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춘당 송준길 후손 집안에 전하는 135편의 한글편지에서, 한국정신 문화연구원과 한국학중앙연구원에서 출판된 책에는 송준길의 측실 여흥민씨의 발신은 없는 것으로 정리되었으나, 본고...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5275395
2018
Korean
동춘당 ; 송준길 ; 여흥민씨 ; 송요화 ; 한글편지 ; 한글간찰 ; 판독 ; 해독 ; Dongchundang ; Jun-gil Song ; Yeoheung Min ; Yo-hwa Song ; Korean-written letter ; Korean letter ; analysis ; decipher
KCI등재
학술저널
47-71(25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동춘당 송준길 후손 집안에 전하는 135편의 한글편지에서, 한국정신 문화연구원과 한국학중앙연구원에서 출판된 책에는 송준길의 측실 여흥민씨의 발신은 없는 것으로 정리되었으나, 본고...
동춘당 송준길 후손 집안에 전하는 135편의 한글편지에서, 한국정신 문화연구원과 한국학중앙연구원에서 출판된 책에는 송준길의 측실 여흥민씨의 발신은 없는 것으로 정리되었으나, 본고는 발신 2편을 밝혀냈다. 조선시대에 쓴 한글 필사체 <한글간찰 24>·<한글간찰 26>은 계증조모여흥민씨가 증손자 송요화에게 쓴 것이었다. 두 책에는 판독과 해석이 필자와 다른 부분이 있었다. <24>와 <26>의 추기는 송종오의 9대 계조비민씨 수찰임을 밝혀냈다. <24>의 ‘형’은 송요경이며, 송요경은 당시 아픈 중이므로 여흥민씨 집에 올 수 없는 상황이었다. <24>의 ‘진(塵)’은 “소수(小數)의 단위의 하나.”로 풀이 하고, ‘조금’으로 해석할 수 있을 듯하다. <24>-17-1·2는 ‘톄포(滯飽)’로 여흥민씨의 건강이 좋지 않음을 알수 있었다. <24>의 ‘인손’은 ‘송요화 아들 송익흠의 아명’이며, ‘인손 부’는 인손 송익흠의 아버지인 송요화임을 밝혀냈다. <26>에서 ‘네’는 송요화이며, ‘형’은 송요경을 지칭하였고, ‘네 아자비’는 송요화의 둘째 숙부 송병익이며, 당시 상주목사였음도 밝혀냈다. ‘<26>-7-10∼8-3’의 ‘분조□다가 오□’ 은 당시 숙부가 상주목사 재임기간에 나라에 큰 일이 생겨 분주하게 다니다가 5월 15일 오늘 몸을 심하게 다쳤음을 밝혀냈다. <26>의 수신자는 ‘흥경’임을 밝혔다. <24>의 발신일은 1708∼1711년 9월 27일이므로, 여흥민씨가 65∼68세에 쓴 편지이었으며, 수신자 송요화는 27∼30세임을 알 수 있었다. <26>의 발신일은 1708∼1712년 5월 15일이므로, 여흥민씨가 65∼69세에 쓴 편지이며, 수신자 송요화는 27∼31세임을 밝혔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mong 135 letters handed down in Donchundang Jun-gil Song, letters from Yeoheung Min, a concubine of Jun-gil Song, were settled to be nonexistent in the books published by The Academy of Korean Spirit and Culture and The Academy of Korean Studies, but...
Among 135 letters handed down in Donchundang Jun-gil Song, letters from Yeoheung Min, a concubine of Jun-gil Song, were settled to be nonexistent in the books published by The Academy of Korean Spirit and Culture and The Academy of Korean Studies, but 2 letters that were sent from her will be introduced in this paper. < Korean Letter 24 >·< Korean Letter 26 >, Korean calligraphy letters written in Chosun Dynasty, were sent to a great grandson Yo-wha Song from a step great grandmother Yeoheung Min. Some differences were spotted between those two books and me on analysis and interpretation. It has been turned out that Yeoheung Min, Jong-oh Song's step great grandmother who was 9th generation of Yeoheung Min Family, was the one who added some words to <24> and <26>. In <24>, ‘brother’ refers to Yo-kyung Song who was unable to visit Yeoheung Min for he was ill in bed. In <24>, ‘Jin(塵)’ could be regarded as "a unit for decimal numbers" and interpreted as ‘a little’. With ‘Chepo(滯 飽)’ in <24>-17-1·2, it could be assumed Yeoheung Min was in a bad condition. In <24>, ‘Inson’ has been turned out to be a childhood name of Ik-heum Song, Yo-wha Song's son, and ‘Inson's father’ refers to Ik-heum Song's father, Yo-wha Song. Also, in <26>, it turned out that ‘you’ refers to Yo-wha Song, ‘brother’ refers to Yo-kyung Song and ‘your uncle’ refers to Byung-ik Song, Yo-wha Song's second uncle and a pastor in Sangju. ‘working busy and today’ in ‘<26>-7-10∼8-3’ means the uncle got a serious injury on May 15th while working busy as a big trouble aroused in the country during his tenure as the pastor in Sangju. <26>'s recipient has been turned out to be ‘Heungkyung’. <24> was sent between 1708 and September 27th of 1711 which means Yeohueng Min was at the age of 65∼68 and Yo-hwa Song, the recipient, was at the age of 27∼30. <26> was sent between 1708 and May 15th of 1712 which means Yeohueng Min was at the age of 65∼69 and Yo-hwa Song, the recipient, was at the age of 27∼31.
