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김옥희, "한국천주교 사상사II–다산 정약용의 서학사상 연구-" 순교의 맥 1991
2 천관우, "한국실학사상사, In 한국문화사대계 VI" 고려대 민족문화연구소 1970
3 최석우, "한국교회사의 탐구II 중 정약용과 천주교의 관계, In 정다산의 서학사상" 한국교회사연구소 1991
4 안영상, "토미즘과 비교를 통해서 본 정약용의 인심도심론" 한국실학학회 (9) : 219-260, 2005
5 Kevin N. Cawley, "타자 안에 있는 동일자의 흔적들 : 다산의 그리스도-유교학 해체하기" 다산학술문화재단 2012
6 안영상, "천주교의 수용 과정에 나타난 사상적 變容에 관한 연구- 상제 귀신설을 중심으로_" 동양철학연구회 28 : 67-104, 2002
7 한형조, "주희에서 정약용으로 : 조선유학의 철학적 패러다임 연구" 세계사 2002
8 장동우, "주자학적 패러다임의 반성과 해체과정으로서의 실학 : 자연학과 인간학의 분리를 중심으로" 한림대태동고전연구소 12 : 1995
9 한형조, "주자 神學의 현대적 옹호" 2004
10 한형조, "좌담 : 다산, 주자학 그리고 서학" 다산학술문화재단 (2) : 2001
11 차기진, "조선후기의 西學과 斥邪論 연구" 한국교회사연구소 2002
12 Boudewijn Walraven, "조선후기사회에 대한 인류역사학 자료로서의 다산의 저술들" 다산학술문화재단 2012
13 손흥철, "조선후기 천주교 수용의 학술사적 의미 고찰 - 다산 정약용과 신서파·공서파를 중심으로 ―" 재단법인다산학술문화재단 (9) : 41-79, 2006
14 조광, "조선후기 실학사상의 연구동향과 전망, In 조선후기사상계의 전환기적 특징" 경인문화사 2010
15 이원순, "조선후기 實學者의 西學意識" 17 : 1975
16 임부연, "정약용의 수양론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4
17 조광, "정약용의 민권의식 연구" 고려대아세아문제연구소 56 : 1976
18 송성수, "정약용의 기술사상" 한국과학사학회 16 (16): 1994
19 조성을, "정약용의 刑政觀" 연세대 사학연구회 23 : 2002
20 백민정, "정약용에 대한기존 연구경향과 그에 대한 반성, In 정약용의 철학" 이학사 2007
21 장승구, "정약용과실천의 철학" 서광사 2001
22 금장태, "정약용 한국 실학의 집대성" 성균관대 출판부 2002
23 이상익, "정약용 사회사상의 새로운 지평" 한국철학회 48 : 1996
24 김영식, "정약용 사상과 학문의 실용주의적 성격" 다산학술문화재단 2012
25 김영식, "정약용 사상 속의 과학기술 : 유가전통, 실용성, 과학기술" 서울대출판부 2006
26 허흥식, "정민 ; 茶山 逸文을 통해본 승려와의 교유와 강학에 대한 토론문" 고려대 2012
27 백남운, "정다산의 사상《1935년 다산서세 백주년 기념행사》"
28 김영호, "정다산의 과학기술사상" 단국대 동양학연구소 19 : 1989
29 장승구, "정다산의 개혁적 역사관" 동양철학연구회 16 : 1996
30 박홍식, "일제강점기 정인보鄭寅普·안재홍安在鴻·최익한崔益翰의 다산茶山 연구" 재단법인다산학술문화재단 (17) : 45-93, 2010
31 노경희, "일본 소재 정약용 필사본의 소장 현황과 서지적 특징" 재단법인다산학술문화재단 (9) : 177-216, 2006
32 노경희, "일본 宮內廳書陵部 소장본 丁學淵 시집 『三倉館集』의 영인 및 해제(1)" 다산학술문화재단 (6) : 2005
