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징벌적 손해배상제도에 관한 국내 입법의 현황과 문제점 = Current Status and Problems of Domestic Legislation on the Punitive Damages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With the increase in corporate misconduct and unfair trade, punitive damages have gained normative support from the public and are reflected in several special laws. Now is the time for more advanced discussions on whether the current legal form is valid, how to establish a systemic consistency with the law, and whether the grounds for the generalized three-fold compensation are appropriate. The regulation on punitive damages takes the form of multiple compensation by multiplying a certain number of multiplier to the so-called actual damages. In retrospect, the side effects of the punitive compensation system without an upper limit, the statutory damages system adopted by the current law has adverse effects on sanctions and deterrence, while it can be an alternative to overcome limitations in compensatory damages.
      The question is whether the triple compensation is appropriate. Some say that this is an intuitive result of the legislation process. However, considering the average amount of punitive damages in the U.S. or international legislative trends, it can be assessed as effective legislation. It is a matter of careful consideration to determine whether a special legislation is needed to expand drainage, but the possibility need not be ruled out. However, it is hard to accept that abolishing the upper limit would undermine the stability of the damage compensation law.
      It is a matter of legislative policy whether the relevant regulations should be placed as general clause in the tort law in the event of a large increase in the scope of punitive compensation schemes or as individual clause under the legislative injunction as they are. Whereas general clause are flexible, there is a risk of excessive intervention in the analytical materials, which could compromise the stability of the impairment compensation system. Regulations currently distributed in the special law seem to have a lot in common with their requirements or effects, so it is possible to integrate them into one special law. The current form of legislation is expected to evolve into a unified special law and eventually become independent of the general provisions of civil law.
      번역하기

      With the increase in corporate misconduct and unfair trade, punitive damages have gained normative support from the public and are reflected in several special laws. Now is the time for more advanced discussions on whether the current legal form is va...

      With the increase in corporate misconduct and unfair trade, punitive damages have gained normative support from the public and are reflected in several special laws. Now is the time for more advanced discussions on whether the current legal form is valid, how to establish a systemic consistency with the law, and whether the grounds for the generalized three-fold compensation are appropriate. The regulation on punitive damages takes the form of multiple compensation by multiplying a certain number of multiplier to the so-called actual damages. In retrospect, the side effects of the punitive compensation system without an upper limit, the statutory damages system adopted by the current law has adverse effects on sanctions and deterrence, while it can be an alternative to overcome limitations in compensatory damages.
      The question is whether the triple compensation is appropriate. Some say that this is an intuitive result of the legislation process. However, considering the average amount of punitive damages in the U.S. or international legislative trends, it can be assessed as effective legislation. It is a matter of careful consideration to determine whether a special legislation is needed to expand drainage, but the possibility need not be ruled out. However, it is hard to accept that abolishing the upper limit would undermine the stability of the damage compensation law.
      It is a matter of legislative policy whether the relevant regulations should be placed as general clause in the tort law in the event of a large increase in the scope of punitive compensation schemes or as individual clause under the legislative injunction as they are. Whereas general clause are flexible, there is a risk of excessive intervention in the analytical materials, which could compromise the stability of the impairment compensation system. Regulations currently distributed in the special law seem to have a lot in common with their requirements or effects, so it is possible to integrate them into one special law. The current form of legislation is expected to evolve into a unified special law and eventually become independent of the general provisions of civil law.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기업의 고의적 불법행위나 불공정거래가 만연해지면서 징벌배상제도는 국민들의 규범적 지지를 받고, 여러 특별법으로 그 영역을 확장하고 있다. 이제는 제도 도입 여부에 관한 논쟁을 뛰어 넘어, 현행 입법형식은 타당한지, 손해배상법과 체계적 정합성을 갖추기 위한 방법은 무엇인지, 일반화된 3배 배상의 근거는 적정한지에 대한 보다 구체적이고 진전된 논의가 필요한 때이다. 징벌배상규정은 이른바 실손해액에 일정한 승수를 곱한 배액배상의 형식을 취하고 있다. 상한이 없는 징벌배상제도가 초래한 부작용을 되새겨 본다면, 현행 법률이 채택한 법정손해배상제도는 고유한 의미의 징벌배상제도에 비해 약한 제재효와 억지효를 갖는 반면, 전보배상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대안이 될 수 있다는 점에서 매력적이다.
      문제는 3배 배상의 적정성 여부에 있다. 혹자는 입법과정에서 직관적으로 결정된 결과물이라고 평가하지만, 미국 징벌배상액의 평균 배수나 국제적인 입법동향에 비추어 보면 실효적인 입법으로 평가할 만하다. 배수를 확대해야 할 특별입법이 필요한지는 신중을 기해 판단해야 할 문제이지만, 그 가능성을 차단할 필요는 없다고 본다. 다만 상한을 폐지하는 것은 손해배상법의 안정성을 크게 해칠 우려가 있어 수용하기 어렵다고 판단된다.
      번역하기

      기업의 고의적 불법행위나 불공정거래가 만연해지면서 징벌배상제도는 국민들의 규범적 지지를 받고, 여러 특별법으로 그 영역을 확장하고 있다. 이제는 제도 도입 여부에 관한 논쟁을 뛰...

