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아동보호 통합지원 전문서비스의 비용 편익분석을 통해 사업운영비용 대비 그에 따른 편익의 크기를 화폐적 가치를 통해 계량화하고, 이를 통해 서비스의 지속성과 확장 가능성...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7209380
2020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119-145(27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아동보호 통합지원 전문서비스의 비용 편익분석을 통해 사업운영비용 대비 그에 따른 편익의 크기를 화폐적 가치를 통해 계량화하고, 이를 통해 서비스의 지속성과 확장 가능성...
본 연구는 아동보호 통합지원 전문서비스의 비용 편익분석을 통해 사업운영비용 대비 그에 따른 편익의 크기를 화폐적 가치를 통해 계량화하고, 이를 통해 서비스의 지속성과 확장 가능성을 논의하였다. 이를 위해 아동보호 통합지원 전문서비스의 비용 편익 분석을 실시한 결과, 학대피해아동 1인당 사회경제적 비용은 최소 20,880,407원, 최대 4,085,825,510원이며 최소 17배, 최대 3,332배의 비용 편익이 발생한 것으로 추정되었다. 이는 아동보호 통합지원 전문서비스가 경제적 효율성이 높은 서비스라는 것을 의미한다. 아동보호 실천현장에서 아동보호 통합지원 전문서비스를 확대 보급하기 위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전문사례관리를 수반하는 성공적인 아동보호 서비스를 위해서는 적정 사례 배정과 사례 수 조정이 필요하다. 둘째, 아동보호전문기관의 상담원을 위한 아동보호 통합지원 전문서비스에 대한 지속적인 교육과 훈련은 물론 슈퍼비전 체계를 마련해야한다. 셋째, 아동보호 통합지원 전문서비스 모형의 전국적인 확대와 운영 노하우에 대한 공유가 요구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sustainability and expandability of the service by quantifying the size of the corresponding benefit compared to the project operation cost through monetary value by conducting a cost-benefit analysis of Comprehensive C...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sustainability and expandability of the service by quantifying the size of the corresponding benefit compared to the project operation cost through monetary value by conducting a cost-benefit analysis of Comprehensive Child Protection Support Services. The analysis showed that the socioeconomic costs per maltreated child were calculated at at least 20,880,407 won and a maximum of 4,085,825,510 won. In addition, the benefit-cost ratio indicated a minimum of 17:1 and a maximum of 3,332:1. Both of these results showed the economic feasibility of the services. Suggestions for expanding and distributing Comprehensive Child Protection Support Services in the field of child protection practices were as follows. First, appropriate case allocation and adjustment of the number of cases are required for successful child protection services accompanied by professional case management. Second,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supervision system as well as continuous education and training for the integrated child protection support professional service for counselors of specialized child protection institutions. Third, the nationwide expansion of Comprehensive Child Protection Support Services and sharing of operational know-how is necessary.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우석진, "행정자료를 이용한 프로그램비 지출이 가정외보호 10-13세 아동의 발달성과에 미친 효과" 아시아.유럽미래학회 15 (15): 183-196, 2018
2 민소영, "학대피해아동보호 전문서비스의 지역사회 협력 경험 -아동보호 통합지원 전문서비스 시범 사업을 중심으로-" 한국아동복지학회 (66) : 1-37, 2019
3 유서구, "학대피해아동과 가족의 재결합을 돕는 평가도구의 타당화에 관한연구" 굿네이버스 2019
4 정해린, "학대피해아동과 가족을 위한 아동보호 통합지원 전문서비스 모형 개발과 재학대 예방 효과 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아동권리학회 25 (25): 49-74, 2021
5 정익중, "학대와 따돌림이 청소년기 우울과 공격성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 : 성별 차이를 중심으로"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3 (23): 217-242, 2012
6 황성철, "프로그램 개발과 평가" 공동체 2003
7 안재진, "원가정보호서비스 효과성평가" 굿네이버스 2019
8 김수정, "아동학대의 사회경제적 비용 추계" 한국아동복지학회 (53) : 25-50, 2016
9 김세원, "아동학대와 적응의 잠재적 유형 간 관계" 한국인간발달학회 17 (17): 173-189, 2010
