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말하기 연계 글쓰기 교육의 수업 사례 = A case study on cooperative lesson in writing and speech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82573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s about Writing-Speaking integrated education lesson about Ewha Womans University case. In Ewha Womans University, <Korean Language and Writing> has been operated as the only course for communication education. The goal of this curriculum is to develop the ability for logical speaking and writing, but the focus of the education is writing. But there are many students who find critical thinking and logical writing difficult. Relatively speaking, they think it is not difficult to speak oneself. Accordingly, I suggest the effective
      communication education methods for the integration education between speaking and writing.
      In this course, as students performed verbal description, group presentation and individual interview, they experienced various speaking and writing. This process contributed to less students' emotional burden and raise the interest in writing. The students have on time learning a close association speaking and writing, also realizing communicative importance by the many interactive act. And furthermore, it could increase the ability to organize their own idea and explain logically. This study has signification in suggesting the possible education method in one course through the change of class management.
      번역하기

      This study is about Writing-Speaking integrated education lesson about Ewha Womans University case. In Ewha Womans University, <Korean Language and Writing> has been operated as the only course for communication education. The goal of this curri...

      This study is about Writing-Speaking integrated education lesson about Ewha Womans University case. In Ewha Womans University, <Korean Language and Writing> has been operated as the only course for communication education. The goal of this curriculum is to develop the ability for logical speaking and writing, but the focus of the education is writing. But there are many students who find critical thinking and logical writing difficult. Relatively speaking, they think it is not difficult to speak oneself. Accordingly, I suggest the effective
      communication education methods for the integration education between speaking and writing.
      In this course, as students performed verbal description, group presentation and individual interview, they experienced various speaking and writing. This process contributed to less students' emotional burden and raise the interest in writing. The students have on time learning a close association speaking and writing, also realizing communicative importance by the many interactive act. And furthermore, it could increase the ability to organize their own idea and explain logically. This study has signification in suggesting the possible education method in one course through the change of class management.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에서는 이화여자대학교의 <우리말과 글쓰기> 수업 사례를 중심으로 말하기와 글쓰기를 효율적으로 연계할 수 있는 교육 방법에 대해 살펴보았다. <우리말과 글쓰기> 과목은 자신의 생각과 느낌을 논리적인 글과 말로 표현할 수 있는 능력을 키우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데, 그중에서도 글쓰기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학생들은 자신의 생각을 말로 표현하는 것보다 글로 표현하는 것에 두려움을 가지고 있는 경우가 많다. 이에 본고에서는 학술적인 글쓰기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말하기가 어떻게 활용될 수 있는지를 모색하고자 하였다.
      글쓰기 수업 과정 중에서 학생들은 말 그림 그리기, 조별 발표와 토론, 개별 면담 등의 다양한 말하기 활동을 수행하는데, 이러한 과정을 통해 학생들은 글쓰기에 대한 부담을 줄이는 동시에 흥미를 유발할 수 있으며, 말하기와 글쓰기가 별개의 과정이 아님을 스스로 깨닫게 된다고 생각한다. 궁극적으로는 다양한 방식의 말하기 활동을 글쓰기와 병행함으로써 자신의 생각을 체계화하고 이를 논리적으로 표현하는 종합적 의사소통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고 생각한다. 본고에서 소개한 수업 사례는 글쓰기 교육 과정에서 활용할 수 있는 여러 가지 교수 방법 중 하나일 뿐이다. 앞으로 수업 현장에서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학습자 특성에 따라 차별적으로 적용할 만한 보다 체계적이고 세분화된 교수 방법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번역하기

      본고에서는 이화여자대학교의 <우리말과 글쓰기> 수업 사례를 중심으로 말하기와 글쓰기를 효율적으로 연계할 수 있는 교육 방법에 대해 살펴보았다. <우리말과 글쓰기> 과목은 자...

      본고에서는 이화여자대학교의 <우리말과 글쓰기> 수업 사례를 중심으로 말하기와 글쓰기를 효율적으로 연계할 수 있는 교육 방법에 대해 살펴보았다. <우리말과 글쓰기> 과목은 자신의 생각과 느낌을 논리적인 글과 말로 표현할 수 있는 능력을 키우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데, 그중에서도 글쓰기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학생들은 자신의 생각을 말로 표현하는 것보다 글로 표현하는 것에 두려움을 가지고 있는 경우가 많다. 이에 본고에서는 학술적인 글쓰기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말하기가 어떻게 활용될 수 있는지를 모색하고자 하였다.
      글쓰기 수업 과정 중에서 학생들은 말 그림 그리기, 조별 발표와 토론, 개별 면담 등의 다양한 말하기 활동을 수행하는데, 이러한 과정을 통해 학생들은 글쓰기에 대한 부담을 줄이는 동시에 흥미를 유발할 수 있으며, 말하기와 글쓰기가 별개의 과정이 아님을 스스로 깨닫게 된다고 생각한다. 궁극적으로는 다양한 방식의 말하기 활동을 글쓰기와 병행함으로써 자신의 생각을 체계화하고 이를 논리적으로 표현하는 종합적 의사소통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고 생각한다. 본고에서 소개한 수업 사례는 글쓰기 교육 과정에서 활용할 수 있는 여러 가지 교수 방법 중 하나일 뿐이다. 앞으로 수업 현장에서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학습자 특성에 따라 차별적으로 적용할 만한 보다 체계적이고 세분화된 교수 방법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들어가며
      • 2. 말하기 연계 글쓰기 교육 방법
      • 2.1. 글쓰기 자가 진단
      • 2.2. 말 그림 그리기
      • 2.3. 조별 발표와 토론
      • 1. 들어가며
      • 2. 말하기 연계 글쓰기 교육 방법
      • 2.1. 글쓰기 자가 진단
      • 2.2. 말 그림 그리기
      • 2.3. 조별 발표와 토론
      • 2.4. 개별 면담
      • 3. 나가며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