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일반논문 : 사원예능 엔넨(延年) 무대에서지우타이(地謠)의 위치와 발생 = The Origin and Position of Jiutai on the stage of Temple Play Yenne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239120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에서는 일본의 사원 예능인 엔넨(延年)의 무대에서 지우타이(地謠)의 발생과 역할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지우타이가 언제부터 노(能)에 개입하기 시작하였는지, 그 발생에 대한 의문을 다음 몇 가지 측면에서 접근하였다. 첫째, 무대사적인 측면에서 노(能) 무대에서 지우타이의 위치와 기능에 대하여 엔넨 무대사를 통해 그 출현의 실마리를 찾고자 했다. 엔넨은 마당에서 연행되기도 했지만, 엔넨의 무대는 대개 정원에 설치된 시키부타이(敷舞臺)이다. 옌넨 무대에서 지우타이의 위치는 노(能) 무대에서 와키 자리 옆이 아닌 하시가카리 옆인 무대 아래에 위치하기도 한다. 이를 포함하여 엔넨의 구조와 무대사적 특징을 포괄적으로 검토하면서 지우타이의 발생사적 검토를 하였다. 둘째 제아미(世阿彌)의 이론서 가운데 노의 극작술이라고 할 『三道』에서 말하고 있는 三道`란 즉, 노(能)의 주제(種), 구조(作), 그리고 작사와 작곡(書)이다. 그렇다면 노 텍스트를 쓸 때 지우타이(地謠)를 염두에 두고, 극작을 하지 않을 수 없을 것이다. 따라서 제아미의 『노사쿠쇼能作書』에서 지우타이에 대한 언급을 살펴보았다. 셋째, 제아미(世阿彌)의 대표작《이즈쓰(井筒)》와《기요쓰네(淸經)》를 통해 지우타이의 기능과 역할을 살펴보았다. 엔넨무대사에서 지우타이의 위치가 있고, 시테와 와키의 문답에서부터 개입하는 지우타이의 역할은 노(能)의 구조와 관련하여 독특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노오 무대에서 주인공인 시테(仕手)와 와키는 각자 떨어진 자기 위치에서 대사를 하기 때문에 마치 1인극처럼 보인다. 노(能) 텍스트 전 작품에 등장하는 주인공은 저승에서 이승을 하시카가리(橋掛り, Hashgakari)라는 긴 통로를 건네 온 시테로 묘사되고 있다. 지우타이는 그의 영혼과 교감하면서 가면에 가려진 보이지 않는 그의 내면의 이야기의 핵심이 되는 사건을 설명하고 시테나 와키의 대사를 대변하는 대리자로써 진혼(鎭魂,)의 의미를 가진다. 시테의 마이(舞)가 중심을 이르는 말미에서 지우타이의 우타이(謠)는 시테 자신을 대리해주며 시적 언어의 감성적 소리는 인물의 감정과 운명을 숙고케 하며 그의 영혼을 달래주는 것으로써 `영혼의 구제`라는 노(能)의 주제의식을 전달한다. 이 때문에 무대는 노를 보다 깊게 그리고 입체적으로 보이게 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우리나라 현행 범패에서, 굿에서 샤만과 악사와 주고받는 후렴에서나 또 꼭두각시인형극에서 반주악사인 산받이와 인형을 조종하는 대잡이와 주고받는 문답에서 산받이가 극에 개입하지만 지우타이와 같이 극의 구조와 관련하여 극적 긴장을 끌고 가는 형식과는 사뭇 다르다. 엔넨과 같은 사원예능은 우리나라에서 `삼회향(三廻向)놀이라고 불렀으나 그 전승이 단절된 상태이다. 그 복원 시에는 지우타이의 존재가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번역하기

      본 논문에서는 일본의 사원 예능인 엔넨(延年)의 무대에서 지우타이(地謠)의 발생과 역할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지우타이가 언제부터 노(能)에 개입하기 시작하였는지, 그 발생에 대한 의...