      기업의 고의적 불법행위나 불공정거래가 만연해지면서 징벌배상제도는 국민들의 규범적 지지를 받고, 여러 특별법으로 그 영역을 확장하고 있다. 이제는 제도 도입 여부에 관한 논쟁을 뛰어 넘어, 현행 입법형식은 타당한지, 손해배상법과 체계적 정합성을 갖추기 위한 방법은 무엇인지, 일반화된 3배 배상의 근거는 적정한지에 대한 보다 구체적이고 진전된 논의가 필요한 때이다. 징벌배상규정은 이른바 실손해액에 일정한 승수를 곱한 배액배상의 형식을 취하고 있다. 상한이 없는 징벌배상제도가 초래한 부작용을 되새겨 본다면, 현행 법률이 채택한 법정손해배상제도는 고유한 의미의 징벌배상제도에 비해 약한 제재효와 억지효를 갖는 반면, 전보배상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대안이 될 수 있다는 점에서 매력적이다.
      문제는 3배 배상의 적정성 여부에 있다. 혹자는 입법과정에서 직관적으로 결정된 결과물이라고 평가하지만, 미국 징벌배상액의 평균 배수나 국제적인 입법동향에 비추어 보면 실효적인 입법으로 평가할 만하다. 배수를 확대해야 할 특별입법이 필요한지는 신중을 기해 판단해야 할 문제이지만, 그 가능성을 차단할 필요는 없다고 본다. 다만 상한을 폐지하는 것은 손해배상법의 안정성을 크게 해칠 우려가 있어 수용하기 어렵다고 판단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엄동섭, "한국 민법상 비재산적 손해의 배상과 징벌적 손해배상" 한국민사법학회 71 : 233-264, 2015

      2 이은희, "프랑스채권법 개정시안에서의 손해배상책임" 한국민사법학회 45 (45): 321-375, 2009

      3 박수곤, "프랑스법에서의 징벌적 손해배상제도의 도입필요성에 관한 논의의 전개" 한국재산법학회 32 (32): 167-196, 2015

      4 남효순, "프랑스민법전의 채권(제3권 제3편) 및 시효(제3권 제20편)의 개정시안 ― 서장(채권발생원인), 제1부속편(계약 및 약정채권 일반)의 제1장(총칙) 및 제2장(중요효력요건)의 제1절·제2절을 중심으로 ―" 한국민사법학회 (40) : 3-55, 2008

      5 김성수, "프랑스민법전의 불법행위법의 최근 개정동향과 우리민법의 시사점 - 불법행위법 개정안의 주요내용과 그 비교법적 연구를 중심으로 -" 법학연구소 26 (26): 167-236, 2015

      6 남효순, "프랑스민법전의 개정의 역사 - 한국민법전 제정 50년에 대한 시사 -" 한국민사법학회 52 : 35-70, 2010

      7 안문희, "프랑스민법상 채무불이행시 손해배상책임의 요건" 법학연구소 56 (56): 265-289, 2015

      8 윤태영, "최근 일본에서의 징벌적 손해배상의 도입에 관한 논의" 한국법제연구원 2012

      9 김상찬, "징벌적 손해배상제도의 도입을 위한 비교법적 고찰" 한국법학회 (35) : 163-185, 2009

      10 김성호, "징벌적 손해배상제도의 도입방식에 관한 연구" 법학연구원 24 (24): 133-169, 2017

      1 엄동섭, "한국 민법상 비재산적 손해의 배상과 징벌적 손해배상" 한국민사법학회 71 : 233-264, 2015

      2 이은희, "프랑스채권법 개정시안에서의 손해배상책임" 한국민사법학회 45 (45): 321-375, 2009

      3 박수곤, "프랑스법에서의 징벌적 손해배상제도의 도입필요성에 관한 논의의 전개" 한국재산법학회 32 (32): 167-196, 2015

      4 남효순, "프랑스민법전의 채권(제3권 제3편) 및 시효(제3권 제20편)의 개정시안 ― 서장(채권발생원인), 제1부속편(계약 및 약정채권 일반)의 제1장(총칙) 및 제2장(중요효력요건)의 제1절·제2절을 중심으로 ―" 한국민사법학회 (40) : 3-55, 2008