참고문헌 (Reference)
1 任洪彬, "필사본 한글 간찰의 판독과 문장 분절"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 (19): 55-, 1996
2 박재연, "필사본 고어대사전 1〜7" 학고방 2010
3 "조선왕조실록 홈페이지"
4 황문환, "조선시대 언간 자료의 현황과 특성" 국어사학회 (10) : 73-131, 2010
5 황문환, "조선시대 언간 자료의 종합화와 활용 방안" 한국어학회 59 : 39-74, 2013
6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선 후기 한글 간찰(언간)의 역주 연구 4, 은진송씨 송준길 가문 한글 간찰" 태학사 2009
7 황문환, "조선 시대 諺簡 資料의 연구 현황과 전망" 한국어문교육연구회 32 (32): 69-94, 2004
8 한글학회, "우리말 큰사전 1~4" 어문각 1992
9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10 한국정신문화연구원, "韓國簡札資料選集 Ⅵ" 한국정신문화연구원 2004
1 任洪彬, "필사본 한글 간찰의 판독과 문장 분절"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 (19): 55-, 1996
2 박재연, "필사본 고어대사전 1〜7" 학고방 2010
3 "조선왕조실록 홈페이지"
4 황문환, "조선시대 언간 자료의 현황과 특성" 국어사학회 (10) : 73-131, 2010
5 황문환, "조선시대 언간 자료의 종합화와 활용 방안" 한국어학회 59 : 39-74, 2013
6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선 후기 한글 간찰(언간)의 역주 연구 4, 은진송씨 송준길 가문 한글 간찰" 태학사 2009
7 황문환, "조선 시대 諺簡 資料의 연구 현황과 전망" 한국어문교육연구회 32 (32): 69-94, 2004
8 한글학회, "우리말 큰사전 1~4" 어문각 1992
9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10 한국정신문화연구원, "韓國簡札資料選集 Ⅵ" 한국정신문화연구원 2004
11 박순임, "韓國簡札資料選集 Ⅵ" 한국정신문화연구원 282-300, 2004
12 예술의전당, "秋史한글 편지"
13 "校訂全韻玉篇 卷 上・下"
14 李鉉淙, "東洋年表" 探求堂 1971
15 남광우, "敎學古語辭典" 교학사 2009
16 同春堂文正公派譜所, "恩津宋氏 同春堂文正公派譜" 鄕志文化社 1994
17 문희순, "17~19세기 동춘당 송준길 후손가 소장 한글편지에 나타난 가족의 모습" 한국학중앙연구원 (37) : 244-285, 2017
말뭉치 기반 한국어 지시관형사와 중국어 지시대사 대조 연구 -‘이, 그, 저'와 ‘저(這),나(那)'를 중심으로-
중국 코퍼스와 인터넷을 이용한 중한사전 표제어의 적합성 연구 -C4D1을 중심으로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4-01-03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JOURNAL OF HUMANITIES STUDIES |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44 | 0.44 | 0.4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38 | 0.36 | 0.658 | 0.14 |
비밀들을 해독해볼까요
COURSERA 외 1명, Dr. Kathryn AndrusTransactional Analysis and Communications
Teachers TV Teachers TVFinancial Markets and Investment Analysis
영남대학교 조승모2014 이러닝 국제 콘퍼런스: Analysis of e-Learning Program Management for Adults in Korea
한국교육정보진흥협회 Don-Min, Choi우리의 삶에서의 암호해독
Gresham College Prof. John D Barro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