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요한복음의 그리스도론과 대승불교의 불타론 = 정류(靜流) 이상근의 부다(Buddha) 이해를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82558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그리스도교와 불교의 근본적인 차이는 믿음의 속성과 그 믿음의 대상이 누구인가에 대한 질문과 연결된다. 정류는 예수 그리스도를 “하나님의 자기 계시”로 이해하면서 “성육신하신 그리스도는 가장 위대하고 가장 분명한 하나님의 계시이다”고 주장한다. 그는 이 “하나님의 계시”를 “그리스도의 인격과 사역”에서 찾으며, “계시라는 개념은 오직 복수의 실재들 속에서만 이해될 수 있다. 인격자, 즉 계시자이다”란 말로 계시를 이해한다. 이러한 이해로 정류는 인간의 유일한 구원자를 예수 그리스도임을 인식했다. 정류에 따르면 불교에서는 “어떤 인격적 대상도 영원히 존재하는 실재가 아니”기 때문에 불교에서의 계시는 성립되지 않는다. 이러한 이해는 자연과 인간을 동일한 범주 안에서 보는 데서 이해 가능하다. 자연과 인간을 동일시하여 인간 안에서 자연의 혼을 본다.
      정류는 현직 목회자로서 미국 유학을 하게 되면서 목회자적인 안목으로 한국 교회 현실이 불교를 모르고서는 힘들다는 인식을 했고, 그래서 그는 불교에 대한 연구를 자신의 과제로 삼아 불교에 대하여 공부하면서 어릴 적에 가졌던 삶에 대한 편력을 불교 연구를 통하여 찾고자 한 듯하
      다. 이러한 이유로 정류는 그리스도와 부다의 사상을 비교한 것이 아닌가 생각된다. 성경을 사랑했던 목회자요 성경학자였던 정류가 연구한 이러한 논지를 이 시대의 학자들도 시대의 어려움을 인식하면서 함께 동참하는 것이 마땅한 자세일 것이다. 누구나 자신이 처한 상황과 환경에 대한 이해와 연구 없이는 그 환경에서 극복하기가 쉽지 않을 것이다. 정류가 활동한 초창기 한국교회 시절의 두 종교에 대한 정류의 이해를 통하여 사랑의 하나님을 믿는 그리스도인들이 타 종교를 대하는 마땅한 자세가 무엇인지에 대한 탐구를 이루게 된다면 정류가 자신의 연구를 통해 알고자했고 기여하고자 한 바를 바르게 이해하게 되고 지금의 한국 교회를 더욱 활기 있게 만드는 계기가 되리라고 본다.
      번역하기

      그리스도교와 불교의 근본적인 차이는 믿음의 속성과 그 믿음의 대상이 누구인가에 대한 질문과 연결된다. 정류는 예수 그리스도를 “하나님의 자기 계시”로 이해하면서 “성육신하신 그...

      그리스도교와 불교의 근본적인 차이는 믿음의 속성과 그 믿음의 대상이 누구인가에 대한 질문과 연결된다. 정류는 예수 그리스도를 “하나님의 자기 계시”로 이해하면서 “성육신하신 그리스도는 가장 위대하고 가장 분명한 하나님의 계시이다”고 주장한다. 그는 이 “하나님의 계시”를 “그리스도의 인격과 사역”에서 찾으며, “계시라는 개념은 오직 복수의 실재들 속에서만 이해될 수 있다. 인격자, 즉 계시자이다”란 말로 계시를 이해한다. 이러한 이해로 정류는 인간의 유일한 구원자를 예수 그리스도임을 인식했다. 정류에 따르면 불교에서는 “어떤 인격적 대상도 영원히 존재하는 실재가 아니”기 때문에 불교에서의 계시는 성립되지 않는다. 이러한 이해는 자연과 인간을 동일한 범주 안에서 보는 데서 이해 가능하다. 자연과 인간을 동일시하여 인간 안에서 자연의 혼을 본다.
      정류는 현직 목회자로서 미국 유학을 하게 되면서 목회자적인 안목으로 한국 교회 현실이 불교를 모르고서는 힘들다는 인식을 했고, 그래서 그는 불교에 대한 연구를 자신의 과제로 삼아 불교에 대하여 공부하면서 어릴 적에 가졌던 삶에 대한 편력을 불교 연구를 통하여 찾고자 한 듯하
      다. 이러한 이유로 정류는 그리스도와 부다의 사상을 비교한 것이 아닌가 생각된다. 성경을 사랑했던 목회자요 성경학자였던 정류가 연구한 이러한 논지를 이 시대의 학자들도 시대의 어려움을 인식하면서 함께 동참하는 것이 마땅한 자세일 것이다. 누구나 자신이 처한 상황과 환경에 대한 이해와 연구 없이는 그 환경에서 극복하기가 쉽지 않을 것이다. 정류가 활동한 초창기 한국교회 시절의 두 종교에 대한 정류의 이해를 통하여 사랑의 하나님을 믿는 그리스도인들이 타 종교를 대하는 마땅한 자세가 무엇인지에 대한 탐구를 이루게 된다면 정류가 자신의 연구를 통해 알고자했고 기여하고자 한 바를 바르게 이해하게 되고 지금의 한국 교회를 더욱 활기 있게 만드는 계기가 되리라고 본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Jung-Ryu argues that the incarnation of Christ is the greatest and the most obvious revelation of God, understanding Jesus Christ as God’s self-revelation. He seeks God’s revelation into the personality and ministry of Christ. The concept of revelation can be understood only in the midst of multiple realities. He understands the word of revelation as personality. According to Jung-Ryu, Buddhism can not establish revelation because any personal object is not an eternal reality in Buddhism. This understanding can be understood in viewing nature and human in the same category. Identifying nature with human, Buddhism looks the soul of nature inside human being.
      The fundamental difference between Christianity and Buddhism is connected with the property of faith and the question who the object of faith is. With this understanding, Jung-Ryu says about the only Saviour, Jesus Christ as following: Faith should have a true object in order to be a true destination.
      These theological statements and efforts of Jung-Ryu had helped him to study in the United States as a pastor. Also from these it is inferred that he had studied Buddhism and compared it with Christianity, recognizing that the reality of Korean mission will be difficult without knowing Buddhism.
      It is not easy for everyone to work in the environments which he/she is faced without understanding and studying his/her situations. As a biblical scholar, Jung-Ryu loved the Bible. Therefore, it is worthy attitude for the contemporary scholars to recognize the difficulties of these times and join together in the argument of Jung-Ryu.
      번역하기

