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김두얼, "행장류 자료를 통해 본 조선시대 양반의 출산과 인구변동" 경제사학회 52 : 3-27, 2012
2 조혜란, "행장(行狀)에 재현된 조선시대 어머니상-부덕(婦德), 의로움, 취향의 면에서" 한국고전연구학회 (38) : 253-284, 2017
3 심경호, "한문산문의 미학" 고려대학교출판부 2005
4 진필상, "한문문체론" 이회문화사 1995
5 박완식, "한문 문체의 이해" 전주대학교출판부 2001
6 "한국고전DB"
7 이지양, "조선조 후기 사대부가 기록한 아내의 일생: 행장 26편으로 본 내조(內助)의 힘" 인간환경미래연구원 (7) : 31-57, 2011
8 김세서리아, "율곡(栗谷)의 「선비행장(先妣行狀)」에 대한 여성주의 독해 - 사임당의 보살핌 행위와 여성주의 보살핌의 윤리를 중심으로" (사)율곡학회 30 : 93-118, 2015
9 유협, "문심조룡(文心雕龍)" 지식을 만드는 지식 2012
10 교육부,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국어과 교육과정 [별책 5]" 2015
1 김두얼, "행장류 자료를 통해 본 조선시대 양반의 출산과 인구변동" 경제사학회 52 : 3-27, 2012
2 조혜란, "행장(行狀)에 재현된 조선시대 어머니상-부덕(婦德), 의로움, 취향의 면에서" 한국고전연구학회 (38) : 253-284, 2017
3 심경호, "한문산문의 미학" 고려대학교출판부 2005
4 진필상, "한문문체론" 이회문화사 1995
5 박완식, "한문 문체의 이해" 전주대학교출판부 2001
6 "한국고전DB"
7 이지양, "조선조 후기 사대부가 기록한 아내의 일생: 행장 26편으로 본 내조(內助)의 힘" 인간환경미래연구원 (7) : 31-57, 2011
8 김세서리아, "율곡(栗谷)의 「선비행장(先妣行狀)」에 대한 여성주의 독해 - 사임당의 보살핌 행위와 여성주의 보살핌의 윤리를 중심으로" (사)율곡학회 30 : 93-118, 2015
9 유협, "문심조룡(文心雕龍)" 지식을 만드는 지식 2012
10 교육부,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국어과 교육과정 [별책 5]" 2015
11 황윤정, "가문 질서의 재생산으로서 여성 행장의 글쓰기 방식 연구 -김만중의 <先妣貞敬夫人行狀>을 중심으로-" 한국문학교육학회 (45) : 547-580, 2014
12 김동협, "李滉이 지은 行狀을 통해 본 그의 出處觀과 人生觀" 동방한문학회 (18) : 101-119, 2000
13 이은영, "哀祭文의 특징과 변천과정" 동방한문학회 (31) : 257-297, 2006
14 "中國哲學書電子化計劃"
15 김현미, "19세기 선비행장(先妣行狀)류 글에 형상화된 어머니의 가르침- 자녀 교육 태도와 교육 양상을 중심으로" 한국고전연구학회 (29) : 439-467, 2014
16 최기숙, "18세기 여성 대상 애제문과 비지문을 통해 본 한문의 ‘문자적ㆍ구술적’ 포용성 - ‘한문/언문’과 ‘말/글’의 중첩과 포용의 맥락" 한국고전문학회 (48) : 259-289, 2015
17 황수연, "18세기 어머니 행장(先妣行狀) 연구: 母子의 인정 행위를 중심으로" 한국여성문학학회 (41) : 213-241, 2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