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여성을 주체적으로 회상한 행장(行狀)의 애도 내용 고찰 = Study on Haengjang(行狀)'s mourning content, who has been recalled as a independent woma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10704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s based on Haengjang(行狀), written by men in the Choseon Dynasty for women, which is based on the fact that unlike the general perception of Choseon society at the time, women were thought and shaped as a independent human being. Haengjiang(行狀)'s mourning for the independent women is three things. First, men respected women's voluntary mental training. Second, the man expressed his awe that the woman actively practiced her firm belief in life. Third, men praised women for their great influence not only at home but also socially, leading others. These results will serve as an opportunity to see new perceptions of “women” in Choseon culture, and further contribute to the value of classics and the cultivation of literary readers of classics.
      번역하기

      This study is based on Haengjang(行狀), written by men in the Choseon Dynasty for women, which is based on the fact that unlike the general perception of Choseon society at the time, women were thought and shaped as a independent human being. Haengj...

      This study is based on Haengjang(行狀), written by men in the Choseon Dynasty for women, which is based on the fact that unlike the general perception of Choseon society at the time, women were thought and shaped as a independent human being. Haengjiang(行狀)'s mourning for the independent women is three things. First, men respected women's voluntary mental training. Second, the man expressed his awe that the woman actively practiced her firm belief in life. Third, men praised women for their great influence not only at home but also socially, leading others. These results will serve as an opportunity to see new perceptions of “women” in Choseon culture, and further contribute to the value of classics and the cultivation of literary readers of classic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조선 시대 남성이 여성을 대상으로 쓴 행장(行狀)을 종합하여, 애도의 방식이 당대 조선 사회에 대한 일반적 인식과는 달리, 여성을 하나의 주체적 인간으로 사유, 형상화했다는 점을 도출한 것이다. 여성을 주체적으로 회상한 행장의 애도 내용은 크게 3가지이다. 첫째, 남성은 여성이 마음 수양을 자발적으로 했음을 존중하였다. 둘째, 남성은 여성이 자신의 굳은 신념을 삶에 적극적으로 실천했음에 경외를 표했다. 셋째, 남성은 여성이 가정에서 뿐만 아니라 사회적으로도 큰 영향력을 미쳐 타인을 인도했음을 칭송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조선 문화에서의 ‘여성’에 대한 인식을 새롭게 볼 수 있는 계기가 되고, 나아가 고전의 가치와 고전의 문학 독자 양성에도 기여할 수 있다.
      번역하기

      이 연구는 조선 시대 남성이 여성을 대상으로 쓴 행장(行狀)을 종합하여, 애도의 방식이 당대 조선 사회에 대한 일반적 인식과는 달리, 여성을 하나의 주체적 인간으로 사유, 형상화했다는 ...

      이 연구는 조선 시대 남성이 여성을 대상으로 쓴 행장(行狀)을 종합하여, 애도의 방식이 당대 조선 사회에 대한 일반적 인식과는 달리, 여성을 하나의 주체적 인간으로 사유, 형상화했다는 점을 도출한 것이다. 여성을 주체적으로 회상한 행장의 애도 내용은 크게 3가지이다. 첫째, 남성은 여성이 마음 수양을 자발적으로 했음을 존중하였다. 둘째, 남성은 여성이 자신의 굳은 신념을 삶에 적극적으로 실천했음에 경외를 표했다. 셋째, 남성은 여성이 가정에서 뿐만 아니라 사회적으로도 큰 영향력을 미쳐 타인을 인도했음을 칭송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조선 문화에서의 ‘여성’에 대한 인식을 새롭게 볼 수 있는 계기가 되고, 나아가 고전의 가치와 고전의 문학 독자 양성에도 기여할 수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두얼, "행장류 자료를 통해 본 조선시대 양반의 출산과 인구변동" 경제사학회 52 : 3-27, 2012

