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高城 鐵桶里遺蹟 : 국도 7호선(간성-현내간) 도로공사구간내 유적 발굴조사보고서 . 2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M11692803

      • 저자
      • 발행사항

        [춘천] : 예맥문화재연구원 : 원주지방국토관리청, 2009

      • 발행연도

        2009

      • 작성언어

        한국어

      • 주제어
      • KDC

        911.4

      • DDC

        951.42 판사항(21)

      • 자료형태

        단행본(다권본)

      • 발행국(도시)

        강원특별자치도

      • 서명/저자사항

        高城 鐵桶里遺蹟 : 국도 7호선(간성-현내간) 도로공사구간내 유적 발굴조사보고서. 2 / 예맥문화재연구원 [편].

      • 기타서명

        Report on the Excavation of Cheoltong-ri Site, Goseong

      • 형태사항

        [접지1장], 311 p. : 삽도 ; 30 cm.

      • 총서사항

        學術調査報告 =Research report of antiquities ; 第19冊 學術調査報告(예맥문화재연구원) ; 第19冊

      • 일반주기명

        부록: 1. 방사성탄소연대 측정자료, 2. 국도 7호선(간성-현내간) 도로공사구간내 유적 3D레이저 스캔보고서
        이 보고서는 원주지방국토관리청의 의뢰를 받아 2005년 12월 29일부터 2006년 9월 13일, 2006년 10월 11일부터 2007년 1월 18일까지 2차에 걸쳐 진행된 국도 7호선(간성-현내간) 도로공사구간에 대한 시·발굴조사에서 조사된 유적 중 신석기시대·청동기시대·조선시대 주거지와 수혈유구, 구상유구, 근대의 목관묘가 조사된 고성군 현내면 철통리유적에 대한 보고서임.

      • 소장기관
        • 가톨릭관동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강원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경북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고려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Deep Link
        • 고려대학교 세종학술정보원 소장기관정보 Deep Link
        • 국립강릉원주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우편복사 서비스
        • 부산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서울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Deep Link
        • 아주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연세대학교 원주학술정보원 소장기관정보 Deep Link
        • 영남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Deep Link
        • 전남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전북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충남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Deep Link
        • 충북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한국전통문화대학교 학술정보관 소장기관정보
        • 한림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차
      • Ⅰ. 머리말 = 17
      • Ⅱ. 유적의 위치와 환경 = 22
      • 1. 유적의 위치 = 22
      • 2. 자연ㆍ지리적 환경 = 22
      • 목차
      • Ⅰ. 머리말 = 17
      • Ⅱ. 유적의 위치와 환경 = 22
      • 1. 유적의 위치 = 22
      • 2. 자연ㆍ지리적 환경 = 22
      • 3. 고고학적 환경 = 28
      • 4. 역사적 환경 = 32
      • Ⅲ. 조사내용 = 36
      • 1. 조사방법 = 36
      • 2. 유구 및 유물 = 40
      • 1) 신석기시대 주거지 = 40
      • (1) 1호 주거지 = 40
      • (2) 2호 주거지 = 49
      • (3) 3호 주거지 = 57
      • (4) 4호 주거지 = 62
      • (5) 5호 주거지 = 78
      • (6) 6호 주거지 = 81
      • (7) 7호 주거지 = 83
      • 2) 청동기시대 주거지 = 84
      • (1) 1호 주거지 = 84
      • (2) 2호 주거지 = 95
      • (3) 3호 주거지 = 96
      • (4) 4호 주거지 = 101
      • (5) 5호 주거지 = 102
      • 3) 조선시대 주거지 = 105
      • (1) 1호 주거지 = 105
      • (2) 2호 주거지 = 108
      • (3) 3호 주거지 = 115
      • (4) 4호 주거지 = 117
      • 4) 수혈유구 = 122
      • (1) 1호 수혈 = 122
      • (2) 2호 수혈 = 122
      • (3) 3호 수혈 = 123
      • (4) 4호 수혈 = 123
      • (5) 5호 수혈 = 125
      • (6) 6호 수혈 = 125
      • (7) 7호 수혈 = 126
      • (8) 8호 수혈 = 126
      • (9) 9호 수혈 = 127
      • (10) 10호 수혈 = 127
      • (11) 11호 수혈 = 130
      • (12) 12호 수혈 = 132
      • (13) 13호 수혈 = 134
      • (14) 14호 수혈 = 137
      • (15) 15호 수혈 = 138
      • (16) 16호 수혈 = 138
      • (17) 17호 수혈 = 138
      • (18) 18호 수혈 = 139
      • (19) 19호 수혈 = 140
      • (20) 20호 수혈 = 140
      • (21) 21호 수혈 = 141
      • (22) 22호 수혈 = 142
      • (23) 23호 수혈 = 142
      • (24) 24호 수혈 = 142
      • (25) 25호 수혈 = 143
      • (26) 26호 수혈 = 143
      • (27) 27호 수혈 = 145
      • (28) 28호 수혈 = 145
      • 5) 구상유구 = 145
      • (1) 1호 구상유구 = 146
      • (2) 2호 구상유구 = 146
      • (3) 3호 구상유구 = 146
      • (4) 4호 구상유구 = 149
      • (5) 5호 구상유구 = 149
      • 6) 목관묘 = 150
      • (1) 1호 목관묘 = 150
      • (2) 2호 목관묘 = 150
      • (3) 3호 목관묘 = 151
      • (4) 4호 목관묘 = 152
      • (5) 5호 목관묘 = 153
      • (6) 6호 목관묘 = 153
      • (7) 7호 목관묘 = 154
      • (8) 8호 목관묘 = 155
      • (9) 9호 목관묘 = 156
      • (10) 10호 목관묘 = 157
      • (11) 11호 목관묘 = 158
      • (12) 12호 목관묘 = 159
      • 7) 지표수습 = 159
      • Ⅳ. 고찰 = 163
      • 1. 신석기시대 주거지 = 163
      • 2. 청동기시대 주거지 = 173
      • 3. 역사시대 유구 = 181
      • Ⅴ. 맺음말 = 186
      • 부록 1. 방사성탄소연대 측정자료 = 247
      • 1. 서울대학교 기초과학공동기기원 AMS실 측정자료 = 249
      • 2. 일본 Paleo Labo AMS연대측정 그룹측정자료 = 271
      • 부록 2. 국도 7호선(간성-현내간) 도로공사구간내 유적 3D레이저 스캔보고서 = 29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