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정치인 트위터와 신문,방송뉴스의 의제 상관성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Correlation of Agendas between Politicians` Twitters and traditional News Medi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264867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사회적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하고 있는 트위터와 신문/방송뉴스의 의제를 비교하여 의제설정 가능성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정치인 트위터 의제를 전통적인 뉴스 미디어인 신문과...

      본 연구는 사회적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하고 있는 트위터와 신문/방송뉴스의 의제를 비교하여 의제설정 가능성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정치인 트위터 의제를 전통적인 뉴스 미디어인 신문과 방송뉴스 의제와 비교하고, 속성의제를 중심으로 다른 매체와 어떤 관계가 있는지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트위터는 기존 미디어와 공유되는 핵심의제(대상의제)를 형성하고 있었다. 그리고 정치인들의 정당에 따라 대상의제와 속성의제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속성의제는 트위터와 신문/방송뉴스 간 유의미한 순위상관관계가 있었다. 세부 매체로 나누어 살펴보면, 대상의제와 속성의제에서 모두 한나라당 정치인 트위터와 『조선일보』가 높은 순위상관관계가 있었다. 매체 간 의제설정효과는 정치인 트위터 의제가 앞선 시점의 신문의제와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방송뉴스 의제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정치인 트위터는 전통적인 뉴스 미디어와 일정 부분 의제를 공유하면서 나름대로의 의제를 형성하며, 매체 간 의제설정의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agenda-setting by comparing agendas between twitters that is based on social network and traditional news media. The present study compares the agenda of politicians` twitters with those of tradit...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agenda-setting by comparing agendas between twitters that is based on social network and traditional news media. The present study compares the agenda of politicians` twitters with those of traditional news media and analyses empirically, focusing on the second-level agenda, what relation there is. The results showed that twitters formed the core first-level agenda, which is shared with traditional media. Moreover, it has been confirmed that depending on which political party a politician is associated with, there occur differences in both the first-level and the second-level agenda. It has been found that the second-level agenda h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rank-order correlation with the traditional media. When examined one by one, it showed that there is a high rank-order correlation between ``Chosun Ilbo`` and twitters of the members of ``The Grand National Party``. Considering intermedia agenda-setting effect, agenda of politicians` twitters had the correlation with newspaper agenda of previous time and affect broadcasting news agenda. Accordingly, it is assumed that twitter forms agenda in its own way, sharing some part of agendas with the traditional news media. In addition, it seems that there is a possibility of intermedia agenda-setting.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건호, "한국 인터넷 매체들의 상호 의제 설정 효과 : 8개 온라인 신문의 내용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언론학회 50 (50): 200-227, 2006

      2 송경재, "포털의 의제 설정 과정에 관한 연구: 네이버, 네이트, 다음 뉴스 서비스를 중심으로" 한국사회이론학회 29 (29): 178-208, 2006

      3 최민재, "포털 사이트 뉴스서비스의 의제설정 기능에 관한 연구 : 제공된 뉴스와 선호된 뉴스의 특성 차이를 중심으로" 한국언론학회 50 (50): 437-463, 2006

      4 김경희, "포털 뉴스의 의제설정과 뉴스가치: 포털 뉴스와 인쇄신문의 비교 분석" 한국언론학회 52 (52): 28-52, 2008

      5 허정헌, "트위터의 힘!" 한국일보

      6 조희정, "트위터와 전자민주주의: 트위터의 국내외 정치적 활용사례와 규제를 중심으로" 139-158, 2010

      7 황유선, "트위터에서의 의견 지도력과 트위터 이용패턴: 이용동기, 트윗 이용패턴, 그리고 유형별 사례분석" 한국방송학회 24 (24): 365-404, 2010

      8 박선희, "정치인의 퍼스널 커뮤니티와 네트워크 공론장으로서 트위터의 가능성" 한국정치커뮤니케이션학회 (18) : 81-115, 2010

      9 박광순, "인터넷의 웹블로그(Web-blog) 이용동기와 만족도에 관한 연구: 대학생 집단을 중심으로" 한국언론학회 48 (48): 270-294, 2004

