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본 연구는 중국 산동성의 평도시(平度市) 및 신강성 집단재배농장을 대상으로 주요 채소 농산물인 고추, 마늘, 양파에대하여 한국과 중국의 생산 관리체계 및 기술 수준을 비교ㆍ분석하였...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1720866
2015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614-621(8쪽)
1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1. 본 연구는 중국 산동성의 평도시(平度市) 및 신강성 집단재배농장을 대상으로 주요 채소 농산물인 고추, 마늘, 양파에대하여 한국과 중국의 생산 관리체계 및 기술 수준을 비교ㆍ분석하였...
1. 본 연구는 중국 산동성의 평도시(平度市) 및 신강성 집단재배농장을 대상으로 주요 채소 농산물인 고추, 마늘, 양파에대하여 한국과 중국의 생산 관리체계 및 기술 수준을 비교ㆍ분석하였다. 2. 고추의 경우 한국은 묘를 구입하여 정식하는 비율이 높지만 중국은 대부분 자가 채종 후 자가 육묘를 하는 체계이다. 가장 특징적인 것은 한국은 수확을 10일 간격으로 5 ~ 6회 하지만, 중국은 일시 수확하여 수확노동력을 줄이고 있다. 고추의 경영비와 생산비 비교에서는 각각 한국이 3,975원/kg,11,686원/kg이며, 중국은 519원/kg, 1,895원/kg으로 한국의 경영비가 7.3배, 생산비는 6.2배 차이가 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3. 중국의 마늘 파종량은 한국에 비해 3배 이상으로 밀식파종을 한다. 재배 이랑은 한국은 넓은 이랑이며, 중국은 2줄 좁은 이랑에서 재배 하고 있다. 멀칭은 한국이 기계멀칭을 64%하고 있으나 중국은 인력을 이용한 멀칭을 하고 있다 마늘의 경영비와 생산비 비교에서는 각각 한국이 1,128원/kg, 2,049원 /kg이며, 중국은 310원/kg, 686원/kg으로 경영비는 3.6배, 생산비는 3.0배 차이가 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4. 양파는 중국이 한국보다 경지기반은 좋으나 호당 경지면 적은 0.14 ha로 매우 영세하다. 한국은 복비와 유기질 비료를 사용하고 방제를 3 ~ 5회하는 반면, 중국은 계분을 사용하고, 살균, 살충, 제초 방제는 1회만 실시하고 있다. 육묘는 중국과 한국이 모두 구입종자를 이용한 자가 육묘를 하는 동일한 생산체계이다. 양파의 경영비와 생산비 비교에서는 각각 한국이 199원/kg,334원/kg이며, 중국은 46원/kg, 98원/kg으로 한국보다 경영비는 4.3배, 생산비는 3.4배 차이가 있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analyze the Chinese vegetable production system and to compare it with the adopted system in Korea. Farm producing pepper, garlic and onion in Sandong and Singang were surveyed. For pepper production, Korea farm purchased...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analyze the Chinese vegetable production system and to compare it with the adopted system in Korea. Farm producing pepper, garlic and onion in Sandong and Singang were surveyed. For pepper production, Korea farm purchased the planting materials while, China farm produced their own seeds and seedlings. Also, the most significant difference was the one time harvesting in China, while Korea usually harvests 5 ~ 6 times within 10 days term per year with an increase in production. The management and production cost were observed to be 3,975 won/kg, 11,686 won/kg for Korean pepper, but China has low cost by 519 won/kg, 1,895 won/kg. An amount of garlic seed in China was more than three times that of Korea. Korea covered the wide furrow with mulching plastic and used machines that raised the production rate by 64%. However, Chinese depends on the human labor and make narrow furrow to increase the productivity. The management and production cost were 1,128 won/kg, 2,049 won/kg for Korean garlic, while China has low cost by 310 won/kg, 686 won/kg respectively. To