      본 논문에서는 일본의 사원 예능인 엔넨(延年)의 무대에서 지우타이(地謠)의 발생과 역할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지우타이가 언제부터 노(能)에 개입하기 시작하였는지, 그 발생에 대한 의문을 다음 몇 가지 측면에서 접근하였다. 첫째, 무대사적인 측면에서 노(能) 무대에서 지우타이의 위치와 기능에 대하여 엔넨 무대사를 통해 그 출현의 실마리를 찾고자 했다. 엔넨은 마당에서 연행되기도 했지만, 엔넨의 무대는 대개 정원에 설치된 시키부타이(敷舞臺)이다. 옌넨 무대에서 지우타이의 위치는 노(能) 무대에서 와키 자리 옆이 아닌 하시가카리 옆인 무대 아래에 위치하기도 한다. 이를 포함하여 엔넨의 구조와 무대사적 특징을 포괄적으로 검토하면서 지우타이의 발생사적 검토를 하였다. 둘째 제아미(世阿彌)의 이론서 가운데 노의 극작술이라고 할 『三道』에서 말하고 있는 三道`란 즉, 노(能)의 주제(種), 구조(作), 그리고 작사와 작곡(書)이다. 그렇다면 노 텍스트를 쓸 때 지우타이(地謠)를 염두에 두고, 극작을 하지 않을 수 없을 것이다. 따라서 제아미의 『노사쿠쇼能作書』에서 지우타이에 대한 언급을 살펴보았다. 셋째, 제아미(世阿彌)의 대표작《이즈쓰(井筒)》와《기요쓰네(淸經)》를 통해 지우타이의 기능과 역할을 살펴보았다. 엔넨무대사에서 지우타이의 위치가 있고, 시테와 와키의 문답에서부터 개입하는 지우타이의 역할은 노(能)의 구조와 관련하여 독특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노오 무대에서 주인공인 시테(仕手)와 와키는 각자 떨어진 자기 위치에서 대사를 하기 때문에 마치 1인극처럼 보인다. 노(能) 텍스트 전 작품에 등장하는 주인공은 저승에서 이승을 하시카가리(橋掛り, Hashgakari)라는 긴 통로를 건네 온 시테로 묘사되고 있다. 지우타이는 그의 영혼과 교감하면서 가면에 가려진 보이지 않는 그의 내면의 이야기의 핵심이 되는 사건을 설명하고 시테나 와키의 대사를 대변하는 대리자로써 진혼(鎭魂,)의 의미를 가진다. 시테의 마이(舞)가 중심을 이르는 말미에서 지우타이의 우타이(謠)는 시테 자신을 대리해주며 시적 언어의 감성적 소리는 인물의 감정과 운명을 숙고케 하며 그의 영혼을 달래주는 것으로써 `영혼의 구제`라는 노(能)의 주제의식을 전달한다. 이 때문에 무대는 노를 보다 깊게 그리고 입체적으로 보이게 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우리나라 현행 범패에서, 굿에서 샤만과 악사와 주고받는 후렴에서나 또 꼭두각시인형극에서 반주악사인 산받이와 인형을 조종하는 대잡이와 주고받는 문답에서 산받이가 극에 개입하지만 지우타이와 같이 극의 구조와 관련하여 극적 긴장을 끌고 가는 형식과는 사뭇 다르다. 엔넨과 같은 사원예능은 우리나라에서 `삼회향(三廻向)놀이라고 불렀으나 그 전승이 단절된 상태이다. 그 복원 시에는 지우타이의 존재가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he analysis of the origin and role of Jiutai(chorus) in the Yennen stage. This study needed to take theoretical approaches to the questions about the origin of Jiutai and when It begin to intervene in Noh in some aspects. First, I tried to find some clues to the appearance of Jiutai through the Yennen stage in relation to the role and position of it in Noh stage in the view of stage history. Yennen is generally performed in Sikibutai, the stage in the garden although it is sometimes performed in the yard. On the Yennen play, the position of Jiutai is sometimes under the stage and by not Waki but Hashigakari. I examined the origin history of Jiutai including the fact and the structure and characteristic of Yennen inclusively. Secondly, Jeami tells about Sandou which consists of Shu and Saku and Sho in his Noh dramaturgy. Shu means theme, and Saku means Structure, and Sho means words and music. If so, It is believed that he keep Jiutai in mind when he writes Noh text. So, I examined the mentions about Jiutai in his Noshakusho, Noh`s dramaturgy. Thirdly, I examined the function and role of Jiutai through Izutsu and Kiyotsne, Jeami`s major works. There is Jiutai position in Yennen stage history and the role of Jiutai which intervene between Site and Waki from the beginning of their conversation has a distinctive structure in relation to the structure of Noh. On stage, Noh looks like a one-man play because Site and Waki speak words in each of their own position and the distance between them is far. The main character in every Noh text is Site who pass the Hashigakari bridge(a bridge that connects stage and dressing room, and also functions as an extension of the stage) between this life and eternity. Sharing spiritual communion with Site, Jiutai explains the event which is the key point of Site`s inner story hidden by his mask. Jiutai also take a role as a spokesman for Site and Waki as in a service for the repose of the deceased. In the part of ending, Site dances Mai and Jiutai speaks for Site by singing Utai in poetic words with sensitive voice which recall the emotion and fate of Site and console the spirit of the deceased and expressed the Subject of Noh, saving the poor