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북한문학 연구에서 코리아문화 연구로 : 평화체제로의 도정과 북한문학 연구의 과제 = From the Study of North Korean Literature to the Study of One Korean Culture : The road to a peace regime and the task of the study of North Korean literature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에서는 2020년 현재 우리 학계의 북한문학 연구사를 메타비평적으로 검토한다. 지난 반 세기동안의 북한문학 전공자들을 1,2,3세대 세대별로 나누어 각 시기의 연구 쟁점과 과제를 간략...

      이 글에서는 2020년 현재 우리 학계의 북한문학 연구사를 메타비평적으로 검토한다. 지난 반 세기동안의 북한문학 전공자들을 1,2,3세대 세대별로 나누어 각 시기의 연구 쟁점과 과제를 간략히 점검한다. 이는 한반도가 냉전체제를 끝내고 평화체제를 향한 길목에서 북한문학 연구의 방향을 새로 찾기 위함이다. 이 글에서는 기존 연구 대부분이 북한문학을 사회적 정치적 반영물로 보는 역사주의적 방법론의 성과와 한계를 동시에 보였다고 고찰하였다. 그래서 북한문학 연구의 새로운 의제로 개념사적 접근과 매체론적 관점을 제안한다. 이는 북한문학의 정전이란 과연 무엇인가 하는 비판적 문제 제기에 답을 찾기 위한 방도이다. 우리가 앞으로 연구할 것은 남한 중심의 기준으로 남한 독자와 연구자가 보고 싶은 것만 선택해서 의미와 가치를 부여한 ‘북한문학’이 아니다. 북한의 입장을 존중해서, 남한이 원하는 북한문학만이 아닌 이북 지역에서 창작되고 유통된 ‘조선문학’을 실상 그대로 연구해야 한다. 이 원칙은 북한의 독자와 학자들이 ‘남조선문학’을 대할때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따라서 기존의 ‘(남)한국/(북)조선’문학의 대결구도를 해체하고 상위 개념인 ‘코리아문학’으로 재구조화해야 학문적 진전과 교류가 가능하다. 앞으로 남한국문학과 북조선문학을, 코리언 디아스포라(혈연)의 한글문학(언어)을 포괄한 ‘코리아문화’의 일환으로 다루자고 제안한다. 가령 유튜브에 ‘e-Korea’ 같은 서버를 만들어 한반도(지역), 한겨레 디아스포라(혈연)와 코리아어계(한국어권역)를 포괄하는 디지털 아카이브를 상설화하는 식으로 전 지구적 플랫폼을 구축해서 자율적으로 운영하자는 것이다. 한글문학에 대한 연구방법도 종이책을 대상으로 한 아날로그적 분석 같은 접근법을 지양하고, 유튜브 같은 디지털 플랫폼에서의 다양한 변형을 자유롭게 상상하고 의미화하는 테크놀로지 분석 등을 활용할 수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article reviews the research history of North Korean literature in our South Korean academic circles as of 2020. The scholars majoring in North Korean literature are divided by generation to briefly examine the issues and tasks of research. This ...

      This article reviews the research history of North Korean literature in our South Korean academic circles as of 2020. The scholars majoring in North Korean literature are divided by generation to briefly examine the issues and tasks of research. This is to find a new direction for literature research on the path toward a peace regime after the Korean Peninsula ended the Cold War. In this article, it is considered that the existing research shows the achievements and limitations of the historicist methodology that sees literature as a social and political reflection. So, as a new agenda for the study of North Korean literature, I propose a Conceptual historical approach and a Media theory perspective. This is a way to find answers to the critical question of what North Korean literary canon is. What we will study in the future is not North Korean literature in which meaning and value are given by selecting only what South Korean readers and researchers want to see as a South Korean-centered standard. We must respect North Korea’s position and study Korean literature[조선문학] created and distributed in North Korea, not North Korean literature[북한문학] that South Korea wants. This principle applies equally to North Korean readers and scholars when dealing with South Korean literature[남조선문학].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ismantle the confrontational composition of literature between the two Koreas and restructure it into a higher concept, ‘Korean Literature’. For example, South Korean Literature[남한국문학] and North Korean Literature[북조선문학] are treated as part of the ‘Korean culture’ that includes Korean Diaspora’s Korean Literature. For example, we create a server like “e-Korea” on YouTube. There, the digital culture and arts archives covering the Korean Peninsula, the Hankyoreh diaspora & the Korean language(Koreanphone) will be permanently established. In this way, it operates a platform that produces and distributes Korean literature globally. The research method of Korean literature also avoids an approach such as analog analysis for paper books. Instead, It utilizes culture technology analysis that freely tracks various transformations on the digital platform.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남북문학예술연구회, "해방기 북한문학예술의 형성과 전개 : 북한문학예술의 지형도 3" 역락출판사 2012

