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세선화 작성에 있어서의 과도무늬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Transient Pattern for the Fine Line Drawing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501388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지폐와 우표 등에서 볼 수 있는 세선화를 CAD 기술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작성함에 있어서 여러가지의 무늬가 동시에 사용되고 있다. 명암의 크기 범위에 따라 사용 무늬를 변경하는 방법이 ...

      지폐와 우표 등에서 볼 수 있는 세선화를 CAD 기술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작성함에 있어서 여러가지의 무늬가 동시에 사용되고 있다. 명암의 크기 범위에 따라 사용 무늬를 변경하는 방법이 사용되어 왔으나, 질감이 같은 곳에서의 무늬의 변화는 뚜렷한 질감의 변화를 가져온다. 따라서 질감의 변화 없이 넓은 명암의 범위에서 아용할 수 있는 무늬의 활용에 대한 연구가 수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무늬의 모양을 서서히 변화시키는 과도무늬를 사용하는 방법과 한 가지 무늬를 사용하되 무늬를 구성하는 선의 가중치를 서서히 변화시키는 방법이 개발되었다. 전자의 경우는 무늬의 특성이 뚜렷하게 나타나서 질감의 변화를 가져온 반면, 후자의 경우는 질감의 변화 없이 넓은 영역의 명암 범위에서 활용될 수 있음을 알았다.
      For an automatic fine line drawing of the bank notes and stamps, several patterns are utilized according to a range of the darkness and a character of the region. Use of the different patterns in a same character region, simply because of the darkness limits in which a specified pattern can properly represent the darkness, shows distinctive boundaries in the region. In order to avoid this kind of undesirable boundaries, a transient pattern in which each lines have different weighting factors according to the range of the darkness is developed. By introducing the transient pattern, a region which has a wide range of darkness can be expressed without change of its character.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