      10 김성태, "인터넷을 통한 새로운 의제 설정 모델의 적용 : 의제 파급(Agenda-Rippling)과 역의제 설정(Reversed Agenda-Setting)을 중심으로" 한국언론학회 50 (50): 175-204, 2006

      1 이건호, "한국 인터넷 매체들의 상호 의제 설정 효과 : 8개 온라인 신문의 내용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언론학회 50 (50): 200-227, 2006

      2 송경재, "포털의 의제 설정 과정에 관한 연구: 네이버, 네이트, 다음 뉴스 서비스를 중심으로" 한국사회이론학회 29 (29): 178-208, 2006

      3 최민재, "포털 사이트 뉴스서비스의 의제설정 기능에 관한 연구 : 제공된 뉴스와 선호된 뉴스의 특성 차이를 중심으로" 한국언론학회 50 (50): 437-463, 2006

      4 김경희, "포털 뉴스의 의제설정과 뉴스가치: 포털 뉴스와 인쇄신문의 비교 분석" 한국언론학회 52 (52): 28-52, 2008

      5 허정헌, "트위터의 힘!" 한국일보

      6 조희정, "트위터와 전자민주주의: 트위터의 국내외 정치적 활용사례와 규제를 중심으로" 139-158, 2010

      7 황유선, "트위터에서의 의견 지도력과 트위터 이용패턴: 이용동기, 트윗 이용패턴, 그리고 유형별 사례분석" 한국방송학회 24 (24): 365-404, 2010

      8 박선희, "정치인의 퍼스널 커뮤니티와 네트워크 공론장으로서 트위터의 가능성" 한국정치커뮤니케이션학회 (18) : 81-115, 2010

      9 박광순, "인터넷의 웹블로그(Web-blog) 이용동기와 만족도에 관한 연구: 대학생 집단을 중심으로" 한국언론학회 48 (48): 270-294, 2004

      10 김성태, "인터넷을 통한 새로운 의제 설정 모델의 적용 : 의제 파급(Agenda-Rippling)과 역의제 설정(Reversed Agenda-Setting)을 중심으로" 한국언론학회 50 (50): 175-204, 2006

      11 황성기, "인터넷과 선거운동" (사)한국언론법학회 9 (9): 177-229, 2010

      12 윤태일, "인터넷 웹사이트의 의제설정 효과" 한국언론학회 47 (47): 8-219, 2003

      13 이건호, "의제설정이론의 정향욕구 개념에 대한 탐구적 제언" 한국언론학회 51 (51): 411-438, 2007

      14 반현, "의제설정 이론의 재고찰 - 5단계 진화 모델을 중심으로" 한국언론학회 3 (3): 7-53, 2007

      15 구교태, "웹사이트 캠페인이 기존 뉴스 미디어 의제와 공중 의제에 미치는 영향: 의제설정기능을 중심으로" 한국언론학회 46 (46): 2-75, 2002

      16 조수선, "온라인신문의 의제 및 의제속성 설정 연구: 〈조선닷컴〉과 〈오마이뉴스〉의 비교 연구" 한국언론학회 48 (48): 302-329, 2004

      17 설진아, "소셜 미디어의 진화양상과 사회적 영향" 2009

      18 양선희, "새로운 미디어 환경과 의제설정효과 : 신문, TV, 포털의 비교" 한국언론학회 52 (52): 81-104, 2008

      19 박은희, "사이버공간의 특성과 의제 전개과정-일반네티즌공간과 참여네티즌 공간의 차이" 한국언론정보학회 18 : 99-130, 2002

      20 권상희, "블로그(Blog) 미디어 연구 블로그 이용 및 만족과 인지 행태에 관한 연구" 한국방송학회 19 (19): 419-460, 2005

      21 박경미, "민주화 이후 한국 정당정치의 경쟁구조-의제설정자의 등장과 의회정치의 지배구조" 한국사회조사연구소 7 (7): 113-141, 2006

