앙드레 바쟁의 뉴미디어론에서 TV의 존재론을 미시적으로 분석하면 연극과 영화 사이의 중간적 존재로 규정된다. 배우가 시청자에게 지금 이 순간 보인다는 점에서는 연극적이지만 시청자...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8957554
신양섭 (건국대학교)
2024
Korean
TV ; new media ; film ontology ; mise-en-scène ; Total Cinema ; post-medium ; post-media ; TV ; 뉴미디어 ; 영화존재론 ; 미장센 ; 완전영화 ; 포스트 미디엄 ; 포스트 미디어
KCI등재
학술저널
323-347(25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앙드레 바쟁의 뉴미디어론에서 TV의 존재론을 미시적으로 분석하면 연극과 영화 사이의 중간적 존재로 규정된다. 배우가 시청자에게 지금 이 순간 보인다는 점에서는 연극적이지만 시청자...
앙드레 바쟁의 뉴미디어론에서 TV의 존재론을 미시적으로 분석하면 연극과 영화 사이의 중간적 존재로 규정된다. 배우가 시청자에게 지금 이 순간 보인다는 점에서는 연극적이지만 시청자가 배우에게 전혀 보이지 않는다는 점에서는 영화적이다. TV 미장센이 지니는 친밀함의 능력은 현상학적 실존으로서 유비쿼터스적이지만 동시에 그에 상응하는 도덕적 책임감을 지닌다.
거시적으로 TV의 존재론을 분석하면 바쟁이 생각하는 완전 영화 이념의 매체적 확장으로 이해될 수 있다. 영화와 TV는 와이드 스크린과 스몰 스크린의 변증법 속에서 계속 진화해 간간다. 바쟁의 미장센에서 포스트 미디엄과 포스트 미디어는 유기체적으로 융합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TV는 영화에 대해 유용한 변증법적 상대가 될 수 있는 것이다.
인공지능 기술이 인간의 인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고찰 - 빌렘 플루서의 인코딩 개념을 중심으로
세네카 위로 편지에 나타난 철학상담적 함의: ‘헬비아에게 보내는 위로’를 중심으로
심성의 여정과 무의식 속 해방으로서 헤르만 헤세의 『데미안』
에픽테토스와 장자의 자유론 - 프로하이레시스(prohairesis)와 안명(安命) 개념을 중심으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