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발달 장애 가족의 정서적 역량 강화를 위한 기능성 모바일 게임 개발 = Development of A Serious Mobile Game to Empower the Emotional Aspects of Families with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91278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을 통하여 발달 장애아동의 가족 특히 부모를 대상으로 자녀양육의 역량강화를 위하여 장애부모 자신의 양육스트레스에 효율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모바일 기능성 게임 프로그램을 기획하였다. 본 게임은 장애아동의 부모들을 교육시킬 수 있는 3가지의 미니 게임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이 게임을 통해 장애아동의 부모들에 대한 일상생활의 심리적 안정을 도모한다. 이를 위하여 사회복지학, 유아교육학, 특수교육학, 심리치료학, 게임학 등 각 분야의 의견을 수렴해 융합 콘텐츠를 제작하기 위한 노력을 하였으며 최종적으로 스마트폰용 게임 콘텐츠가 개발되었다.
      번역하기

      본 논문을 통하여 발달 장애아동의 가족 특히 부모를 대상으로 자녀양육의 역량강화를 위하여 장애부모 자신의 양육스트레스에 효율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모바일 기능성 게임 프로그램을 ...

      본 논문을 통하여 발달 장애아동의 가족 특히 부모를 대상으로 자녀양육의 역량강화를 위하여 장애부모 자신의 양육스트레스에 효율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모바일 기능성 게임 프로그램을 기획하였다. 본 게임은 장애아동의 부모들을 교육시킬 수 있는 3가지의 미니 게임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이 게임을 통해 장애아동의 부모들에 대한 일상생활의 심리적 안정을 도모한다. 이를 위하여 사회복지학, 유아교육학, 특수교육학, 심리치료학, 게임학 등 각 분야의 의견을 수렴해 융합 콘텐츠를 제작하기 위한 노력을 하였으며 최종적으로 스마트폰용 게임 콘텐츠가 개발되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smartphone based serious mobile game for the parents who are raising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is game was designed to help them to promote efficient coping skills for their child rearing stress.
      The game system composed of 3 mini game contents propose a new model for educational game for parents who are raising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this game also help them to manage emotional stability of parents' everyday life.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smartphone based serious mobile game for the parents who are raising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is game was designed to help them to promote efficient coping skills for their child rearing st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smartphone based serious mobile game for the parents who are raising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is game was designed to help them to promote efficient coping skills for their child rearing stress.
      The game system composed of 3 mini game contents propose a new model for educational game for parents who are raising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this game also help them to manage emotional stability of parents' everyday lif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ABSTRACT
      • Ⅰ. 서론
      • Ⅱ. 연구 배경
      • Ⅲ. 게임 개발
      • 요약
      • ABSTRACT
      • Ⅰ. 서론
      • Ⅱ. 연구 배경
      • Ⅲ. 게임 개발
      • Ⅳ. 결론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춘호, "형식장애청소년과 비장애청소년의 또래 관계 확대: 기능성게임의 활용" (사)한국컴퓨터게임학회 (13) : 43-52, 2008

      2 이상복, "특수아동지도" 공동체 2007

      3 국립특수교육원, "특수교육요구학생실태조사" 133-, 2008

      4 김선해, "통합촉진을 위한 가족지원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장애아동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양육효능감 및 가족역량강화에 미치는 효과" 한국특수아동학회 12 (12): 183-200, 2010

      5 유경희, "충남지역 아동의 건강증진을 위한 멀티미디어 재택 부모 교육 시스템 개발" 7 (7): 81-93, 2001

      6 이춘호, "청각장애 아동용 청능 훈련 기능성게임 디자인 제안" (사)한국컴퓨터게임학회 (19) : 203-210, 2009

      7 조인수, "지적장애아 부모의 양육스트레스와 대처방식" 한국특수아동학회 11 (11): 113-137, 2009

      8 한은선, "주의력결핍/과다활동장애(ADHD)아동의 사회기술훈련의 효과"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00

      9 조성은, "장애아동 어머니를 위한 심리적 적응 훈련 프로그램 개발 및 그 효과" 한국상담학회 5 (5): 1065-1080, 2004

      10 김나영, "장애아동 부 · 모의 스트레스 분석" 한국발달장애학회 3 : 1-14, 1999

      1 이춘호, "형식장애청소년과 비장애청소년의 또래 관계 확대: 기능성게임의 활용" (사)한국컴퓨터게임학회 (13) : 43-52, 2008

      2 이상복, "특수아동지도" 공동체 2007

      3 국립특수교육원, "특수교육요구학생실태조사" 133-, 2008

      4 김선해, "통합촉진을 위한 가족지원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장애아동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양육효능감 및 가족역량강화에 미치는 효과" 한국특수아동학회 12 (12): 183-200, 2010

      5 유경희, "충남지역 아동의 건강증진을 위한 멀티미디어 재택 부모 교육 시스템 개발" 7 (7): 81-93, 2001

      6 이춘호, "청각장애 아동용 청능 훈련 기능성게임 디자인 제안" (사)한국컴퓨터게임학회 (19) : 203-210, 2009

      7 조인수, "지적장애아 부모의 양육스트레스와 대처방식" 한국특수아동학회 11 (11): 113-137, 2009

      8 한은선, "주의력결핍/과다활동장애(ADHD)아동의 사회기술훈련의 효과"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00

      9 조성은, "장애아동 어머니를 위한 심리적 적응 훈련 프로그램 개발 및 그 효과" 한국상담학회 5 (5): 1065-1080, 2004

      10 김나영, "장애아동 부 · 모의 스트레스 분석" 한국발달장애학회 3 : 1-14, 1999

      11 전혜인, "부모결연프로그램이 발달장애아동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가족능력강화에 미치는 영향" 한국특수교육학회 40 (40): 267-280, 2005

      12 유승호, "모바일게임산업 동향과 이용자 분석에 관한 연구" 6 (6): 15-34, 2002

      13 박정은, "기능성게임 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실증연구" (사)한국컴퓨터게임학회 (19) : 85-94, 2009

      14 조광순, "국내 발달장애 유아 진단·평가의 문제점 및 과제" 한국언어치료학회 14 (14): 127-148, 2005

      15 윤진열, "교육용 모바일 게임 콘텐츠 서비스 이용자의 특성요인에 관한 연구" (사)한국컴퓨터게임학회 (20) : 103-110, 2010

      16 정형원, "교육용 게임을 위한 게임요소의 분석 및 연구" 상명대학교 뉴미디어 대학원 2004

      17 Wilton, K, "Stress level in families with intellectially handicapted re-school children and families with non-handicapted re-school children" 30 : 16-169, 1986

      18 Trunbull, A. P, "Families professionals and exceptionality: Positive outcomes through partnership and trust(5th Edition)" Prentice Hall 2005

      19 Peggy, N, "Building partnerships with families, In Social and emotional health in early childhood" Paul H. Brookers Pub 147-168, 2007

      20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8년 장애인 실태조사" 보건복지가족부 40-, 2009

      21 오승아, "13세 이하 발달장애아동을 위한 CALS(생활적응기술 척도)의 심리측정적 특성 연구" 한국특수아동학회 11 (11): 121-153, 2009

      22 최민숙, "(장애아동 교육을 위한)가족참여와 지원" 학지사 13-14, 200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재인증) KCI등재
      2019-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1 0.81 0.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 0.8 0.858 0.1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