      Jung-Ryu argues that the incarnation of Christ is the greatest and the most obvious revelation of God, understanding Jesus Christ as God’s self-revelation. He seeks God’s revelation into the personality and ministry of Christ. The concept of revel...

      Jung-Ryu argues that the incarnation of Christ is the greatest and the most obvious revelation of God, understanding Jesus Christ as God’s self-revelation. He seeks God’s revelation into the personality and ministry of Christ. The concept of revelation can be understood only in the midst of multiple realities. He understands the word of revelation as personality. According to Jung-Ryu, Buddhism can not establish revelation because any personal object is not an eternal reality in Buddhism. This understanding can be understood in viewing nature and human in the same category. Identifying nature with human, Buddhism looks the soul of nature inside human being.
      The fundamental difference between Christianity and Buddhism is connected with the property of faith and the question who the object of faith is. With this understanding, Jung-Ryu says about the only Saviour, Jesus Christ as following: Faith should have a true object in order to be a true destination.
      These theological statements and efforts of Jung-Ryu had helped him to study in the United States as a pastor. Also from these it is inferred that he had studied Buddhism and compared it with Christianity, recognizing that the reality of Korean mission will be difficult without knowing Buddhism.
      It is not easy for everyone to work in the environments which he/she is faced without understanding and studying his/her situations. As a biblical scholar, Jung-Ryu loved the Bible. Therefore, it is worthy attitude for the contemporary scholars to recognize the difficulties of these times and join together in the argument of Jung-Ryu.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초록
      • Ⅰ. 들어가는 말
      • Ⅱ. 정류와 불교
      • Ⅲ. 그리스도와 부다(Buddha)
      • Ⅳ. 정류의 불교 연구와 오늘날 한국교회의 선교적인 대안
      • 초록
      • Ⅰ. 들어가는 말
      • Ⅱ. 정류와 불교
      • Ⅲ. 그리스도와 부다(Buddha)
      • Ⅳ. 정류의 불교 연구와 오늘날 한국교회의 선교적인 대안
      • Ⅴ. 맺는 말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영헌, "한국기독교전래사" 18 (18): 89-90, 1974

      2 Wright, Christopher, "하나님의 선교: 하나님의 선교 관점으로 성경 내러티브를 열다" IVP 2010

      3 권호덕, "칼빈의 시각으로 본 靜流 이상근 목사" 한국개혁신학회 36 : 16-65, 2012

      4 소요한, "조선 후기 개신교 전래와 수용 연구: 1876-1884년, 서북지역을 중심으로" 11 (11): 245-273, 2012

      5 최윤배, "정유(靜流) 이상근(李相根) 박사의 구원론: 신약성서주해로마서를 중심으로" 연동교회 58-75, 2012

      6 배재욱, "정류(靜流) 이상근박사의 신학 단초와 마태복음 주해" 한국개혁신학회 36 : 178-206, 2012

      7 배재욱, "정류(靜流) 이상근 박사의 신학과 사상" 장로회신학대학교 (36) : 72-101, 2009

      8 이승구, "정류(靜流) 이상근 박사의 신앙과 학문을 기리면서" 36 : 3-5, 2012

      9 우현석, "잘나가던 한국 교회, 대위기 닥쳤다. 신마저 못피해간 불황의 그림자. 시주·헌금 크게 줄고 종교시설 경매 늘어. 지방 말사·개척 교회일수록 침체 영향 커" 서울경제

