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마을인문학과 여성주의 = Village-Humanities and Feminism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80023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여성주의를 자신의 정치적 지향과 가치로 삼고 있는 연구자들과 활동가들은 탈가부장적 사회체계를 구축하는 데 있어 ‘지역’을 자기 삶의 기획과 집합적 실천의 중요 현장으로 품어왔다. 이 글은 1980년대 이후, 한국의 여성주의 그룹이 어떠한 문제의식 아래, 지역을 여성주의 이론․실천의 핵심 장으로 삼아 성장해왔는지 검토한다. 그리고 살림과 돌봄의 가치를 품고 전개되었던 여성주의 운동을 매개로 한 지역사회의 점진적 변화가 한국사회의 공공성 구축에 있어 어떠한 내적 역동성을 창출하였는지 살펴봄으로써, 지역과 여성주의, 여성주체 구축의 관계맺음에 대해 ‘재’역사화를 시도한다. 마지막으로 ‘우리는 왜 마을에서, 그리고 마을을 넘어서, 무엇을 위해, 어떻게 만나야 하는가’라는 비판적 물음을 통해, ‘마을인문학’ 교육 프로그램이 ‘페미니스트 페다고지(feminist pedagogy)’와 결합함으로써 생성해낼 수 있는 새로움에 대해 타진해보려 하며, 이와 동시에, 현재 진행 중에 있는 마을들에서의 여러 실험적 기획과 지향, 주민들의 다층적 노력들이 삭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제도권 연구자는 대학과 지역 현장의 유기적 협업 관계망에서 어떠한 ‘위치성’을 가지고, 또 어떠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지, 그 열린 가능성에 대해서 탐색해 보려한다.
      번역하기

      여성주의를 자신의 정치적 지향과 가치로 삼고 있는 연구자들과 활동가들은 탈가부장적 사회체계를 구축하는 데 있어 ‘지역’을 자기 삶의 기획과 집합적 실천의 중요 현장으로 품어왔다....

      여성주의를 자신의 정치적 지향과 가치로 삼고 있는 연구자들과 활동가들은 탈가부장적 사회체계를 구축하는 데 있어 ‘지역’을 자기 삶의 기획과 집합적 실천의 중요 현장으로 품어왔다. 이 글은 1980년대 이후, 한국의 여성주의 그룹이 어떠한 문제의식 아래, 지역을 여성주의 이론․실천의 핵심 장으로 삼아 성장해왔는지 검토한다. 그리고 살림과 돌봄의 가치를 품고 전개되었던 여성주의 운동을 매개로 한 지역사회의 점진적 변화가 한국사회의 공공성 구축에 있어 어떠한 내적 역동성을 창출하였는지 살펴봄으로써, 지역과 여성주의, 여성주체 구축의 관계맺음에 대해 ‘재’역사화를 시도한다. 마지막으로 ‘우리는 왜 마을에서, 그리고 마을을 넘어서, 무엇을 위해, 어떻게 만나야 하는가’라는 비판적 물음을 통해, ‘마을인문학’ 교육 프로그램이 ‘페미니스트 페다고지(feminist pedagogy)’와 결합함으로써 생성해낼 수 있는 새로움에 대해 타진해보려 하며, 이와 동시에, 현재 진행 중에 있는 마을들에서의 여러 실험적 기획과 지향, 주민들의 다층적 노력들이 삭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제도권 연구자는 대학과 지역 현장의 유기적 협업 관계망에서 어떠한 ‘위치성’을 가지고, 또 어떠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지, 그 열린 가능성에 대해서 탐색해 보려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Within the dynamic context of Korean social-economic change, some feminist researchers and activists have regarded the “local” and the “regional” as an important object as well as subject for their political aim of overcoming the Korean patriarchal system and realizing gender equality both in private and public sectors.
      This paper looks at the kinds of problematics Korean feminist groups have grappled with in relation to the issues of the “regional” and to what extent they place “local community” at the center of gendered daily life practices by looking at the historical trajectory of an urban village building project and its social meaning in terms of publicity. Additionally, the paper also examines how Korean feminists’ thought and activism on region and local community have developed in relation to an ethics of caring and feminist eco-politics.
      By questioning “why and how academic researchers meet people at the local community (level) and also, beyond the local community”, this paper deals with the civic education program “Village-Humanities”, developed and implemented by the Institute of Korean Studies at Yonsei University together with residents living at Mapogu Seonmisan village, and links it with feminist pedagogy philosophy. Lastly, it discusses academic researchers’ locations and roles which enable them to contain and institutionalize present diverse experiment in local communities for constructing networks between locals and residents in and out of urban spots.
      번역하기

      Within the dynamic context of Korean social-economic change, some feminist researchers and activists have regarded the “local” and the “regional” as an important object as well as subject for their political aim of overcoming the Korean patria...

      Within the dynamic context of Korean social-economic change, some feminist researchers and activists have regarded the “local” and the “regional” as an important object as well as subject for their political aim of overcoming the Korean patriarchal system and realizing gender equality both in private and public sectors.
      This paper looks at the kinds of problematics Korean feminist groups have grappled with in relation to the issues of the “regional” and to what extent they place “local community” at the center of gendered daily life practices by looking at the historical trajectory of an urban village building project and its social meaning in terms of publicity. Additionally, the paper also examines how Korean feminists’ thought and activism on region and local community have developed in relation to an ethics of caring and feminist eco-politics.
      By questioning “why and how academic researchers meet people at the local community (level) and also, beyond the local community”, this paper deals with the civic education program “Village-Humanities”, developed and implemented by the Institute of Korean Studies at Yonsei University together with residents living at Mapogu Seonmisan village, and links it with feminist pedagogy philosophy. Lastly, it discusses academic researchers’ locations and roles which enable them to contain and institutionalize present diverse experiment in local communities for constructing networks between locals and residents in and out of urban spot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논문개요
      • 1. 들어가는 말
      • 2. 지역 안의 여성주의, 여성주의 안의 지역
      • 3. 페미니스트 페다고지와 마을인문학
      • 4. 나오는 글
      • 논문개요
      • 1. 들어가는 말
      • 2. 지역 안의 여성주의, 여성주의 안의 지역
      • 3. 페미니스트 페다고지와 마을인문학
      • 4. 나오는 글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승훈, "한국의 시민과 시민 사회 : 사사로운 개인에서 공공의 시민으로" 북코리아 2010

