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디자인특허의 권리범위의 한정론에 관한 비교법적 고찰 = The Comparative Study on the Method of Limiting the Design Patents’ Claim Scope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claim scope of design patent is the overall impression made by the visual expression which is made by the features consisting the drawings in the patent application. The visual character, however, gives rise to the problem of subjective nature in defining the scope of design patent claim. To objectively define the claim scope, South Korea and Japan Supreme Courts use the Point Test, where only the prominent features for the purchaser are included in the claim scope and the others are excluded from it. So there are several criticisms blaming that the said Point test does not solve the problem at all. European Union’s Mode Test tries to solve this problems by taking the Mode Test where the collage of the micro differences between the registered design and the alleged infringing article constitute the claim scope. European Courts, however, compare the registered design and infringing article side by side which granting the registered design too broad claim scope. Afterall the Mode Test which may give rise to the uncertainty and subjectivity of the claim scope. US’ CAFC takes the 3 Party Test to get rid of the uncertainty and subjectivity of claim scope. Under the 3 Party Test, the trial courts introduce the prior arts as a narrowing down measures in defining the claim scope and by introducing them and through them the intelligence of the ordinary observer is more enhanced than before that he or she can not be easily deluded the ostensible differences between the registered design and allegedly infringing article. By doing this Test CAFC can limit the claim scope more clear and more objective than without it. South Korea & Japan and European Union may refer CAFC’s 3 Party Test in solving the uncertainty and subjectivity of the claim scope of design patent.
      번역하기

      The claim scope of design patent is the overall impression made by the visual expression which is made by the features consisting the drawings in the patent application. The visual character, however, gives rise to the problem of subjective nature in ...

      The claim scope of design patent is the overall impression made by the visual expression which is made by the features consisting the drawings in the patent application. The visual character, however, gives rise to the problem of subjective nature in defining the scope of design patent claim. To objectively define the claim scope, South Korea and Japan Supreme Courts use the Point Test, where only the prominent features for the purchaser are included in the claim scope and the others are excluded from it. So there are several criticisms blaming that the said Point test does not solve the problem at all. European Union’s Mode Test tries to solve this problems by taking the Mode Test where the collage of the micro differences between the registered design and the alleged infringing article constitute the claim scope. European Courts, however, compare the registered design and infringing article side by side which granting the registered design too broad claim scope. Afterall the Mode Test which may give rise to the uncertainty and subjectivity of the claim scope. US’ CAFC takes the 3 Party Test to get rid of the uncertainty and subjectivity of claim scope. Under the 3 Party Test, the trial courts introduce the prior arts as a narrowing down measures in defining the claim scope and by introducing them and through them the intelligence of the ordinary observer is more enhanced than before that he or she can not be easily deluded the ostensible differences between the registered design and allegedly infringing article. By doing this Test CAFC can limit the claim scope more clear and more objective than without it. South Korea & Japan and European Union may refer CAFC’s 3 Party Test in solving the uncertainty and subjectivity of the claim scope of design patent.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등록디자인의 권리범위란 디자인출원서에 첨부된 도면이 주는 전체적 시각적 인상이 가지는 동일성의 범위를 말한다. 그러나 디자인은 그 시각적 성질로 인하여 실용특허보다도 권리범위를 객관적으로 명확하게 한정하기가 어렵다는 문제가 제기된다. 이러한 주관성을 해결하기 위해서 세계 각국의 법원은 등록디자인의 권리범위를 보다 객관화할 수 있는 접근법을 사용한다. 일본과 우리나라는 요부설을 취하여 등록디자인의 도면의 구성요소들 중에서 수요자에게 중요한 부분만을 선택하여 권리범위로 본다. 그러나 요부설은 수요자가 중요시하는 부분이 무엇인지에 대한 기준설정이 불명확하다. 유럽연합은 미시주의를 취하여 등록디자인과 침해혐의물의 요소적 특징들이 가지는 미시적 차이점을 권리범위로 본다. 그러나 등록디자인과 침해혐의물 양자만을 비교하기 때문에 등록디자인에 너무 넓은 권리범위를 부여한다는 단점이 있다. 이에 비하여 미국은 등록디자인과 침해혐의물의 차이를 선행디자인의 맥락에서 파악하여 권리범위를 정한다. 이러한 3자비교는 등록디자인의 권리범위를 선행디자인과 차이점을 기준으로 설정하기 때문에 보다 권리범위를 객관적으로 한정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로서 미국의 3자비교설은 우리나라와 일본의 요부설과 유럽연합의 미시주의가 가지는 단점을 보완할 수 있다. 본고에서는 우리나라 대법원의 입장과 일본의 요부설 및 유럽연합의 미시주의의 장단점을 살펴보고 그 단점을 보완할 수 있는 미국의 제3자비교설을 설명한다.
      번역하기

      등록디자인의 권리범위란 디자인출원서에 첨부된 도면이 주는 전체적 시각적 인상이 가지는 동일성의 범위를 말한다. 그러나 디자인은 그 시각적 성질로 인하여 실용특허보다도 권리범위...