33 한형조, "유신론적 주자학과 다산학 사이의 대화" 다산학술문화재단 2012
34 한자경, "유교와 천주교 사이의 다산 : 인간본성의 이해를 중심으로 논함, In 17 ․ 18세기 조선의 외국서적수용과 문화변동" 이대한국문화연구원 2005
35 김문식, "여유당전서 경질 체제의 검토" 다산학술문화재단 (5) : 2004
36 정약용, "여유당전서"
37 이상은, "실학사상의 형성과 전개" 26 (26): 1972
38 고려대 아세아문제연구소 한국연구실, "실학사상의 탐구" 현암사 1974
39 전남대학교 호남문화연구소, "실학논총-이을호박사정년기념" 전남대출판부 1975
40 백민정, "송영배 ; 다산에 보이는 『천주실의』의 철학적 영향에 대한 토론문" 서울 프레스센터 2012
41 윤사순, "성리학과 실학, 그 근본사고의 동이성에 대한 고찰, In 다산정약용" 예문서원 2005
42 이동희, "서학수용의 두 가지 반응 : 신후담과 정약용–마테오 리치의 『천주실의』 수용을 중심으로–" 서울 프레스센터 2012
43 정인재, "서학과 정다산의 성기호설" 재단법인다산학술문화재단 (7) : 81-116, 2005
44 김영식, "서양과학에 나타난 정약용의 태도" 서울 프레스센터 2012
45 이향만, "쁘레마르와 다산의 유교해석에 대한 토착신학적 의의" 서울 프레스센터 2012
46 김영식, "미신과 술수에 대한 정약용의 태도" 재단법인다산학술문화재단 (10) : 7-54, 2007
47 김승혜, "무언으로 배려하는 천天사상에 수용된 서학적 지평, In 다산사상 속의 서학적 지평" 서강대 인문과학연구소 2004
48 송영배, "마테오 리치의 서학과 한국 실학의 현대적 의미" 대동문화연구원 11 (11): 287-314, 2004
49 김선희, "라이프니츠의 신, 정약용의 상제" 서울 프레스센터 2012
50 장승구, "동서사상의 만남과 정약용의 인간관 - 作爲의 주체로서의 인간 -" 재단법인다산학술문화재단 (8) : 381-412, 2006
51 이광호, "동서 융합의 측면에서 본 정약용의 사상" 퇴계학연구원 113 : 131-180, 2003
52 이을호, "다산학의 이해" 현암사 1975
53 김상홍, "다산학연구–부 다산학 연구논저 총목록–" 계명문화사 1990
54 성태용, "다산학에 있어서 몸 기름과 마음 기름" 다산학술문화재단 2 : 2001
55 이봉규, "다산학 연구의 최근 동향과 전망–근대론의 시각을 중심으로" 다산학술문화재단 (6) : 2005
56 김문식, "다산학 연구의 최근 동향 ; 역사학" 연세대 강진다산실학연구원 (창간) : 2008
57 구만옥, "다산학 연구의 최근 동향 : 자연학" 연세대 강진다산실학연구원 (창간) : 2008
58 김상홍, "다산학 연구의 과제" 단국한문학회 13 : 1995
59 송재소, "다산학 연구의 諸問題" 다산학술문화재단 2012
60 김상홍, "다산학 연구–부 다산학 연구논저 총목록– 중 제1부 “다산 정약용의 탐구” 중, In 다산의 천주교 신봉론에 대한 반론–최석우 신부의 논문을 읽고–, 다산의 천주교 신봉여부" 계명문화사 1990
61 김상홍, "다산의 천주교 신봉에 대한 반론–최석우 신부의 논문을 읽고–, In 다산문학의 재조명" 단국대출판부 2003
62 김상홍, "다산의 천주교 신봉론에 대한 반론" 중앙대 1990
63 김상홍, "다산의 천주교 신봉론에 대한 반론" 단국대 동양학연구소 20 : 1990
64 김상홍, "다산의 천주교 신봉론에 대한 반론" 계명문화사 1990