cultivate onion, the land condition of China was better than Korea having an average farm size of 0.14 ha smaller than Korea. Two nations were compared having the same seedling production system that buy the seed at the market and seedling their own land. Likewise, the management and production cost observed as 199 won/kg, 334 won/kg for Korean onion, while Chinese cost was lower by 46 won/kg, 98 won/kg. It is concluded that the good producing system of China such as pepper one-time harvesting system should be adopted to korean farm system to reduce cost.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인규, "한·중 농축산물 생산비 비교" 농촌진흥청 2012
2 서종혁, "중국의 농산물 수급과 생산구조" 한국 농촌경제연구원(KREI) 2002
3 임정빈, "중국의 WTO 가입과 한국농업" 한국 농촌경제연구원(KREI) 1999
4 한국 농촌경제연구원, "중국의 WTO 가입과 시장개방에 따른 채소·과수·화훼산업 영향과 대응방향" 2001
5 농협중앙회 해외협력부, "중국 농업현황과 전망" 1994
6 농수산물 유통공사, "중국 농산물무역 핸드북" 1999
7 박동진, "그림으로 보는 중국 농업생산통계" 농촌진흥청 2012
8 高云憲, "肥料施用技術農業可持續發展" 1999
9 葛喚喚, "我市洋大豊數苗産量達萬斤農戶期盼好價線" 膠東 在線菜州頻道 2014
10 盛祥參, "我國辣椒種質資源的分類" 8 : 196-198, 2011
1 이인규, "한·중 농축산물 생산비 비교" 농촌진흥청 2012
2 서종혁, "중국의 농산물 수급과 생산구조" 한국 농촌경제연구원(KREI) 2002
3 임정빈, "중국의 WTO 가입과 한국농업" 한국 농촌경제연구원(KREI) 1999
4 한국 농촌경제연구원, "중국의 WTO 가입과 시장개방에 따른 채소·과수·화훼산업 영향과 대응방향" 2001
5 농협중앙회 해외협력부, "중국 농업현황과 전망" 1994
6 농수산물 유통공사, "중국 농산물무역 핸드북" 1999
7 박동진, "그림으로 보는 중국 농업생산통계" 농촌진흥청 2012
8 高云憲, "肥料施用技術農業可持續發展" 1999
9 葛喚喚, "我市洋大豊數苗産量達萬斤農戶期盼好價線" 膠東 在線菜州頻道 2014
10 盛祥參, "我國辣椒種質資源的分類" 8 : 196-198, 2011
11 馬艶靑, "國辣椒産業形勢分析" 1 : 2011
12 盧文, "向二十\一世紀前進的中國農村" 中國農業出版社 1997
13 程國强, "中國農産品貿易 : 格局政策" 3 : 1999
14 朱若峰, "中國農業的變革發展" 中國統計出版社 1997
15 中華人民共和國農業部, "中國農業發展報告‘98" 中國農業出 版社 1998
16 盧文, "中國農村 : 開放發展" 中國農業出版社 1997
17 中國 國家統計局, "中國統計摘要" 2005
18 "中國統計年鑑" 中國統計出版社 2000
19 池上彰影, "中國のWTO加盟と農業政策の課題" 23 (23): 2000
20 池上彰影, "中國のWTO加盟と穀物生産·貿易の見通し" 輸入 食糧協議會 2000
21 "www.faostat.fao.org"
22 한두봉, "WTO 차기농산물협상의 시장개방효과" 고려대자연자원연구소 1999
23 ABARE., "WTO Agricultural Negotiations: Market Access Issues Institute for International Economics" China and the World Trade Organization: An Economic Balance Sheet 1999
24 USDA., "Agriculture in the WTO, International Agriculture and Trade Report" ERS 1998
25 中國農業科學院農業經濟硏究所, "1998農業經濟科技發展 硏究" 中國農業出版社 1998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5-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 ![]() |
2014-01-08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Kor. J. Intl. Agri. ->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International Agriculture | ![]() |
2011-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5-05-29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韓國國際農業開發學會誌 -> 한국국제농업개발학회지 | ![]()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32 | 0.32 | 0.3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3 | 0.27 | 0.561 | 0.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