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별천』論에서는 女主人公 花를 中心으로 하며 구가사대에 걸친 女子의 生을 그린다. 時代에 想하는 여성상을 造型한 社회背景과의 關連性에 焦點을 맞추었다. 특히 花는 明治社會가 造...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기별천』論에서는 女主人公 花를 中心으로 하며 구가사대에 걸친 女子의 生을 그린다. 時代에 想하는 여성상을 造型한 社회背景과의 關連性에 焦點을 맞추었다. 특히 花는 明治社會가 造...
『기별천』論에서는 女主人公 花를 中心으로 하며 구가사대에 걸친 女子의 生을 그린다. 時代에 想하는 여성상을 造型한 社회背景과의 關連性에 焦點을 맞추었다. 특히 花는 明治社會가 造型한 家靈的 存在 賢母良妻의 女性이지만, 同時에 優雅함을 간직하면서도自己主張을 잃지 않는 女性임을 밝힌다.
論文構成에 따라 槪要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Ⅰ.『紀별川』의 素材를 제供한 自然背景인 <紀州>와 <紀별川>에 관하여 文獻을 通해 調사하였다. < 기별천>氣質은 豊乃이나 花 · 文제에 나타나 있다. 푸르고 유유히 흐르는 <기별천>는 겉보기와는 달리, 강가에서 삶을 궁우하는 자를 두렵게 하는 면이 있다. 作者는 <기별천>의 흐름 속에서 女子의 一生을 발見하고 花의 人間型을 造型하고 있다.
社會背景에서는 時代相과 人物造型과의 관連性을 歷史 · 政治史 · 풍俗史의 側面에서 考察하였다.
Ⅱ.『기별천』의 構想의 모티브는 흐름(流れる)에 있다. 강물의 흐름처럼 人間의 生命은豊乃로부터 시작하여 四代째의 華子로 이어져간다. 作品 속의 흐름을 총括하고 있는 것은 花이다. 全분 흐름속에서 花는 自己自身의 意志를 끝까지 지켜나간다. 作品 構成面에 있어서 花의 죽음을 象徵하는 白蛇의 죽음의 場面設定과 이야기(物語)의 마지막 場面의 望遠鏡의 셔터가 끊어짐과 同時에 作品도 幕을 내린다는 뛰어난 手法을 보이고 있다.
Ⅲ. 豊乃는 家門의 格보다는 한 집안의 기둥이 될 수 있는 ??谷敬策의 ????性을 보고花를 시집보낸다. 여기서 豊乃는 近代女性의 先구者로서의 女性像을 提時하고 있다.
花는 <女大학>(女子의 修身書)의 가르침을 지키며 <家>를 掌握하게 된다. 「忍종이라고는 생각하지 않고 열심히」오로지 앞을 向하는 姿勢로 생활하면서, 裏面에서 남편을 돕고 出世의 길에 오르게끔 激려한다. 花는 新女性像을 가슴 안에 품고 있는 明治時代의 女成像을 浮刻시키고 있다.
花의 長女, 文제는 大正데모크라시의 물결을 타고 新時代意識에 사로잡혀 있다. 그러나 아내가 되고 어머니가 됨으로서 化나 낡은 전統에 대한 反撥과 拒否는 무너지고 賢母良妻像을 보이게 된다.
文자의 딸 華子는 ??개생활분검??자이며, 戰後 苦學하여 女大를 卒業한 後 出版社에서 일하고 있는, 말하자면 戰後社會의 OL像을 提示하고 있다. 어린 시절을 外國에서 보낸 華字는 日本的인 아름다운 것에 鄕愁를 안고 있다.
華字는 日本의 女性으로서 훌륭하게 삶을 이룬 花의 피가 自身의 체內로 「콸콸 쏟아지는」 것을 느끼면서, 隔世遺전-T.S. 엘리오트(Eliot)의 전통론을 한층 더 强하게 感知한다. 華字에 의해 止揚(Aufheben)된 전統論은 作者의 전統論이기도 하다.
목차 (Table of Contents)
금속흡착용 아미드옥심계 chelate 수지의 제조와 특성에 관한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