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다문화사회’ 담론의 한계와 역설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525886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우리시대 ‘다문화사회’ 담론에는 윤리/도덕적이고 교육적인 고민이 짙게 배어있다. 그러나 본 논문에서는 이 담론이 그 내재적 논리로 인해 필연적으로 (재)생산하는 ‘근대성’에 관해 이야기하고자 한다. 즉 다문화라는 말은 표면적으로 이해와 관용, 융화와 화합을 말하고 있는 듯이 보이지만, 내부적 또는 실제적으로는 - 그 선한 의도와 무관하게 - 근대 국가단위사회에서의 (상대적인) 문화적 단일성 내지는 동질성을 재확인 내지는 강화시켜주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보인다는 것이 이 글에서 드러내 보여주고자 하는 바이다. 이를 위해 본 논문에서는 먼저 근대사회에서의 문화와 문화적 정체성의 개념을 논지에 따라 재정의하고, 이를 바탕으로 다문화사회 담론의 사회적 기능과 결과를 설명하고 분석한 후 그에 대한 비판적 입장을 정리했다. 앞으로의 사회변동에 보다 적극적으로 적응하기 위해서 우리는 내적으로 동일한 문화 ‘간(間)’의 접촉이라는 사고의 틀 자체를 넘어 스스로를 ‘잡종구성체’(heterokonstruct)로 인식하는 것이 필요할지 모른다. 그런데 사실 이것은 없는 것을 새로 만들어내는 것이라기보다는 동일성의 환상을 걷어버림으로써 ‘발견’되는 것에 불과한 것이다. 즉 자신에게 덮어씌워져 있는 환상으로부터의 ‘탈주술화’야말로 고정화된 타자를 해방시키는 지름길이 아닐까 한다.
      번역하기

      우리시대 ‘다문화사회’ 담론에는 윤리/도덕적이고 교육적인 고민이 짙게 배어있다. 그러나 본 논문에서는 이 담론이 그 내재적 논리로 인해 필연적으로 (재)생산하는 ‘근대성’에 관해 ...

      우리시대 ‘다문화사회’ 담론에는 윤리/도덕적이고 교육적인 고민이 짙게 배어있다. 그러나 본 논문에서는 이 담론이 그 내재적 논리로 인해 필연적으로 (재)생산하는 ‘근대성’에 관해 이야기하고자 한다. 즉 다문화라는 말은 표면적으로 이해와 관용, 융화와 화합을 말하고 있는 듯이 보이지만, 내부적 또는 실제적으로는 - 그 선한 의도와 무관하게 - 근대 국가단위사회에서의 (상대적인) 문화적 단일성 내지는 동질성을 재확인 내지는 강화시켜주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보인다는 것이 이 글에서 드러내 보여주고자 하는 바이다. 이를 위해 본 논문에서는 먼저 근대사회에서의 문화와 문화적 정체성의 개념을 논지에 따라 재정의하고, 이를 바탕으로 다문화사회 담론의 사회적 기능과 결과를 설명하고 분석한 후 그에 대한 비판적 입장을 정리했다. 앞으로의 사회변동에 보다 적극적으로 적응하기 위해서 우리는 내적으로 동일한 문화 ‘간(間)’의 접촉이라는 사고의 틀 자체를 넘어 스스로를 ‘잡종구성체’(heterokonstruct)로 인식하는 것이 필요할지 모른다. 그런데 사실 이것은 없는 것을 새로 만들어내는 것이라기보다는 동일성의 환상을 걷어버림으로써 ‘발견’되는 것에 불과한 것이다. 즉 자신에게 덮어씌워져 있는 환상으로부터의 ‘탈주술화’야말로 고정화된 타자를 해방시키는 지름길이 아닐까 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Discourses on Multicultural Societies often have an ethical and educational perspective. But this paper is concerned with the ‘modernity’ that this topic inevitably touches upon. This inevitability occurs because Multicultural Society discussions reaffirm and consolidate the idea of cultural uniformity and homogeneity. To demonstrate this argument, this paper, first redefines the concept of culture and cultural identity in modern society, and then explains and analyses the function and result of discourses on ‘Multicultural Society’. The concept of culture is very important for the formation and expansion of a ‘collective identity’ in a modern national society. All concepts of identity are a means of producing internal uniformity and external ‘otherness’ and differences. The ‘Multicultural Society’ concept is not exempt from this mechanism and the product of its discussion is exactly the same. So, contrary to its intention, the ‘naive’ discussion about ‘Multicultural Society’ solidifies, in communicated form, the idea of national unit. For ‘our’ future we should make an art of shifting our perception. The most important thing is, not communication between internal homogeneous cultures, but recognition of the self as a ‘heteroconstruct’. This position could be achieved if the illusion of homogeneity were cleared away.
      번역하기

      Discourses on Multicultural Societies often have an ethical and educational perspective. But this paper is concerned with the ‘modernity’ that this topic inevitably touches upon. This inevitability occurs because Multicultural Society discussions ...