      22 한동섭, "미디어의 정보원 진술 활용과 현실정의미디어는 이데올로기적으로 쟁점이 되는 뉴스 아이템의 정보원을 어떻게 가공하고 선택하는가" 한국언론학회 46 (46): 16-556, 2002

      23 구교태, "매체간(Intermedia)과 매체내(Intramedia) 의제분석을 통한 뉴스획일화 연구-2000년 미국 대통령 선거운동에 관한 뉴스보도를 중심으로" 한국언론정보학회 21 : 7-34, 2003

      24 이강형, "매스커뮤니케이션 이론" 나남 2008

      25 심홍진, "마이크로블로깅(micro-blogging) 이용동기에 관한 연구: 트위터(twitter)를 중심으로" 한국방송학회 24 (24): 192-234, 2010

      26 전희성, "마이크로 블로그 커뮤니케이션의 특성에 대한 연구 : ‘트위터’와 ‘미투데이’를 중심으로"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5 (25): 165-174, 2009

      27 이동훈, "뉴스수용자에 대한 포털뉴스의 의제설정효과 연구: 북핵보도 관련 종이신문의 의제전이과정을 중심으로" 한국언론학회 51 (51): 328-357, 2007

      28 신윤경, "기자 블로그의 의제설정 기능과 객관주의에 관한 연구 : 중앙일보 와 오마이뉴스 를 중심으로" 한국언론학회 54 (54): 128-152, 2010

      29 Ullrich, C., "Why web 2.0 is good for learning and for research: principles and prototypes" 705-714, 2008

      30 Hughes, A. L, "Twitter Adoption and Use in Mass Convergence and Emergency Events" 2009

      31 Wanta, W, "The public and the national agenda: How people learn about important issues" Mahwah, NJ: Lawrence Erlbaum 1997

      32 Ku, G., "The impact of web site campaigning on traditional news media and public information processing" 80 : 528-547, 2003

      33 Shaw, D. L, "The emergence of American political issues" St. Paul, MN: West 1977

      34 Walgrave, S, "The contingency of the mass media's political agenda setting power: Toward a preliminary theory" 56 : 88-109, 2006

      35 McCombs, M. E, "The agenda-setting function of the mass media" 36 : 176-187, 1972

      36 Shaw, D. L, "The Emergence of American Political Issues" St. Paul, MN: West 1977

      37 Boroughs, B, "Social Networking Websites And Voter Turnout" Georgetown University, Washington, DC 2010

      38 McCombs, M. E, "Setting the Agenda: The mass media and public agenda" Malden, MA: Blackwell 2004

      39 Bӧhringer, M, "Really Social Syndication: A Conceptual View on Microblogging. Working papers on Information Systems, Sprouts 2009"

      40 Berkman, R, "Politics in the media age" NY: McGraw-Hill 1986

      41 Larson, S. G, "Network differences in public opinion coverage during the 1996 presidential campaign" 44 (44): 16-26, 2000

      42 Ebner, M, "Microblogging: more than fun" 155-159, 2008

      43 박경은, "KBS에 출연자 블랙리스트…" 경향신문

      44 Boyle, T. P, "Intermedia agenda setting in the 1996 Presidential election" 78 (78): 26-44, 2001

      45 Bӧhringer, M, "Adopting Enterprise 2.0: A Case Study on Microblogging" München: Oldenbourg Verlag 293-302, 2009

      46 정백, "20대층의 투표율 상승에 영향을 미친 사회적 요인 분석 -6.2지방 선거를 중심으로" 한국정치커뮤니케이션학회 (19) : 203-231, 2010

      47 정현용, "20·30대 부동층이 판세 갈랐다" 서울신문

      48 강희정, "17대 대통령 선거 보도에 나타난후보자 속성의제와 매체 간 의제설정" 한국정치커뮤니케이션학회 (19) : 5-46, 201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3-21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지역언론학연합회 -> 한국지역언론학회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7 1.27 1.5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62 1.59 2.189 0.4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