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원통형 토석류 대책구조물의 배치조건에 따른 에너지 저감효과 분석 = Analysis on Effect of Debris Flow Energy Mitigation by Arrangement of Cylindrical Countermeasur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37649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study, in order to analyze the effect of cylindrical baffles on the debris flow energy, small-scale tests were conducted using a flume with cylindrical baffles. Various row numbers of installed baffles were considered as a test condition. To investigate the scale effect of debris flow and cylindrical baffles on flow characteristics, large-scale tests were also performed according to varying row numbers of baffle for same baffle configuration with small-scale tests. Both small- and large-scale test results showed that the increase of row number of baffle increase the energy dissipation effect due to reduction of the velocity and flow depth of debris flow.
      번역하기

      In this study, in order to analyze the effect of cylindrical baffles on the debris flow energy, small-scale tests were conducted using a flume with cylindrical baffles. Various row numbers of installed baffles were considered as a test condition. To i...

      In this study, in order to analyze the effect of cylindrical baffles on the debris flow energy, small-scale tests were conducted using a flume with cylindrical baffles. Various row numbers of installed baffles were considered as a test condition. To investigate the scale effect of debris flow and cylindrical baffles on flow characteristics, large-scale tests were also performed according to varying row numbers of baffle for same baffle configuration with small-scale tests. Both small- and large-scale test results showed that the increase of row number of baffle increase the energy dissipation effect due to reduction of the velocity and flow depth of debris flow.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원통형 대책구조물의 설치조건에 따른 토석류의 에너지 저감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원통형 대책구조물을 설치 가능한 소형 수로를 제작하고 구조물의 종방향 설치 수를 변화시켜가면서 실내모형실험을 수행하였다. 또한 토석류와 대책구조물의 크기변화가 흐름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대형수로 내에서 소형수로 실험과 동일한 종방향 구조물을 배치하고, 토석류와 대책구조물의 크기를 증가시켜 실험을 수행하였다. 소형 및 대형수로 실험결과, 원통형 대책구조물의 설치 개수가 증가는 토석류의 유속과 흐름깊이를 감소시켜, 토석류의 에너지 저감효과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번역하기

      본 연구에서는 원통형 대책구조물의 설치조건에 따른 토석류의 에너지 저감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원통형 대책구조물을 설치 가능한 소형 수로를 제작하고 구조물의 종방향 설치 수를 변화...

      본 연구에서는 원통형 대책구조물의 설치조건에 따른 토석류의 에너지 저감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원통형 대책구조물을 설치 가능한 소형 수로를 제작하고 구조물의 종방향 설치 수를 변화시켜가면서 실내모형실험을 수행하였다. 또한 토석류와 대책구조물의 크기변화가 흐름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대형수로 내에서 소형수로 실험과 동일한 종방향 구조물을 배치하고, 토석류와 대책구조물의 크기를 증가시켜 실험을 수행하였다. 소형 및 대형수로 실험결과, 원통형 대책구조물의 설치 개수가 증가는 토석류의 유속과 흐름깊이를 감소시켜, 토석류의 에너지 저감효과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진환, "토석류 충격력 특성 평가를 위한 모형실험 연구" 한국지반공학회 26 (26): 5-15, 2010

      2 조성하, "축소모형시험을 이용한 토석류 방지시설 성능평가" 한국방재학회 16 (16): 247-260, 2016

      3 김범준, "원통형 대책 구조물의 토석류의 에너지 저감 효과에 대한 실험적 연구" 한국지반환경공학회 20 (20): 57-65, 2019

      4 최신규, "슬릿트형 사방댐의 배치에 따른 토석류 흐름에 대한 영향: 축소모형실험 연구" 한국방재학회 15 (15): 223-228, 2015

      5 김성태, "버트리스댐의 최적 스크린 간격에 대한 연구" 한국방재학회 18 (18): 165-173, 2018

      6 Jun, K. J., "Verification of countermeasures by velocity estimation of real scale debris flow test" 2015

      7 Iverson, R. M., "The perfect debris flow : aggregated results from 28 large-scale experiments" 115 (115): 1-29, 2010

      8 MCT, "Road Design Manual of Mountain Area"

      9 MLIT, "River Design Criteria"

      10 Ng, C. W. W., "Physical modelling of baffles influence on landslide debris mobility" 12 (12): 1-18, 2014

      1 김진환, "토석류 충격력 특성 평가를 위한 모형실험 연구" 한국지반공학회 26 (26): 5-15, 2010

      2 조성하, "축소모형시험을 이용한 토석류 방지시설 성능평가" 한국방재학회 16 (16): 247-260, 2016

      3 김범준, "원통형 대책 구조물의 토석류의 에너지 저감 효과에 대한 실험적 연구" 한국지반환경공학회 20 (20): 57-65, 2019

      4 최신규, "슬릿트형 사방댐의 배치에 따른 토석류 흐름에 대한 영향: 축소모형실험 연구" 한국방재학회 15 (15): 223-228, 2015

      5 김성태, "버트리스댐의 최적 스크린 간격에 대한 연구" 한국방재학회 18 (18): 165-173, 2018

      6 Jun, K. J., "Verification of countermeasures by velocity estimation of real scale debris flow test" 2015

      7 Iverson, R. M., "The perfect debris flow : aggregated results from 28 large-scale experiments" 115 (115): 1-29, 2010

      8 MCT, "Road Design Manual of Mountain Area"

      9 MLIT, "River Design Criteria"

      10 Ng, C. W. W., "Physical modelling of baffles influence on landslide debris mobility" 12 (12): 1-18, 2014

      11 Choi, C. E., "Flume investigation of landslide debris-resisting baffles" 51 (51): 540-553, 2014

      12 Moriwaki, H., "Failure processes in a full-scale landslide experiment using a rainfall simulator" 1 (1): 277-288, 2004

      13 Zhou, G. G. D., "Experimental study on the regulation function of slit dam against debris flows" 16 (16): 75-90, 2019

      14 Wang, F., "Experimental study on the energy dissipation characteristics of debris flow deceleration baffles" 14 (14): 1951-1960, 2017

      15 Jung, W. G., "Experimental study on the analysis of effects of debris flow reduction facilities" Gangwon National University 2017

      16 Wang, F., "Experimental study on a debris-flow drainage channel with different types of energy dissipation baffles" 220 : 43-51, 2017

      17 KFS, "Erosion Control Technical Manual"

      18 Choi, C. E., "Coarse granular flow interaction with slitstructures" 6 (6): 267-274, 2016

      19 Lim, Y. H., "Capture effect of slit dam for debris flow and woody debris with hydraulic model experiment: focusing on a and d type" Korean Forest Society 343-344, 200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26 0.26 0.2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2 0.19 0.46 0.0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