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유아교육에서 전통 문화 교육이 강조되고 있다. 전통 그림은 전통문화를 잘 나타내고 있다. 전통그림 중에서도 민속화는 그림이 갖고 있는 특성이 유아들의 그림에서 볼 수 있는 특성...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3153538
2000
-
300
KCI등재
학술저널
221-241(21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최근 유아교육에서 전통 문화 교육이 강조되고 있다. 전통 그림은 전통문화를 잘 나타내고 있다. 전통그림 중에서도 민속화는 그림이 갖고 있는 특성이 유아들의 그림에서 볼 수 있는 특성...
최근 유아교육에서 전통 문화 교육이 강조되고 있다. 전통 그림은 전통문화를 잘 나타내고 있다. 전통그림 중에서도 민속화는 그림이 갖고 있는 특성이 유아들의 그림에서 볼 수 있는 특성과 같은 점이 있어서 유아들의 전통문화교육과 더불어 미술활동의 좋은 소재가 될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민속화를 이용한 활동이 유아들에게 다음과 같은 점에서 어떤 변화가 있는지 알아보고 그 결과를 유아미술교육 활동에 적용시킬 수 있는 근거를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유아들이 민속화에 대한 흥미와 관심을 갖을 것이다. 둘째, 민속화에 나타난 조상들의 생활 정서와 미의식에 대한 이해가 있을 것이다. 셋째. 민속화를 감상한 후 유아들의 그림에 민속화의 표현 특성이 나타날 것이다. 넷째, 한지, 붓과 같은 전통그림 재료에 대한 흥미와 사용기술을 습득할 것이다. 연구의 대상은 J유치원에 다니는 만5세 유아들로 남아 3명, 여아 7명이었다. 이들은 자발적으로 활동에 참여하였다. 민속화에 대한 감상 및 표현 활동과 결과 분석을 위한 자료 수집과정은 약 2개월 동안 이루어졌다. 수집된 자료는 유아들의 미술작업 작품(개인작품, 공동작품), 교사의 관찰기록, 유아와의 면담내용, 유아의 민속화 감상문이었다. 연구 결과 민속화 활동 전과 민속화 활동 후의 유아들의 면담 내용을 분석하면 대부분의 유아들이 민속화 활동 전에는 단순히 민속화에 대한 느낌만을 말해주었는데 활동 후에는 `호작도`, `문자도`, `십장생` 등의 민속화 이름을 말하면서 느낌을 말하였다. 유아들은 민속화 중에서도 화조도에 비해 호작도나 문자도에 더 관심을 보였다. 그리고 민속화의 특징으로 그림들이 재미있고 우습게 그려졌으며, 색깔들이 화려하고 아름답다는 점을 들었다. 유아들의 그림 표현이 민속화 활동 전과 민속화 활동 후에 차이가 있었다. 동화 `삼보`를 듣고 호랑이를 그리게 한 결과 민속화 활동 전보다 민속화 활동 후에 그린 호랑이의 몸에 나타난 무늬가 더 다양했으며, 얼굴 표현도 웃는 모습을 그린 그림들이 있었다. 꽃, 나무, 새 등을 그린 그림에서도 전과 달리 다양한 표현이 나타났는데 그 표현이 민속화를 모방한 점도 보였다. 그림자료의 이용에서도 붓, 붓펜, 한지의 특성을 알고 즐겨 사용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보면 유아들이 우리 나라 민속화를 감상하고 표현활동을 경험하는 것은 여러 가지 점에서 긍정적인 변화를 주었음을 알 수 있다. 유아들은 민속화에 대한 관심과 흥미, 지식 습득에서 발전이 있었으며, 그림 표현에 있어서도 조상들의 표현방식을 모방할 뿐만 아니라 유아 개인의 그림표현에서도 새로운 표현을 하였다. 앞으로 전통문화에 대한 교육활동을 통해 새로운 문화의 형성과 긍정적인 자아정체감을 위한 한 부분으로 민속화를 비롯한 전통그림이 유아교육 활동에 적용될 수 있도록 연구와 프로그램 개발이 계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총체적 언어 접근 활동이 유아의 문해 능력 신장에 미치는 효과
미술의 기본요소에 기초한 표현활동이 유아의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교사가 지각한 유아의 문제행동과 유아의 성별 , 연령 , 기질 및 교사기질과의 관계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