      2 이화여자대학교 한국여성연구원, "한국여성연구원 30년" 한국여성연구원 2009

      3 고부응, "한국 대학의 기업화" 역사문제연구소 (92) : 16-42, 2010

      4 나윤경, "페미니스트 페다고지 : 여성 학습자만을 위한 교수 방법인가" 2 (2): 1999

      5 조옥, "지역화페와 여성주의 : 한밭레츠의 경험에서 길을 찾다" 푸른사상 2013

      6 전희경, "지역의 구체성과 만난 여성학 강의" 2013

      7 엄태석, "지역발전과 로컬 거버넌스- 정책 사례를 중심으로-" 21세기정치학회 15 (15): 97-116, 2005

      8 백영경, "지식의 정치와 새로운 인문학: ‘공공’ 연구 확장에 대한 모색" (159) : 2013

      9 이혜숙, "지방자치와 지역여성의 전망" 집문당 2011

      10 조(한)혜정, "우리의 가정환경, 과연 자녀양육이 바람직한가, In 우리 아이들의 육아현실과 미래" 한울 1991

      1 이승훈, "한국의 시민과 시민 사회 : 사사로운 개인에서 공공의 시민으로" 북코리아 2010

      2 이화여자대학교 한국여성연구원, "한국여성연구원 30년" 한국여성연구원 2009

      3 고부응, "한국 대학의 기업화" 역사문제연구소 (92) : 16-42, 2010

      4 나윤경, "페미니스트 페다고지 : 여성 학습자만을 위한 교수 방법인가" 2 (2): 1999

      5 조옥, "지역화페와 여성주의 : 한밭레츠의 경험에서 길을 찾다" 푸른사상 2013

      6 전희경, "지역의 구체성과 만난 여성학 강의" 2013

      7 엄태석, "지역발전과 로컬 거버넌스- 정책 사례를 중심으로-" 21세기정치학회 15 (15): 97-116, 2005

      8 백영경, "지식의 정치와 새로운 인문학: ‘공공’ 연구 확장에 대한 모색" (159) : 2013

      9 이혜숙, "지방자치와 지역여성의 전망" 집문당 2011

      10 조(한)혜정, "우리의 가정환경, 과연 자녀양육이 바람직한가, In 우리 아이들의 육아현실과 미래" 한울 1991

      11 한준상, "여성운동에 관한 안드라고지적 전망: 여성성인교육의 전망" 3 (3): 2000

      12 박기남, "여성, 지역을 세상의 중심으로 바꾸다-민우회 지역여성운동을 중심으로, In 여성운동 새로쓰기" 한울 아카데미 2008

      13 홍윤기, "시민적 정체성과 종교성-새로운 시민운동인가 그 심화인가" 2004

      14 로버트슨, "세계지역화 : 시간-공간과 동질성-이질성, In 근대성, 탈근대성, 그리고 세계화" 사회문화연구소 2000

      15 박영숙, "생활협동조합: 여성의 힘으로 만든 대안적 생산과 소비시스템, In 여성운동 새로쓰기" 한울 아카데미 2008

      16 이현희, "생협운동의 여성주의 정치학으로서의 가능성" 21 (21): 2004

      17 꿈지모, "생협운동, 여성에게도 대안인가? 한살림 생협과 여성민우회 생협의 비교검토" 40 : 2004

      18 문순홍, "생태여성론으로 분석한 한국 여성환경운동-동기화구조, 사회공간 내 운동유형, 그리고 지향" 2 : 2002

      19 김정희, "생명여성정치의 현재와 전망" 푸른사상 2005

      20 백영서, "사회인문학이란 무엇인가?" 한길사 2011

      21 서정혜, "분노와 대립을 넘어 : 치유와 통찰로의 여정" 2013

      22 마하트마 간디, "마을이 세계를 구한다" 녹색평론사 2006

      23 이경란, "마을에서 짜는 배움의 틀과 마을인문학" 한국사회와철학연구회 (26) : 57-88, 2013

      24 김영선, "마을에서 인문학하기-마포구 성미산지역의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철학사상연구회 23 (23): 119-148, 2012

      25 송현주, "대안적 패러다임으로서의 페미니스트 페다고지: 그 가능성을 찾아서" 한국성인교육학회 5 (5): 1-28, 2002

      26 조형, "공동육아란 무엇인가, In 함께 크는 우리아이" 또 하나의 문화 1994

      27 류경희, "공동육아, 이웃이 있는 가족이야기" 또 하나의 문화 2004

      28 이경란, "공동육아 섬에서 마을주민으로, In 함께 크는 삶의 시작" 또 하나의 문화 2006

      29 이기범, "공동육아 공동체의 가치와 의미, In 함께 크는 우리 아이" 또 하나의 문화 199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12-10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Social Philosophy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7-06 학술지등록 한글명 : 사회와 철학
      외국어명 : 미등록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 0.6 0.8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2 0.83 1.656 0.1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