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팔림세스트 : 검은고라니와 황색예수 - 1980년대 김정환의 글쓰기 = Palimpsest : Black Elk and Yellow Jesus - Kim Jeong-hwan’s Writing in 1980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18356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은 1980년대 등단한 시인 김정환의 초기 시, 번역, 평론을 포함한 글쓰기 전반을 검토하여 그 미학적 특징을 규명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특히 1983년부터 86년까지 3권의 시집에 걸쳐 진행된 ‘황색예수’ 연작 텍스트는 대체로 ‘제목-성경 구절-시 본문’으로 구성된 독특한 구성을 취하고 있는데, 이 세 요소의 관계는 단순한 예표와 반영으로 해석할 수 없다. 본고에서는 ‘황색예수’ 텍스트의 각 요소들이 서로 보충하는 동시에 부정하는 방식으로 의미를 생성한다는 점에 주목한다. 이같은 ‘팔림세스트’(palimpsest) 글쓰기는 80년대 김정환의 시에서 발견되는 독보적인 미학 형식이며, 80년대 민중시가 나아갈 새로운 방향을 모색했던 시인의 특징적인 글쓰기 실천이었다.
      ‘황색예수’ 연작의 미학적 특징을 분석하기에 앞서 2장에서는 80년대 초 김정환의 번역 작업을 검토한다. 활발한 번역을 통해 제3세계문학론의 수용과 확산에 역할을 했던 김정환은 ‘인디안 문학’을 통해 80년대 민중시가 나아갈 미학적 갱신의 한 방향을 제시해주었다. 3장에서는 번역작업을 통해 마련한 시론을 시작에 적용한 예로서 ‘황색예수’ 연작 및 80년대 시편을 검토한다. 김정환의 시쓰기는 목소리의 중첩을 통해 언어의 수행성을 극대화시키며 새로운 민중시의 형식을 보여준다. 4장에서는 이같은 글쓰기 실천을 ‘팔림세스트’로 개념화하고 김정환의 알레고리가 갖는 문학적 실천성을 평가한다.
      이 연구는 김정환의 1980년대 글쓰기 작업을 폭넓게 검토하고 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이 작업을 통해 기독교 상징이 수동적으로 반영된 텍스트로서만 ‘황색예수’ 연작을 읽어내던 종래의 독해방식에서 벗어나, 김정환의 1980년대 글쓰기 작업이 민중문학의 미학적 갱신을 보여준 실천적 글쓰기였음이 드러나리라 기대한다.
      번역하기

      이 논문은 1980년대 등단한 시인 김정환의 초기 시, 번역, 평론을 포함한 글쓰기 전반을 검토하여 그 미학적 특징을 규명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특히 1983년부터 86년까지 3권의 시집에 걸쳐 진...

      이 논문은 1980년대 등단한 시인 김정환의 초기 시, 번역, 평론을 포함한 글쓰기 전반을 검토하여 그 미학적 특징을 규명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특히 1983년부터 86년까지 3권의 시집에 걸쳐 진행된 ‘황색예수’ 연작 텍스트는 대체로 ‘제목-성경 구절-시 본문’으로 구성된 독특한 구성을 취하고 있는데, 이 세 요소의 관계는 단순한 예표와 반영으로 해석할 수 없다. 본고에서는 ‘황색예수’ 텍스트의 각 요소들이 서로 보충하는 동시에 부정하는 방식으로 의미를 생성한다는 점에 주목한다. 이같은 ‘팔림세스트’(palimpsest) 글쓰기는 80년대 김정환의 시에서 발견되는 독보적인 미학 형식이며, 80년대 민중시가 나아갈 새로운 방향을 모색했던 시인의 특징적인 글쓰기 실천이었다.
      ‘황색예수’ 연작의 미학적 특징을 분석하기에 앞서 2장에서는 80년대 초 김정환의 번역 작업을 검토한다. 활발한 번역을 통해 제3세계문학론의 수용과 확산에 역할을 했던 김정환은 ‘인디안 문학’을 통해 80년대 민중시가 나아갈 미학적 갱신의 한 방향을 제시해주었다. 3장에서는 번역작업을 통해 마련한 시론을 시작에 적용한 예로서 ‘황색예수’ 연작 및 80년대 시편을 검토한다. 김정환의 시쓰기는 목소리의 중첩을 통해 언어의 수행성을 극대화시키며 새로운 민중시의 형식을 보여준다. 4장에서는 이같은 글쓰기 실천을 ‘팔림세스트’로 개념화하고 김정환의 알레고리가 갖는 문학적 실천성을 평가한다.
      이 연구는 김정환의 1980년대 글쓰기 작업을 폭넓게 검토하고 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이 작업을 통해 기독교 상징이 수동적으로 반영된 텍스트로서만 ‘황색예수’ 연작을 읽어내던 종래의 독해방식에서 벗어나, 김정환의 1980년대 글쓰기 작업이 민중문학의 미학적 갱신을 보여준 실천적 글쓰기였음이 드러나리라 기대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정환, "황색예수" 문학과지성사 2008