      Discourses on Multicultural Societies often have an ethical and educational perspective. But this paper is concerned with the ‘modernity’ that this topic inevitably touches upon. This inevitability occurs because Multicultural Society discussions reaffirm and consolidate the idea of cultural uniformity and homogeneity. To demonstrate this argument, this paper, first redefines the concept of culture and cultural identity in modern society, and then explains and analyses the function and result of discourses on ‘Multicultural Society’. The concept of culture is very important for the formation and expansion of a ‘collective identity’ in a modern national society. All concepts of identity are a means of producing internal uniformity and external ‘otherness’ and differences. The ‘Multicultural Society’ concept is not exempt from this mechanism and the product of its discussion is exactly the same. So, contrary to its intention, the ‘naive’ discussion about ‘Multicultural Society’ solidifies, in communicated form, the idea of national unit. For ‘our’ future we should make an art of shifting our perception. The most important thing is, not communication between internal homogeneous cultures, but recognition of the self as a ‘heteroconstruct’. This position could be achieved if the illusion of homogeneity were cleared awa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요약
      • Ⅰ. 여는 글
      • Ⅱ. 근대국가사회에서의 문화 개념
      • Ⅲ. 민족문화에 대한 공동의 인식을 근간으로 하는 근대적 정체성의 형성과 그 내재적 한계
      • Ⅳ. ‘다문화사회’담론의 성격
      • 국문요약
      • Ⅰ. 여는 글
      • Ⅱ. 근대국가사회에서의 문화 개념
      • Ⅲ. 민족문화에 대한 공동의 인식을 근간으로 하는 근대적 정체성의 형성과 그 내재적 한계
      • Ⅳ. ‘다문화사회’담론의 성격
      • Ⅴ. 닫는 글: ‘다문화사회’ 담론의 한계를 넘어서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정현숙, "한국인과 미국인의 언어사용차이 : 다문화조직의 커뮤니케이션 사례연구에 나타난 문제점을 중심으로" 10 (10): 275-293, 2002

      2 김숙현, "한국인과 문화간 커뮤니케이션" 커뮤니케이션 북스 2001

      3 홍윤기, "지구화 조건 안에서 본 문화 정체성과 주체성, 세계화와 자아정체성" 사회와 철학연구회, 이학사 33-75, 2001

      4 푸꼬, "임상의학의 탄생" 인간사랑 1993

      5 홀, 스튜어트, "인종, 문화, 커뮤니케이션, 문화연구란 무엇인가" 커뮤 니케이션북스 665-679, 2000b

      6 질로이, 폴, "영국의 문화연구와 정체성의 함정들, 대중문화와 문화연구" 한울 74-99, 1999

      7 천선영, "세계화인가 세계사회인가: ‘사회’를 다시 묻는다" 35 (35): 31-49, 2000

      8 박영석, "세계화와 동서양문화간 커뮤니케이션" 태학사 2000

      9 천선영, "성(Sexuality)을 매개로한 차별과 부정적 배제 - 그 담론의 낡음과 새로움에 대하여" (23) : 105-129, 2003a

      10 김진송, "서울에 딴스홀을 허하라 - 현대성의 형성" 현실문화연구 1999

      1 정현숙, "한국인과 미국인의 언어사용차이 : 다문화조직의 커뮤니케이션 사례연구에 나타난 문제점을 중심으로" 10 (10): 275-293, 2002