      2 남원진, "한설야의 욕망, 칼날 위에 춤추다" 경진 2013

      3 김성수, "한(조선)반도 개념의 분단사: 문학예술편 2" (주)사회평론아카데미 2018

      4 구갑우, "한(조선)반도 개념의 분단사 : 문학예술편 1" 사회평론아카데미 2018

      5 김성수, "통일의 문학 비평의 논리" 책세상출판사 2001

      6 이상숙, "통일시대 남북의 시" 서정시학사 2016

      7 김성수, "통일문학 담론의 반성과 분단문학의 기원 재검토" 민족문학사연구소 (43) : 61-89, 2010

      8 김성수, "통일 담론과 남북한 문학사 소통방안" 민족문학사연구소 (56) : 129-159, 2014

      9 오창은, "친애하는, 인민들의 문학 생활" 서해문집 2020

      10 한철, "지나간 미래" 문학동네 1998

      1 남북문학예술연구회, "해방기 북한문학예술의 형성과 전개 : 북한문학예술의 지형도 3" 역락출판사 2012

      2 남원진, "한설야의 욕망, 칼날 위에 춤추다" 경진 2013

      3 김성수, "한(조선)반도 개념의 분단사: 문학예술편 2" (주)사회평론아카데미 2018

      4 구갑우, "한(조선)반도 개념의 분단사 : 문학예술편 1" 사회평론아카데미 2018

      5 김성수, "통일의 문학 비평의 논리" 책세상출판사 2001

      6 이상숙, "통일시대 남북의 시" 서정시학사 2016

      7 김성수, "통일문학 담론의 반성과 분단문학의 기원 재검토" 민족문학사연구소 (43) : 61-89, 2010

      8 김성수, "통일 담론과 남북한 문학사 소통방안" 민족문학사연구소 (56) : 129-159, 2014

      9 오창은, "친애하는, 인민들의 문학 생활" 서해문집 2020

      10 한철, "지나간 미래" 문학동네 1998

      11 남북문학예술연구회, "전후 북한 문학예술의 미적 토대와 문화적 재편 : 북한문학예술의 지형도 6" 역락출판사 2018

      12 박태일, "전쟁기 임화와 『조쏘친선』의 활동" 국제언어문학회 (30) : 253-292, 2014

      13 남북문학예술연구회, "전쟁과 북한 문학예술의 행방 : 북한문학예술의 지형도 5" 역락출판사 2018

      14 박태일, "재북 시기 백석의 번역 문학 연구" 한국문학회 (84) : 397-448, 2020

      15 박태일, "재북 시기 리태준의 문필 활동 실증" 외국문학연구소 (61) : 139-164, 2016

      16 남원진, "이야기의 힘과 근대 미달의 양식" 경진 2011

      17 남원진, "양귀비가 마약 중독의 원료이듯…" 경진 2012

      18 조한범, "신한반도체제의 개념과 구조" 한반도평화경제포럼 2019

      19 김은정, "사적 기록성과 미적 거리의 길항 : 북한 대표작가 천세봉의 문학과 삶" 소명출판 2013

      20 김재용, "분단구조와 북한문학" 소명출판사 2000

      21 전영선, "북한의 정치와 문학 : 통제와 자율 사이의 줄타기" 경진 2014

      22 민족문학사연구소 남북한문학사연구반, "북한의 우리문학사 재인식" 소명출판 2014

      23 북한연구학회, "북한의 언어와 문학" 경인문화사 2006

      24 전영선, "북한의 문학예술 운영체계와 문예이론" 역락 2002

      25 동국대 한국문학연구소, "북한의 문학과 문예이론" 동국대출판부 2003

      26 신형기, "북한소설의 이해" 실천문학사 1996

      27 유임하, "북한소설선" 작가와비평 2018

      28 박태상, "북한문학의 현상" 깊은샘 1999

      29 남북문학예술연구회, "북한문학의 지형도 2" 청동거울 2009

      30 남북문학예술연구회, "북한문학의 지형도" 이화여대출판부 2008

      31 김종회, "북한문학의 이해 1~3" 청동거울 1999

      32 박태상, "북한문학의 동향" 깊은샘 2002

      33 임옥규, "북한문학의 감성–주체시대에서 선군시대로" 나무미디어 2020

      34 신형기, "북한문학사" 신구문화사 2001

      35 임옥규, "북한 역사소설의 재인식" 역락 2008

      36 유임하, "반공주의와 한국문학" 글누림출판사 2020

      37 김성수, "미디어로 다시 보는 북한문학 : 『조선문학』(1946~2019)의 문학·문화사" 역락출판사 2020

      38 김성수, "문학적 ‘통이(通異)’와 문학사적 통합 -북한문학 연구의 존재 증명-" 한국근대문학회 1 (1): 31-66, 2009

      39 오태호, "문학으로 읽는 북한" 국학자료원 2020

      40 한림대 한림과학원, "두 시점의 개념사" 푸른역사 2013

      41 이봉범, "냉전과 월북, (납)월북 의제의 문화정치" 역사문제연구소 21 (21): 229-294, 2017

      42 최동호, "남북한 현대문학사" 나남출판 1995

      43 선우상열, "광복후 북한현대문학 연구" 역락 2002

      44 남북문학예술연구회, "감각의 갱신, 화장하는 인민-김정은 시대와 북한문학예술의 지평 : 북한문학예술의 지형도 7" 살림터 2019

      45 김재용, "[단행본] 북한 문학의 역사적 이해" 문학과지성사; 서울 1994

      46 Liu, Lidya H., "Translingual Practice: Literature, National Culture, and Translated Modernity—China, 1900-1937" Stanford UP 1995

      47 Feres Junior, Joao, "The Expanding Horizons of Conceptual History: A New Forum" 1 (1): 2005

      48 Feres Junior, Joao, "Taking Text Seriously: Remarks on the Methodology of the History of Political Thought" 4 (4): 2008

      49 Feres Junior, Joao, "THE SEMANTICS OF ASYMMETRIC COUNTERCONCEPTS: THE CASE OF “LATIN AMERICA” IN THE US"

      50 Feres Junior, Joao, "For a critical conceptual history of Brazil: Receiving begriffsgeschichte" 1 (1): 2005

      51 남북문학예술연구회, "3대 세습과 청년 지도자의 발걸음-김정은 시대의 북한문학예술 : 북한문학예술의 지형도 4" 경진출판사 201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 KCI등재후보
      200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1 0.91 0.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6 0.87 1.721 0.3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