Ovid Technologies (Wolters Kluwer Health) 35 (35): 647-649, 1995

      2 Sadok N, "The Effect of Smoking and Body Mass Index on The Complication Rate of Allo plastic Breast Reconstruction" 109 (109): 143-150, 2020

      3 Peter W. Henderson, "Successful Breast Reconstruction Despite Dislodgement of Tissue Expander Magnetic Ports" 36 (36): 307-309, 2016

      4 Maurizio B. Nava, "Effects of the Magnetic Resonance Field on Breast Tissue Expanders" Springer Science and Business Media LLC 36 (36): 901-907, 2012

      5 Andrew A. Marano, "Effect of MRI on breast tissue expanders and recommendations for safe use" Elsevier BV 70 (70): 1702-1707, 2017

      6 John-Paul Regan, "Breast Reconstruction Expander Implant"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02-28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방사선학회 논문지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08-01-24 학회명변경 한글명 : 방사선학회 -> 한국방사선학회
      영문명 : The Society of Radiology -> The Korea Society of Radiology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28 0.28 0.3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7 0.37 0.452 0.0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