      10 이강택, "이상근 박사의 개혁주의적 성경해석학: 마태복음 주석을중심으로" 연동교회 148-158, 2012

      1 이영헌, "한국기독교전래사" 18 (18): 89-90, 1974

      2 Wright, Christopher, "하나님의 선교: 하나님의 선교 관점으로 성경 내러티브를 열다" IVP 2010

      3 권호덕, "칼빈의 시각으로 본 靜流 이상근 목사" 한국개혁신학회 36 : 16-65, 2012

      4 소요한, "조선 후기 개신교 전래와 수용 연구: 1876-1884년, 서북지역을 중심으로" 11 (11): 245-273, 2012

      5 최윤배, "정유(靜流) 이상근(李相根) 박사의 구원론: 신약성서주해로마서를 중심으로" 연동교회 58-75, 2012

      6 배재욱, "정류(靜流) 이상근박사의 신학 단초와 마태복음 주해" 한국개혁신학회 36 : 178-206, 2012

      7 배재욱, "정류(靜流) 이상근 박사의 신학과 사상" 장로회신학대학교 (36) : 72-101, 2009

      8 이승구, "정류(靜流) 이상근 박사의 신앙과 학문을 기리면서" 36 : 3-5, 2012

      9 우현석, "잘나가던 한국 교회, 대위기 닥쳤다. 신마저 못피해간 불황의 그림자. 시주·헌금 크게 줄고 종교시설 경매 늘어. 지방 말사·개척 교회일수록 침체 영향 커" 서울경제

      10 이강택, "이상근 박사의 개혁주의적 성경해석학: 마태복음 주석을중심으로" 연동교회 148-158, 2012

      11 박성환, "이상근 목사의 설교 분석: 사도신경의 연속 설교를 중심으로" 한국개혁신학회 36 : 132-177, 2012

      12 소기천, "이상근 목사의 개혁신학과 신앙-『 이상근 강해설교 』1-30권과 『 신약주해 』 1-12권을 중심으로" 164-181, 2012

      13 소기천, "이상근 목사의 개혁신학과 신앙 -『이상근 강해설교』 1-30권과 『신약주해』 1-12권을 중심으로-" 한국개혁신학회 36 : 66-95, 2012

      14 신선혜, "신라의 불교 전래와 교단의 확립" 한국불교연구원 (33) : 159-194, 2010

      15 김진영, "불교전래 과정의 서사문학적 수용과 그 의미 -≪삼국유사≫ 설화를 중심으로- ­" 한국언어문학회 (79) : 113-136, 2011

      16 윤영해, "불교와 기독교의 자기부정의 의미" 1 : 243-261, 2000

      17 고영섭, "부파불교 전래와 전통 한국불교 - 테라와다 불교의 전래와 관련하여 -" 한국선학회 (24) : 327-376, 2009

      18 유창형, "베드로전서 3:18-20, 4:6에 관한 이상근과 칼빈의 견해 비교 분석" 한국개혁신학회 36 : 96-131, 2012

      19 한정희, "명 말기에 전래된 기독교 미술과 그 양상" 명청사학회 (35) : 253-284, 2011

      20 이상근, "등대가 있는 외딴 섬" 도서출판 두란노 2002

      21 이찬수, "대립과 조화 : 한국 불교와 그리스도교 관계사" 한국종교교육학회 19 : 197-222, 2004

      22 강돈구, "기독교의 전래와 서양철학의 수용" 4 : 197-239, 1994

      23 이진구, "근대 한국 기독교와 불교의 상호인식" 43 : 11-22, 2000

      24 황정욱, "가야는 사도 도마에 의해 복음화되었는가? - 고대 한국에 있어서 그리스도교 전래 가능성 연구" 한국교회사학회 (18) : 247-271, 2006

      25 소재영, "基督敎의 傳來와 韓國文學" 19 (19): 143-174, 1989

      26 김진, "“무아설과 윤회설의 문제.”(Das Problem der Selbstlosigkeit und Wiedergeburt im Buddhismus)" 19 : 3-39, 1999

      27 Skorupski, Tadeusz, "“Funeral Rites for Rebirth in the Sukh vat Realm (According to the Tibetan Pure Land Tradition).”(티벳인들의 정토(淨土)적 전통에 관하여[지역의 부활을 위한 장례의식])" 16 : 265-304, 2003

      28 Suzuki, Daisetz, "Suzuki’s Selections 13" Shun-syu Sha 1952

      29 Lee, Sang Kun, "Jesus Christ as Revealed in the Gospel of John Compared with the Buddha in Mahayanish" Dallas Theological Seminary 195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23 0.23 0.2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23 0.23 0.586 0.0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