65 김상홍, "다산의 천주교 신봉론에 대하여" 1987
66 김상홍, "다산의 천주교 신봉 여부–『여유당전서』를 중심으로–, In 연민이가원선생칠추송수기념논총" 정음사 1987
67 고병익, "다산의 진보관–그의 기예론을 중심으로–" 1965
68 이봉규, "다산의 정치론 : 주자와의 거리" 재단법인다산학술문화재단 (11) : 205-234, 2007
69 윤사순, "다산의 인간관 : 탈성리학적 관점에서, In 정다산 연구의 현황" 민음사 1985
70 윤사순, "다산의 인간관" 9 :
71 김상홍, "다산의 시세계, In 다산시선집 流刑地와 哀歌" 단국대출판부 1981
72 최기복, "다산의 사생구원관, In 다산사상 속의 서학적 지평" 서강대출판부 2004
73 박병호, "다산의 법사상, In 丁茶山硏究의 現況" 민음사 1985
74 김상홍, "다산의 문학연구" 다산학술문화재단 2012
75 성태용, "다산의 明善論에 대한 일고찰" 한림대 태동고전연구소 1 : 1984
76 정순우, "다산의 形而上學" 5 : 1983
77 한종만, "다산의 天觀" 전남대 호서문화연구소 1975
78 금장태, "다산의 事天學과 西學收容" 서울대 철학사상연구소 16 : 2003
79 김상홍, "다산의 「秘本 墓誌銘 7편」과 천주교" 고려대 인촌기념관 2012
80 백민정, "다산의 ‘윤집궐중(允執厥中)’론" 한국실학학회 (13) : 133-168, 2007
81 김상홍, "다산은 천주교 신자가 아니다"
82 이을호, "다산유학과 다산 경학, In 다산 정약용" 예문서원 2005
83 정순우, "다산에 있어서의 천과 상제" 재단법인다산학술문화재단 (9) : 5-39, 2006
84 송영배, "다산에 보이는 『천주실의』의 철학적 영향" 서울 프레스센터 2012
85 금장태, "다산실학탐구" 소학사 2001
86 한우근, "다산사상의 전개, In 정다산 연구의 현황" 민음사 1985
87 이동환, "다산사상에서의 上帝 도입경로에 대한 서설적 고찰, In 벽사 이우성교수정년퇴직기념논총–민족사의 전개와 그 문화– 下" 창작과 비평사 1990
88 이동환, "다산사상에서의 ‘上帝’ 문제" 민족문화추진회 19 : 1996
89 이동환, "다산사상에서의 ‘上帝’ 도입경로에 대한 序說的 고찰, In 다산학의 탐구" 민음사 1990
90 한형조, "다산과 서학 : 조선 주자학의 연속과 단절" 다산학술문화재단 (2) : 2001
91 이지형, "다산경학연구" 태학사 1996
92 이을호, "다산경학사상연구" 을유문화사 1989
93 장승희, "다산 정약용의 윤리사상에 대한 연구" 동양철학연구회 19 : 1998
94 張承姬, "다산 정약용의 도덕적 자율성에 관한 연구" 서울大學校 大學院 1998
95 김상홍, "다산 정약용 문학연구" 단국대 출판부 1985
96 노경희, "다산 저술의 전승과 유통에 대한 서지학적 고찰–다산가장의 고본에서 신조선사의 『여유당전서』에 이르기까지–" 고려대 2012
97 정순우, "다산 연구의 제논점과 쟁점, In 한국학대학원논문집"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한국학대학원 1993
98 尹(예원), "다산 선생의 行路를 추억함" 1935
99 최석우, "다산 서학에 관한 논의, In 茶山 丁若鏞의 西學思想–1993년도 다산문화제 기념논총–》" 다섯수레 1993
100 이동환, "다산 사상에서의 ‘상제’도입의 경로와 성격, In 다산 정약용" 예문서원 2005
101 금장태, "다산 경학의 탈주자학적 세계관" 다산학술문화재단 (1) : 2000