      2 체슬라브 밀로즈, "폴란드 민족시집" 실천문학사 1982

      3 박연희, "제3세계의 기억" 소명출판 2020

      4 백낙청, "제3세계와 민중문학" 창작과비평사 (53) : 43-79, 1979

      5 백낙청, "제3세계 문학론" 도서출판 한벗 1982

      6 진순애, "역사와 말 - 김정환론" 고요아침 10 (10): 41-57, 2005

      7 민경식, "신약성서, 우리에게 오기까지" 대한기독교서회 2008

      8 마지시 쿠네네, "세계의 문학" 민음사 1983

      9 김정환, "삶의 시, 해방의 문학" 청하 1986

      10 J. G. 니이하트, "빼앗긴 대지의 꿈" 창작과비평사 1981

      1 김정환, "황색예수" 문학과지성사 2008

      2 체슬라브 밀로즈, "폴란드 민족시집" 실천문학사 1982

      3 박연희, "제3세계의 기억" 소명출판 2020

      4 백낙청, "제3세계와 민중문학" 창작과비평사 (53) : 43-79, 1979

      5 백낙청, "제3세계 문학론" 도서출판 한벗 1982

      6 진순애, "역사와 말 - 김정환론" 고요아침 10 (10): 41-57, 2005

      7 민경식, "신약성서, 우리에게 오기까지" 대한기독교서회 2008

      8 마지시 쿠네네, "세계의 문학" 민음사 1983

      9 김정환, "삶의 시, 해방의 문학" 청하 1986

      10 J. G. 니이하트, "빼앗긴 대지의 꿈" 창작과비평사 1981

      11 데오도라 크로버, "북미 최후의 석기인 이쉬" 창작과비평사 1981

      12 유성호, "미학과 정치의 통합을 통한 시적 ‘당대’의 구현 - 김정환론" 고요아침 10 (10): 58-73, 2005

      13 발터 벤야민, "독일 비애극의 원천" 새물결 2008

      14 폴 드 만, "독서의 알레고리" 문학과지성사 2010

      15 지창영, "김정환의 연작 『황색예수』에 나타난 해방신학적 관점" 동악어문학회 (85) : 163-191, 2021

      16 김정환, "김정환 예술 산문집-고유명사들의 공동체" 삼인 2004

      17 김정환, "김정환 시집 1980~1999" 이론과실천 1999

      18 정경은, "기독교, 문학, 역사" 월인 2021

      19 허준행, "1980년대 한국시의 물질성 연구-김정환·김혜순·최승호 시를 중심으로" 성균관대 2021

      20 김난희, "1980년대 연작시 형식에 나타난 유토피아적 충동과 상징화 양상 - 김정환의 장편 연작시 『황색예수』를 대상으로" 한국기호학회 62 : 7-34, 2020

      21 김수이, "1980년대 시에 나타난 ‘기독교’의 의미와 텍스트화 양상 -김정환, 박남철의 시를 중심으로-" 한국현대문학회 (24) : 445-467, 200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5-15 학회명변경 영문명 : 미등록 -> The Society of Korean Literary Studies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5-27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Korean Modern Literature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7 1.07 0.9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5 0.9 1.801 0.2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