10 안재진, "아동학대실태조사" 보건복지부·숙명여자대학교산학협력단 2011
1 우석진, "행정자료를 이용한 프로그램비 지출이 가정외보호 10-13세 아동의 발달성과에 미친 효과" 아시아.유럽미래학회 15 (15): 183-196, 2018
2 민소영, "학대피해아동보호 전문서비스의 지역사회 협력 경험 -아동보호 통합지원 전문서비스 시범 사업을 중심으로-" 한국아동복지학회 (66) : 1-37, 2019
3 유서구, "학대피해아동과 가족의 재결합을 돕는 평가도구의 타당화에 관한연구" 굿네이버스 2019
4 정해린, "학대피해아동과 가족을 위한 아동보호 통합지원 전문서비스 모형 개발과 재학대 예방 효과 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아동권리학회 25 (25): 49-74, 2021
5 정익중, "학대와 따돌림이 청소년기 우울과 공격성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 : 성별 차이를 중심으로"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3 (23): 217-242, 2012
6 황성철, "프로그램 개발과 평가" 공동체 2003
7 안재진, "원가정보호서비스 효과성평가" 굿네이버스 2019
8 김수정, "아동학대의 사회경제적 비용 추계" 한국아동복지학회 (53) : 25-50, 2016
9 김세원, "아동학대와 적응의 잠재적 유형 간 관계" 한국인간발달학회 17 (17): 173-189, 2010
10 안재진, "아동학대실태조사" 보건복지부·숙명여자대학교산학협력단 2011
11 김광혁, "아동학대 및 방임이 아동발달에 미치는 영향" 24 (24): 27-46, 2009
12 강현아, "아동양육시설의 보호 비용함수 추정과 효율성" 한국사회보장학회 27 (27): 55-79, 2011
13 김경희, "아동보호전문기관 상담원의 통합적 사례관리 실천경험" 한국아동복지학회 (68) : 115-147, 2019
14 김세원, "아동보호서비스 특성이 아동학대 재발생에 미치는 영향" 한국아동권리학회 24 (24): 463-488, 2020
15 이성학, "성인이행기 빈곤 아동청소년 발달지원사업 성과분석: 진로성숙도 및 자아존중감에 미친 영향" 한국청소년복지학회 22 (22): 1-26, 2020
16 김재엽, "부부폭력과 아동학대" 7 : 1-32, 2001
17 장진희, "대규모 아동복지시설의 공동생활가정 (그룹홈) 전환비용에 관한 연구" 서울시 여성가족재단 2015
18 이봉주, "굿네이버스 아동보호 통합지원 전문서비스 효과성 평가 지표개발연구" 굿네이버스 2016
19 이봉주, "굿네이버스 아동보호 통합지 원 전문서비스 모형 개발 연구보고서" 굿네이버스 2017
20 정지웅, "경기도 무한돌봄센터 사업의 비용 - 편익 분석" 재단법인 경기연구원 157-183, 2016
21 노충래, "가정 외 아동보호와 경제성 평가" 학지사 2015
22 Caldwell, R. A., "The child abuse vs. child abuse prevention: A multi-year follow-up in Michigan"
23 Rubin, A., "Research methodology for social work" Thomson Brooks/Cole 2010
24 Floor, E., "Reducing Re-referral in Unsubstantiated Child Protective Services Cases"
25 Child Welfare Information Gateway, "Program Evaluation: Synthesis of Lessons learned by child neglect demonstration projects"
26 Fluke, J. D., "Longitudinal analysis of repeated child abuse reporting and victimization : Multistate analysis of associated factors" 13 (13): 76-88, 2008
27 Corso, P. S.,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mong Adults Who Experienced Maltreatment during Childhood" 98 (98): 1094-1100, 2008
28 Murphy, A. L., "Family reunification: A systematic review of interventions designed to address co-occurring issues of child maltreatment and substance use" 11 (11): 413-432, 2017
29 Bae, H. O., "Effect of child protective services system factors on child maltreatment rereporting" 89 (89): 2010
30 Levey, E. J., "A systematic review of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of interventions designed to decrease child abuse in high-risk families" 65 : 48-57, 2017
31 보건복지부, "2014 전국 아동학대현황보고서" 2015
가족의 부와 지역사회 요소에 의한 아동의 지적기능 예측분석
학교 밖 청소년들이 체감하는 사회적 낙인감이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우울의 매개효과 검증 -성별 차이를 중심으로-
기초자치단체별 아동복지 재정격차와 이에 대한 재정조정제도의 격차완화효과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3-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5-01-21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hild welfare | ![]() |
200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2-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64 | 1.64 | 1.98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95 | 2.11 | 2.512 | 0.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