102 금장태, "논문 : 다산의 심개념과 마테오 릿치의 영혼론" 종교문제연구소 (8) : 63-94, 2002
103 구만옥, "김영식 ; 서양과학에 나타난 정약용의 태도”에 대한 토론문" 서울 프레스센터 2012
104 김옥희, "광암 이벽의 서학사상" 가톨릭출판사 1979
105 박철상, "간찰을 통해본 다산 –文集 未收錄 簡札을 중심으로–" 다산학술문화재단 2012
106 최석우, "韓國天主敎會史(상·중·하)" 한국교회사연구소 1981
107 이기경, "闢衛編"
108 朴鍾鴻, "西歐思想의 導入 批判과 攝取" 고려대 아세아문제연구소 12 (12): 1969
109 최동희, "西學에 대한 韓國實學의 反應" 고려대 민족문화연구소 1988
110 김언종, "茶山의 經學, 그 대개 및 의의" 고려대 2012
111 김상홍, "茶山의 ‘秘本 墓誌銘 7편’과 天主敎" 고려대 2012
112 정석종, "茶山著作에 대한 2 ․ 3의 問題" (봄) : 1983
113 이을호, "茶山經學 成立의 背景과 性格, In 丁茶山硏究의 現況" 민음사 1985
114 한우근, "茶山思想의 展開, In 丁茶山 硏究의 現況" 민음사 1985
115 정일균, "茶山四書經學硏究" 일지사 2000
116 송영배, "茶山哲學과 天主實義의 페러다임 比較硏究" 2 : 2002
117 편집실, "茶山先生의 逝世百年을 마지하여" 3 (3): 1935
118 劉權鐘, "茶山 禮學 硏究 : 喪儀說을 중심으로" 高麗大學校 大學院 1991
119 원재연, "茶山 閭田制의 사회 사상적 배경에 관한 일고찰, In 조선왕조의 법과 그리스도교–동서양의 상호인식과 문화충돌–" 한들출판사 2003
120 정민, "茶山 逸文을 통해본 승려와의 교유와 강학" 고려대 2012
121 정병련, "茶山 哲學의 淵源과 그의 학문성향, In 조선조 유학사상의 탐구" 여강출판사 1988
122 민영규, "茶山 三則" 연세대 국학연구원 22 : 1979
123 김옥희, "茶山 丁若鏞의 西學思想–1993년도 다산문화제 기념논총–" 다섯수레 1993
124 洪德基, "茶山 丁若鏞의 土地改革思想 연구 : 閭田論을 중심으로" 全南大學校 大學院 1990
125 조성을, "與猶堂集의 문헌학적 연구–詩律 및 雜文의 年代考證을 중심으로–" 혜안 2004
126 김영호, "與猶堂全書의 텍스트 檢討, In 丁茶山硏究의 現況" 민음사 1985
127 금장태, "社稷祭와 禘祭에 대한 다산의 禮學的 관점" 서울대 종교학연구회 16 : 1997
128 홍이섭, "牧民心書』正文에 就하여" 1965
129 안병직, "牧民心書 考異, In 정다산 연구의 현황" 민음사 1985
130 이광호, "李退溪의 철학사상이 丁茶山의 경학사상의 형성에 미친 영향에 관한 고찰" 퇴계학연구원 90 : 1996
131 홍이섭, "李蘗–韓國近世思想史上의 그의 位置–" 한국교회사연구소 1 : 1976
132 한형조, "朱熹에서 정약용에로의 철학적 사유의 전환" 韓國精神文化硏究院 韓國學大學院 1992
133 다블뤼 주교, "朝鮮殉敎史備忘記"
134 이능화, "朝鮮基督敎及外交史" 신한서림 1929
135 車基眞, "星湖學波의 西學 認識과 斥邪論에 대한 연구" 韓國精神文化硏究院 韓國學大學院 1995
136 崔東熙, "愼後聃의 西學辨에 관한 연구" 고려대 아세아문제연구소 15 (15): 1972
137 유권종, "後期實學과 性理學의 관계 : 退溪와 茶山을 중심으로" 한국보학연구회 18 : 2003
138 유명종, "尹白湖와 丁茶山, In 한국유학연구" 이문출판사 1988
139 박종홍, "對西歐的 世界觀과 茶山의 洙泗舊觀, In 실학논총–이을호박사정년기념" 전남대출판부 1975