      5 김성수, "프랑스민법전의 불법행위법의 최근 개정동향과 우리민법의 시사점 - 불법행위법 개정안의 주요내용과 그 비교법적 연구를 중심으로 -" 법학연구소 26 (26): 167-236, 2015

      6 남효순, "프랑스민법전의 개정의 역사 - 한국민법전 제정 50년에 대한 시사 -" 한국민사법학회 52 : 35-70, 2010

      7 안문희, "프랑스민법상 채무불이행시 손해배상책임의 요건" 법학연구소 56 (56): 265-289, 2015

      8 윤태영, "최근 일본에서의 징벌적 손해배상의 도입에 관한 논의" 한국법제연구원 2012

      9 김상찬, "징벌적 손해배상제도의 도입을 위한 비교법적 고찰" 한국법학회 (35) : 163-185, 2009

      10 김성호, "징벌적 손해배상제도의 도입방식에 관한 연구" 법학연구원 24 (24): 133-169, 2017

      11 김태선, "징벌적 손해배상제도에 대한 고찰 - 민법개정에 따른 도입논의와 관련하여 -" 한국민사법학회 50 : 235-274, 2010

      12 김현수, "징벌적 손해배상제도에 관한 입법평가" 한국법제연구원 2012

      13 윤용석, "징벌적 손해배상에 관한 미국의 최근 동향" 한국재산법학회 23 (23): 247-276, 2006

      14 김현수, "징벌적 손해배상액의 산정기준- 소비자보호 등 개별법 분야에서의 징벌배상제 도입가능성을 전제로 -" 법학연구소 18 (18): 155-184, 2013

      15 최나진, "징벌적 손해배상과 법정손해배상 : 우리나라 민법과 양립가능성" 법학연구소 51 (51): 241-294, 2016

      16 이재목, "징벌배상제도의 국제적 동향과 국내에서의 논의 상황" 법학연구소 26 (26): 405-432, 2015

      17 이인규, "중국의 징벌적 손해배상제도와 그 시사점" 한국정보법학회 19 (19): 179-201, 2015

      18 박인걸, "중국 징벌적 손해배상제도의 새로운 동향" 법학연구소 26 (26): 441-455, 2015

      19 이정표, "중국 불법행위법상의 징벌적 손해배상제도" 한국재산법학회 27 (27): 205-236, 2010

      20 이재목, "중국 불법행위법(침권책임법)의 주요 내용과 특징" 한국재산법학회 26 (26): 117-151, 2010

      21 김차동, "제조물책임에서 징벌적 손해배상제도 도입 방안" 2016

      22 장재옥, "이영준박사 화갑기념, 한국민법이론의 발전" 1999

      23 김재형, "언론과 법의 지배" 박영사 2007

      24 이재목, "악의적 제조물사고에 있어 위자료 증액론과 징벌배상제도 도입론의 우열 - 가습기살균제 사건을 계기로 -" 법학연구소 17 (17): 167-193, 2016

      25 사동천, "손해배상의 범위 -영국법‧CISG‧유럽계약법 원칙과 한국법의 비교를 중심으로-" 법학연구소 18 (18): 311-337, 2017

      26 김선휴, "상한 없는 징벌배상적 배상 도입의 정당성"

      27 권영준, "불법행위법의 사상적 기초와 그 시사점 - 예방과 회복의 패러다임을 중심으로 -" 한국법학원 (109) : 73-107, 2009

      28 이재목, "미국 징벌배상제도의 개혁논의와 그 전망" 법학연구원 22 (22): 169-195, 2015

      29 고세일, "대륙법에서 징벌적 손해배상 논의- 민법의 관점에서 -" 법조협회 63 (63): 142-190, 2014

      30 신영수, "공정거래법상 징벌적 손해배상제도 도입의 쟁점과 전망" 한국법학원 163 : 36-63, 2017

      31 廣峰正子, "懲罰的賠償の現在-フランス-" 2010

      32 田甲信行, "中國における司法解釋の立法的役割" (55) : 1996

      33 Catherine M. Sharkey, "The Exxon Valdez Litigation Marathon: A Window on Punitive Damages" 2009

      34 Jennifer K. Robbennolt, "Determining Punitive Damages: Empirical Insights and Implications for Reform" 50 : 2002

      35 Tanya Paula de Sousa, "Casenote: Oil Over Troubled Waters: Exxon Shipping Co. v. Baker and the Supreme Courts Determination of Punitiv Damages in Maritime Law" 20 : 2009

      36 David G. Owen, "A Punitive Damages Overview: Functions, Problems and Reform" 39 : 199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4-10-27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hongik law review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9 0.59 0.6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 0.59 0.693 0.4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