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논문은 탄광시에 나타난 ‘공간’과 ‘죽음’ 두 구도에 중심을 두고 탄광의 공간적 특성과 ‘죽음’의 표상들을 규명하는데 목적을 둔다. 곧, 탄광, 탄광촌이라는 특수한 공간과 이러한...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8183565
김성조 (한양대학교)
2022
Korean
Coal Mine Poems ; Coal Mine ; Abandoned mine ; Coal mine worker ; Spatial characteristic ; A representation of death ; Ruin consciousness ; 탄광시 ; 탄광 ; 폐광 ; 탄광노동자 ; 공간적 특성 ; ‘죽음’의 표상 ; 폐허의식
KCI등재
학술저널
447-475(29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은 탄광시에 나타난 ‘공간’과 ‘죽음’ 두 구도에 중심을 두고 탄광의 공간적 특성과 ‘죽음’의 표상들을 규명하는데 목적을 둔다. 곧, 탄광, 탄광촌이라는 특수한 공간과 이러한...
이 논문은 탄광시에 나타난 ‘공간’과 ‘죽음’ 두 구도에 중심을 두고 탄광의 공간적 특성과 ‘죽음’의 표상들을 규명하는데 목적을 둔다. 곧, 탄광, 탄광촌이라는 특수한 공간과 이러한 공간을 둘러싸고 있는 삶의 발자취들을 그들이 일상으로 맞닥뜨리고 있는 실제적/심리적 ‘죽음’과의 연계성 속에서 살펴보는 작업이다.
탄광의 공간적 특성은 ‘땅 속’, ‘땅 밑’이라는 특수한 노동현장으로부터 출발한다. 이는 ‘막장’의 하강 이미지를 표방하면서 외부 세계로부터의 단절과 소외, 사회적 관계형성의 불균형이라는 모순성을 동반하게 된다. 죽음의식은 실제 ‘죽음’의 상황 뿐 아니라, ‘죽음’에 대한 공포, 진폐(塵肺) 등의 병증, 폐광 이후의 황폐한 공간까지 두루 아우른다. 탄광이 ‘막장’의 공간을 표방하면서 ‘죽음’을 내장한다면, 폐광은 폐허의 이름으로 또 다른 형식의 ‘죽음’을 체험하게 한다.
탄광시는 모순과 불균형의 탄광 노동현실과 이에 따른 다양한 문제적 전형들을 포섭하면서 우리 시대의 어두운 단면들을 형상화하고 있다. 탄광, 폐광, 실직 등의 노동현실에 대한 문제는 사회 비판적 담론의 한 측면으로 떠오르면서 창작의 영역으로 확산되고 있다. 이 논문은 소외되어온 탄광시의 시적현실을 환기시키고 그 위치를 증명하는 한 통로를 마련하게 될 것이다.
참고문헌 (Reference)
1 배용준, "현대인의 고유한 죽음에 관한 철학적 연구" 한국동서철학회 (89) : 541-573, 2018
2 이상호, "한국현대시에 나타난 자아의식에 관한 연구" 한국학술정보 2006
3 정연수, "한국 탄광시전집1" 푸른사상 2007
4 정연수, "한국 탄광시전집 2" 푸른사상 2007
5 정일남, "한국 경제에 끼친 석탄과 탄전문학" 탄전문화연구소 (8) : 1999
6 정연수, "탄광시의 현실인식과 미학적 특성 연구" 강릉대학교 대학원 2008
7 남기택, "탄광시와 강원영동지역문학-한국탄광시전집을 중심으로-" 한국언어문학회 (63) : 305-325, 2007
8 정연수, "탄광시에 나타난 탄광촌 삶에 관한 연구" 한중인문학회 (13) : 215-236, 2004
9 신진숙, "탄광서사를 통해 본 산업 폐허와 기억의 정치"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30 (30): 74-91, 2018
10 남기택, "정일남 시 연구"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19 (19): 91-115, 2015
1 배용준, "현대인의 고유한 죽음에 관한 철학적 연구" 한국동서철학회 (89) : 541-573, 2018
2 이상호, "한국현대시에 나타난 자아의식에 관한 연구" 한국학술정보 2006
3 정연수, "한국 탄광시전집1" 푸른사상 2007
4 정연수, "한국 탄광시전집 2" 푸른사상 2007
5 정일남, "한국 경제에 끼친 석탄과 탄전문학" 탄전문화연구소 (8) : 1999
6 정연수, "탄광시의 현실인식과 미학적 특성 연구" 강릉대학교 대학원 2008
7 남기택, "탄광시와 강원영동지역문학-한국탄광시전집을 중심으로-" 한국언어문학회 (63) : 305-325, 2007
8 정연수, "탄광시에 나타난 탄광촌 삶에 관한 연구" 한중인문학회 (13) : 215-236, 2004
9 신진숙, "탄광서사를 통해 본 산업 폐허와 기억의 정치"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30 (30): 74-91, 2018
10 남기택, "정일남 시 연구"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19 (19): 91-115, 2015
11 이경실, "삶과 죽음에 관한 고대근동문학과 잠언서 비교연구" 기독교학문연구회 14 (14): 159-196, 2009
12 이지순, "북한 문학에 형상된 탄광의 장소성" 도시인문학연구소 13 (13): 53-81, 2021
13 임헌영, "문학과 이데올로기" 실천문학사 1988
14 정연수, "노보리와 동발 : 탄광민속문화 보고서" 북코리아 2017
15 김옥선, "노동문학을 넘어 일상적 노동의 회복으로" 한국문학회 (82) : 391-421, 2019
16 가스통 바슐라르, "공간의 시학" 東文選 2003
17 조동길, "격동기 사회(1980년대)의 문학적 대응" 어문연구학회 64 : 329-352, 2010
18 박태순, "炭" 미래사 1988
19 유정화, "『인생연구』: 죽음의 변주곡" 한국문학과종교학회 13 (13): 101-129, 2008
1960년대 시적 리얼리티에 관한 김수영의 방법론적 탐구에 관해 - 자크 프레베르(Jacques Prévert) 필사 원고를 중심으로
팔림세스트 : 검은고라니와 황색예수 - 1980년대 김정환의 글쓰기
황동규의 초기 시세계에 나타나는 욕망과 모순 - 『어떤 개인 날』과 『비가』를 중심으로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9-05-15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미등록 -> The Society of Korean Literary Studies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5-05-27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Korean Modern Literature | ![]() |
200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2-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07 | 1.07 | 0.92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95 | 0.9 | 1.801 | 0.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