soul. Thus, the stage looks more profoundly and three-dimensional. In the conversation between a musician and the other in the Korean Beompae or In the conversation between Shaman and musician, or in the conversation between Sanbadi and Daejabi in Korean Kokdugaksi puppet show, Sanbadi or musician intervene in the play. But the way of keeping dramatic tension in Jiutai is different from in Korean play. Korean calls temple play like Yennen Sanhwoihwang. But Sanhwoihwang isn`t passed down nowadays. We should consider the existence of Jiutai when we restore Sanhwoihwang.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he analysis of the origin and role of Jiutai(chorus) in the Yennen stage. This study needed to take theoretical approaches to the questions about the origin of Jiutai and when It begin to intervene in Noh in some aspects...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he analysis of the origin and role of Jiutai(chorus) in the Yennen stage. This study needed to take theoretical approaches to the questions about the origin of Jiutai and when It begin to intervene in Noh in some aspects. First, I tried to find some clues to the appearance of Jiutai through the Yennen stage in relation to the role and position of it in Noh stage in the view of stage history. Yennen is generally performed in Sikibutai, the stage in the garden although it is sometimes performed in the yard. On the Yennen play, the position of Jiutai is sometimes under the stage and by not Waki but Hashigakari. I examined the origin history of Jiutai including the fact and the structure and characteristic of Yennen inclusively. Secondly, Jeami tells about Sandou which consists of Shu and Saku and Sho in his Noh dramaturgy. Shu means theme, and Saku means Structure, and Sho means words and music. If so, It is believed that he keep Jiutai in mind when he writes Noh text. So, I examined the mentions about Jiutai in his Noshakusho, Noh`s dramaturgy. Thirdly, I examined the function and role of Jiutai through Izutsu and Kiyotsne, Jeami`s major works. There is Jiutai position in Yennen stage history and the role of Jiutai which intervene between Site and Waki from the beginning of their conversation has a distinctive structure in relation to the structure of Noh. On stage, Noh looks like a one-man play because Site and Waki speak words in each of their own position and the distance between them is far. The main character in every Noh text is Site who pass the Hashigakari bridge(a bridge that connects stage and dressing room, and also functions as an extension of the stage) between this life and eternity. Sharing spiritual communion with Site, Jiutai explains the event which is the key point of Site`s inner story hidden by his mask. Jiutai also take a role as a spokesman for Site and Waki as in a service for the repose of the deceased. In the part of ending, Site dances Mai and Jiutai speaks for Site by singing Utai in poetic words with sensitive voice which recall the emotion and fate of Site and console the spirit of the deceased and expressed the Subject of Noh, saving the poor soul. Thus, the stage looks more profoundly and three-dimensional. In the conversation between a musician and the other in the Korean Beompae or In the conversation between Shaman and musician, or in the conversation between Sanbadi and Daejabi in Korean Kokdugaksi puppet show, Sanbadi or musician intervene in the play. But the way of keeping dramatic tension in Jiutai is different from in Korean play. Korean calls temple play like Yennen Sanhwoihwang. But Sanhwoihwang isn`t passed down nowadays. We should consider the existence of Jiutai when we restore Sanhwoihwang.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