      2 조혜란, "행장(行狀)에 재현된 조선시대 어머니상-부덕(婦德), 의로움, 취향의 면에서" 한국고전연구학회 (38) : 253-284, 2017

      3 심경호, "한문산문의 미학" 고려대학교출판부 2005

      4 진필상, "한문문체론" 이회문화사 1995

      5 박완식, "한문 문체의 이해" 전주대학교출판부 2001

      6 "한국고전DB"

      7 이지양, "조선조 후기 사대부가 기록한 아내의 일생: 행장 26편으로 본 내조(內助)의 힘" 인간환경미래연구원 (7) : 31-57, 2011

      8 김세서리아, "율곡(栗谷)의 「선비행장(先妣行狀)」에 대한 여성주의 독해 - 사임당의 보살핌 행위와 여성주의 보살핌의 윤리를 중심으로" (사)율곡학회 30 : 93-118, 2015

      9 유협, "문심조룡(文心雕龍)" 지식을 만드는 지식 2012

      10 교육부,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국어과 교육과정 [별책 5]" 2015

      1 김두얼, "행장류 자료를 통해 본 조선시대 양반의 출산과 인구변동" 경제사학회 52 : 3-27, 2012

      2 조혜란, "행장(行狀)에 재현된 조선시대 어머니상-부덕(婦德), 의로움, 취향의 면에서" 한국고전연구학회 (38) : 253-284, 2017

      3 심경호, "한문산문의 미학" 고려대학교출판부 2005

      4 진필상, "한문문체론" 이회문화사 1995

      5 박완식, "한문 문체의 이해" 전주대학교출판부 2001

      6 "한국고전DB"

      7 이지양, "조선조 후기 사대부가 기록한 아내의 일생: 행장 26편으로 본 내조(內助)의 힘" 인간환경미래연구원 (7) : 31-57, 2011

      8 김세서리아, "율곡(栗谷)의 「선비행장(先妣行狀)」에 대한 여성주의 독해 - 사임당의 보살핌 행위와 여성주의 보살핌의 윤리를 중심으로" (사)율곡학회 30 : 93-118, 2015

      9 유협, "문심조룡(文心雕龍)" 지식을 만드는 지식 2012

      10 교육부,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국어과 교육과정 [별책 5]" 2015

      11 황윤정, "가문 질서의 재생산으로서 여성 행장의 글쓰기 방식 연구 -김만중의 <先妣貞敬夫人行狀>을 중심으로-" 한국문학교육학회 (45) : 547-580, 2014

      12 김동협, "李滉이 지은 行狀을 통해 본 그의 出處觀과 人生觀" 동방한문학회 (18) : 101-119, 2000

      13 이은영, "哀祭文의 특징과 변천과정" 동방한문학회 (31) : 257-297, 2006

      14 "中國哲學書電子化計劃"

      15 김현미, "19세기 선비행장(先妣行狀)류 글에 형상화된 어머니의 가르침- 자녀 교육 태도와 교육 양상을 중심으로" 한국고전연구학회 (29) : 439-467, 2014

      16 최기숙, "18세기 여성 대상 애제문과 비지문을 통해 본 한문의 ‘문자적ㆍ구술적’ 포용성 - ‘한문/언문’과 ‘말/글’의 중첩과 포용의 맥락" 한국고전문학회 (48) : 259-289, 2015

      17 황수연, "18세기 어머니 행장(先妣行狀) 연구: 母子의 인정 행위를 중심으로" 한국여성문학학회 (41) : 213-241, 201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4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20-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재인증) KCI등재후보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5-02-11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어문학연구 -> 동악어문학
      외국어명 : The Research on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 Journal of Dong-ak Language and Literature
      KCI등재
      2015-02-11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어문학연구학회 -> 동악어문학회
      영문명 : The Association Of The Research On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 Dong-ak Society of Language and Literature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4-29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Dong-ak Society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 The Research on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7 0.67 0.6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1 0.8 1.224 0.2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