      등록디자인의 권리범위란 디자인출원서에 첨부된 도면이 주는 전체적 시각적 인상이 가지는 동일성의 범위를 말한다. 그러나 디자인은 그 시각적 성질로 인하여 실용특허보다도 권리범위를 객관적으로 명확하게 한정하기가 어렵다는 문제가 제기된다. 이러한 주관성을 해결하기 위해서 세계 각국의 법원은 등록디자인의 권리범위를 보다 객관화할 수 있는 접근법을 사용한다. 일본과 우리나라는 요부설을 취하여 등록디자인의 도면의 구성요소들 중에서 수요자에게 중요한 부분만을 선택하여 권리범위로 본다. 그러나 요부설은 수요자가 중요시하는 부분이 무엇인지에 대한 기준설정이 불명확하다. 유럽연합은 미시주의를 취하여 등록디자인과 침해혐의물의 요소적 특징들이 가지는 미시적 차이점을 권리범위로 본다. 그러나 등록디자인과 침해혐의물 양자만을 비교하기 때문에 등록디자인에 너무 넓은 권리범위를 부여한다는 단점이 있다. 이에 비하여 미국은 등록디자인과 침해혐의물의 차이를 선행디자인의 맥락에서 파악하여 권리범위를 정한다. 이러한 3자비교는 등록디자인의 권리범위를 선행디자인과 차이점을 기준으로 설정하기 때문에 보다 권리범위를 객관적으로 한정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로서 미국의 3자비교설은 우리나라와 일본의 요부설과 유럽연합의 미시주의가 가지는 단점을 보완할 수 있다. 본고에서는 우리나라 대법원의 입장과 일본의 요부설 및 유럽연합의 미시주의의 장단점을 살펴보고 그 단점을 보완할 수 있는 미국의 제3자비교설을 설명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대법원 2013. 4. 11. 선고 2012후3794 판결[등록무효(디)]"

      2 松井宏記, "意匠の類似, 意匠法24 条2 項その後" (22) : 12-,

      3 일본최고재판소, "平成8年9月26日, 平7(オ)698号, 自動車用ホイール意匠権侵害行為等差止等請求事件"

      4 일본최고재판소, "平成3年3月19日, 平元(行ツ)91호, 엔드밀에 대한 審決取消請求事件"

      5 Mark P. McKenna, "What's In, and What's Out: How IP's Boundary Rules Shape Innovation" 30 (30): 516-, 2017

      6 Mark A. Lemley, "Scope" 57 (57): 2016

      7 "Procter & Gamble Co v Reckitt Benckiser (UK) Ltd (P&G) [2007] EWCA Civ 936; [2008] Bus.L.R. 801"

      8 "F.S.R. 4 (English Court of Appeal)[2011] EWCA Civ 1206"

      9 "Ethicon Endo-Surgery, Inc. v. Covidien, Inc.,796 F.3d 1312, 1332 (Fed. Cir. 2015)"

      10 "Egyptian Goddess, Inc. v. Swisa, Inc., 543 F.3d 665 (Fed.Cir.2008)"

      1 "대법원 2013. 4. 11. 선고 2012후3794 판결[등록무효(디)]"

      2 松井宏記, "意匠の類似, 意匠法24 条2 項その後" (22) : 12-,

      3 일본최고재판소, "平成8年9月26日, 平7(オ)698号, 自動車用ホイール意匠権侵害行為等差止等請求事件"

      4 일본최고재판소, "平成3年3月19日, 平元(行ツ)91호, 엔드밀에 대한 審決取消請求事件"

      5 Mark P. McKenna, "What's In, and What's Out: How IP's Boundary Rules Shape Innovation" 30 (30): 516-, 2017

      6 Mark A. Lemley, "Scope" 57 (57): 2016

      7 "Procter & Gamble Co v Reckitt Benckiser (UK) Ltd (P&G) [2007] EWCA Civ 936; [2008] Bus.L.R. 801"

      8 "F.S.R. 4 (English Court of Appeal)[2011] EWCA Civ 1206"

      9 "Ethicon Endo-Surgery, Inc. v. Covidien, Inc.,796 F.3d 1312, 1332 (Fed. Cir. 2015)"

      10 "Egyptian Goddess, Inc. v. Swisa, Inc., 543 F.3d 665 (Fed.Cir.2008)"

      11 "Dyson Limited v Vax Limited [2010] F.S.R. 39 (English High Court) and on appeal at [2012]"

      12 Christi J. Guerrini, "Defining Patent Quality" 82 (82): 3131-3133, 201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4-10-27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hongik law review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9 0.59 0.6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 0.59 0.693 0.4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