      2 김숙현, "한국인과 문화간 커뮤니케이션" 커뮤니케이션 북스 2001

      3 홍윤기, "지구화 조건 안에서 본 문화 정체성과 주체성, 세계화와 자아정체성" 사회와 철학연구회, 이학사 33-75, 2001

      4 푸꼬, "임상의학의 탄생" 인간사랑 1993

      5 홀, 스튜어트, "인종, 문화, 커뮤니케이션, 문화연구란 무엇인가" 커뮤 니케이션북스 665-679, 2000b

      6 질로이, 폴, "영국의 문화연구와 정체성의 함정들, 대중문화와 문화연구" 한울 74-99, 1999

      7 천선영, "세계화인가 세계사회인가: ‘사회’를 다시 묻는다" 35 (35): 31-49, 2000

      8 박영석, "세계화와 동서양문화간 커뮤니케이션" 태학사 2000

      9 천선영, "성(Sexuality)을 매개로한 차별과 부정적 배제 - 그 담론의 낡음과 새로움에 대하여" (23) : 105-129, 2003a

      10 김진송, "서울에 딴스홀을 허하라 - 현대성의 형성" 현실문화연구 1999

      11 홀, 스튜어트, "서양과 그 외의 사회들: 담론과 권력 , 현대성과 현대문화: 형성" 현실문화연구 2001

      12 법 정, "산에는 꽃이 피네" 동쪽나라 1998

      13 천선영, "사회학, 그거 뭐하는 겁니까? - 사회학(자) 를 위한 변명, 토론패널 발제문" 1-4, 2001.05

      14 양종회, "사회이론에 있어서 문화의 위치 문화와 사회구조 및 문화와 행위의 관계" 4년 겨울 :

      15 윤도현, "민족주의와 이중국적의 불안한 동거" 131-146, 2003

      16 홀, 스튜어트(Hall, Stuart ), "문화적 정체성의 문제 , 모더니티의 미래 = Modernity and its Futures" 현실문화연구 320-385, 2000a

      17 바바, 호미(Homi K. Bhabha), "문화의 위치 =The Location of Culture" 소명출판 2002

      18 최윤희, "문화간 커뮤니케이션의 이해" 범우사 1997

      19 최윤희, "문화간 커뮤니케이션과 국제협상" 커뮤니케이션 북스 1998

      20 존슨, 리처드, "도대체 문화연구란 무엇인가" 커뮤니케이션북스 161-238, 2000

      21 김욱동, "다문화주의의 도전과 응전" 30 (30): 29-49, 1998년

      22 사토 시게끼, "네이션, 내셔널리즘, 에스니시티 - 역사사회학적 고찰, 문화연구" 한국문화사 347-383, 1998

      23 천선영, "‘해석의 해석’을 위하여 : 월드컵 거리응원 현상에 대한 민족/국가주의 담론 분석" 6 (6): 38-75, 2003b

      24 Bcker, Dirk, "Wozu Kultur?" Kadmos 2000

      25 Bauman,Zigmunt, "Unbehagen in der Postmoderne" HIS Verlag 1999

      26 Radtke, Frank-Olaf, "Multikulturelle Gesellschaft" UTB 32-50, 1997

      27 Bauman, Zigmunt, "Moderne und Ambivalenz" Fischer 1995b

      28 "Luhmann Niklas Die Gesellschaft der Gesellschaft" Suhrkamp 1997

      29 Radtke, Frank-Olaf, "Lob der Gleich-Gltigkeit. Die Konstruktion des Fremden im Diskurs des Multikulturalismus" HIS Verlag 79-96, 1998

      30 Kammhuber, Stefan, "Kulturstandards in der interkulturellen Kommunikation" Ernst Reinhardt Verlag 45-53, 1998

      31 Koschuba, Wolfgang (Hg.), "Kulturen - Identitten - Diskurse" Akademie Verlag 1995

      32 Giddens,Anthony, "Konsequenzen der Moderne" Suhrkamp 1995

      33 Maletzke, Gerhard, "Interkulturelle Kommunikation" Westdeutscher Verlag 1996

      34 Schrr, Markus, "Fremde, wenn wir uns begegnen. Von der Universalisierung der Fremdheit und der Sehnsucht nach Gemeinschaft" Bhlau 15-39, 1997

      35 Finkielkraut,Alain, "Die Niederlage des Denkens" Reinbek 1989

      36 Gilroy, Paul, "Der Status der Differenz" Campus 123-139, 1999

      37 Nassehi, Armin, "Der Fremde als Vertrauter" Westdeutscher Verlag 179-201, 1999b

      38 Nassehi, Armin, "Das stahlharte Gehuse der Zugehrigkeit. Unschrfen im Diskurs um die ‘multikulturelle Gesellschaft’" Westdeutscher Verlag 203-225, 1999a

      39 Bauman, Zigmunt, "Ansichten der Postmoderne" Argument 1995a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1 0.51 0.5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2 0.7 0.855 0.2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