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아파트의 평면특성이 가격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서울의 주요 아파트 시장인 강남3구의 최근 십년 간 입주한 국민주택규모 이하의 아파트 평면특성과 주택가격의 관계...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5549024
배상영 (건국대학교) ; 이재원 (건국대학교) ; 이상엽 (건국대학교) ; Bae, Sangyoung ; Lee, Jaewon ; Lee, Sangyoub
2018
Korean
540
KCI등재
학술저널
102-110(9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아파트의 평면특성이 가격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서울의 주요 아파트 시장인 강남3구의 최근 십년 간 입주한 국민주택규모 이하의 아파트 평면특성과 주택가격의 관계...
본 연구는 아파트의 평면특성이 가격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서울의 주요 아파트 시장인 강남3구의 최근 십년 간 입주한 국민주택규모 이하의 아파트 평면특성과 주택가격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부엌창고와 드레스 룸과 같은 수납공간은 가격에 정(+)의 효과가 있으며, 개방성이 높은 3면 개방형 평면과 부엌과 거실이 부분 차단되어 있으나, LDK통합형으로 설계된 평면이 높은 가격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엌공간의 경우 1자형 부엌이 더 높은 가격을 보이며, 거실은 중앙에 위치하는 것이 가격에 정(+)의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그 동안 경향분석이나 기초분석 및 만족도 분석 위주의 평면연구가 진행 되어온 것과 달리 평면특성이 직접적으로 가격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는데 학술적 의의가 있다. 이러한 연구 결과가 향후 평면 설계 및 분양가 책정에 시사점을 제공하고 주택구매자들의 의사결정에 활용되고자 하는 연구목적을 가진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study analyzed the effects of the floor plan characteristics on the apartment price under the national housing size in 3 Gangnam districts for decades, the primary apartment markets in Korea. The analysis showed that the storage spaces such as kit...
The study analyzed the effects of the floor plan characteristics on the apartment price under the national housing size in 3 Gangnam districts for decades, the primary apartment markets in Korea. The analysis showed that the storage spaces such as kitchen, warehouses and dressage rooms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price. Especially, the highly opened space with three-side open plan and the one with the unified type of livingroom, diningroom and kitchen have shown the strong effect on the price. For the kitchen spaces, the I-shaped kitchen tends to be more expensive while a centered living room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price. These findings have an academic significance as the direct effects of plan characteristics on price has been examined unlike prior research focused on the analysis of trend, basic statistics, and satisfaction level. It is noteworthy that these research finding has identified the productive implication for the future floor plan design and pricing and also be implemented in the purchasing decision making by buyers in the housing market.
인공생명이론을 이용한 도시설계방법의 적용 가능성에 대한 연구
PSC Beam교 환경부하량 추정을 위한 인공신경망 모델 적용 연구
국내 공공 공사 하도급계약 공기연장 추가간접비 산정방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