140 박종홍, "對西歐的 世界觀과 茶山의 洙泗舊觀" 전남대호서문화연구소 1975
141 조성을, "實學의 女性觀" 한국사상사학회 (20) : 17-34, 2003
142 홍이섭, "實學의 理念的 一貌–河濱 愼後聃의 西學辨 紹介–" 연세대 인문과학연구소 1 : 1957
143 역사학회, "實學硏究入門" 일조각 1973
144 윤사순, "實學的 經學觀의 特色, In 실학논총–이을호박사정년기념" 전남대출판부 1975
145 정석종, "南皐 尹持範과 茶山, In 손보기박사정년기념 한국사학논총" 지식산업사 1988
146 주재용, "先儒의 天主思想과 祭祀問題" 가톨릭출판사 1958
147 정규영, "俟菴先生年譜"
148 이광호, "上帝觀을 중심으로 본 儒學과 基督敎의 만남" 한국유교학회 (19) : 533-566, 2003
149 금장태, "丁茶山의 사상에 있어서 西學의 영향과 그 의의" 국제대학교 3 : 1975
150 하우봉, "丁茶山의 西學關係에 對한 一考察" 한국교회사연구소 1 : 1977
151 강재언, "丁茶山의 西學觀, In 茶山學의 探究" 민음사 1990
152 최석우, "丁茶山의 西學思想, In 정다산과 그 시대" 민음사 1986
153 宋世興, "丁茶山의 信仰與否" 3 (3): 1935
154 "丁茶山硏究의 現況, In 다산의 경학사상 토론개요–修己治人과 修己牧民–" 민음사 161-166, 1985
155 홍이섭, "丁若鏞의 政治經濟思想硏究" 한국연구도서관 1959
156 조성을, "丁若鏞의 尙書硏究 문헌의 검토" 연세대 국학연구원 54~56 : 1987
157 柳初夏, "丁若鏞의 宇宙觀" 高麗大學校 大學院 1990
158 이상익, "丁若鏞의 倫理思想에 대한 朱子學的 反論" 국학연구원 (119) : 283-327, 2003
159 조성을, "丁若鏞과 敎案" 고려대 2012
160 조성을, "丁若鏞 著作의 체계와 『여유당집』 雜文의 재검토" 서울대 도서관 8 : 1984
161 이광호, "『중용강의보』와『중용자잠』을 통하여 본 다산의 성의 철학" 재단법인다산학술문화재단 (7) : 51-79, 2005
162 김언종, "『여유당전서보유』의 저작별 진위문제에 대하여(中)" 재단법인다산학술문화재단 (10) : 305-331, 2007
163 김언종, "『여유당전서보유』의 저작별 진위문제에 대하여(下)" 재단법인다산학술문화재단 (11) : 321-353, 2007
164 김언종, "『여유당전서보유』의 저작별 진위문제에 대하여(上)" 재단법인다산학술문화재단 (9) : 123-175, 2006
165 장동우, "『여유당전서』정본사업을 위한 필사본 연구 - 경집經集을 중심으로" 재단법인다산학술문화재단 (7) : 251-289, 2005
166 김문식, "『상서지원록尙書知遠錄』필사본의 원문 비교" 재단법인다산학술문화재단 (10) : 227-258, 2007
167 박종천, "『민보의民堡議』필사본에 대한 연구" 재단법인다산학술문화재단 (12) : 145-173, 2008
168 조성을, "『경세유표經世遺表』의 문헌학적 검토" 재단법인다산학술문화재단 (10) : 259-304, 2007
169 Ch. Dallet, "Histoire de l’Eglise de Corée, Vol. 1, 2" Librairie Victor Palmé Éditeur 1874
170 최석우, "Dallet가 인용한 정약용의 韓國福音傳來史" 한국교회사연구소 1 : 1976
171 김상홍, ""다산은 천주교인이다”에 대한 반론" 13 : 19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