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논문은 현대 과학적 생명개념의 문제점을 밝히고 새로운 생명개념이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현대 과학적 생명개념은 진화론과 유전자 이론을 바탕에 두고 생물학의 분야를 넘어서 인간의...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1744361
2015
Korean
과학적 생명개념 ; 진화론 ; 유전자 이론 ; 마투라나 ; 자기생성 ; 하이데거 생명논의 ; Scientific concept of life ; evolution theory ; gene theory ; Maturana ; autopoiesis ; life theory of Heidegger
001
KCI등재
학술저널
61-99(39쪽)
1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현대 과학적 생명개념의 문제점을 밝히고 새로운 생명개념이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현대 과학적 생명개념은 진화론과 유전자 이론을 바탕에 두고 생물학의 분야를 넘어서 인간의...
본 논문은 현대 과학적 생명개념의 문제점을 밝히고 새로운 생명개념이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현대 과학적 생명개념은 진화론과 유전자 이론을 바탕에 두고 생물학의 분야를 넘어서 인간의 사회, 정치, 윤리에 관한 학문영역까지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러한 영향은 단순한 이론적인교류를 넘어선 과학적 생명개념을 통한 환원주의를 표방한다. 따라서 과학적 생명개념은 다양한 학문영역의 토대로 여겨지며 그러한 이론들을포섭하려는 시도를 한다. 그러나 이러한 시도가 과연 정당한가는 검토되어야 할 문제이다. 왜냐하면 과학적 생명개념이 정당한 개념인지가 의문시되기 때문이다. 현대 과학적 생명개념이 분명 진화론과 유전자 이론의발전과 더불어 형성된 개념이라는 것은 분명하지만 이 개념이 앞선 두이론으로부터 명확한 지지를 받을 수 있는 개념인지는 오히려 불분명하다. 그렇기 때문에 본 논문은 이러한 불분명한 점을 밝혀내어 현대 과학적 생명개념이 결코 환원주의적 모델의 토대가 될 수 없으며 오히려 본원적인 생명현상을 사상시키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려고 한다. 그리고 새로운 생명개념에 대한 연구 가능성을 어디서 찾을 수 있을지 모색해 볼것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aim of this paper is to disclose the problems of a modern scientific concept of life and to claim that we need to define a new concept of life. The modern scientific concept of life which was based on theories of evolution and gene has exerted an ...
The aim of this paper is to disclose the problems of a modern scientific concept of life and to claim that we need to define a new concept of life. The modern scientific concept of life which was based on theories of evolution and gene has exerted an effect on the domains of knowledge of human society, politics and ethics beyond the realm of biology. This effect claims to support reductionism through the modern scientific concept of life, which exceeds simple theoretical exchanges. Therefore, there are attempts to embrace other domains of knowledge through this concept which is regarded as a foundation for modern science. But whether this attempt is reasonable or not should be carefully reexamined because there are reasons to doubt some justifications of the scientific concept of life. Though it is evident that the scientific concept of life was developed by theories of evolution and gene, it is obscure whether this concept is supported by these theories. This being so, I will try to explain why this concept is obscure and that this concept is deficient to be foundation of reductionism and eliminates phenomena of life. Then, I will examine where we can seek for the possibility of a new concept of life.
참고문헌 (Reference)
1 서은국, "행복의 기원" 21세기 북스 2014
2 정지숙, "초등과학 개념사전" 아울북 2010
3 데이비드 슬론 윌슨, "진화론의 유혹" 북스토리 2009
4 에른스트 마이어, "진화론 논쟁" 사이언스 북스 1998
5 로저 트리그, "인간 본성과 사회생물학" 궁리 2007
6 이정희, "유전자 개념의 역사" 나남 2010
7 리처드 도킨스, "에덴의 강" 사이언스북스 2005
8 움베르또 마투라나, "앎의 나무" 갈무리 2013
9 최종덕, "생물철학" 생각의 힘 2014
10 에르빈 류뢰딩거, "생명이란 무엇인가" 한울 2004
1 서은국, "행복의 기원" 21세기 북스 2014
2 정지숙, "초등과학 개념사전" 아울북 2010
3 데이비드 슬론 윌슨, "진화론의 유혹" 북스토리 2009
4 에른스트 마이어, "진화론 논쟁" 사이언스 북스 1998
5 로저 트리그, "인간 본성과 사회생물학" 궁리 2007
6 이정희, "유전자 개념의 역사" 나남 2010
7 리처드 도킨스, "에덴의 강" 사이언스북스 2005
8 움베르또 마투라나, "앎의 나무" 갈무리 2013
9 최종덕, "생물철학" 생각의 힘 2014
10 에르빈 류뢰딩거, "생명이란 무엇인가" 한울 2004
11 한스 요나스, "생명의 원리" 아카넷 2001
12 최재천, "사회생물학 대논쟁" 이음 2011
13 에드어드 윌슨, "사회생물학" 민음사 1993
14 수전 블랙모어, "밈" 바다출반사 2010
15 존 올콕, "다윈 에드워드 윌슨과 사회생물학의 승리" 동아시아 2013
16 Heidegger, Martion, "die Grundbegriffe der Metaphisik" Vittorio Klostermann Gmbh 1983
17 Avery, Oswald T., "Studies on the Chemical Nature of the Sunstance Inducing Transformation of Pneumococcal Types" 79 : 137-158, 1944
18 Heidegger, Martion, "Sein und Zeit" Vittorio Klostermann Gmbh 1977
19 Watson, James D., "Molecular Structure of Nucleic Acids" 171 : 737-738, 1953
20 Husserl, Edmund, "Die Krisis der europäischen Wissenschaft und die transzendentale Pänomenologie" MARTINUS NIJHOFF 1976
21 Maturana, Humberto R, "Autopoiesis and Cognition" D.Reidel Publishing Company 1980
22 Ablondi, Fred, "Automata, living and non-lining : Decartes’ mechanical biology and his criteria for life" 13 (13): 179-186, 1998
일반논문 : 희비극의 제 3의 장르로서의특징에 대한 고찰 -셰익스피어 극작품 분류를 중심으로-
일반논문 : 『토끼 아저씨와 멋진 선물』을 통해 본 그림책의 스토리텔링
일반논문 : 근대 중국 영화제작사의 지배구조와 운영 -“실업부(實業部)”와 “경제부(經濟部)” 등기기록을 중심으로-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3-02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Humanities |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3-07-29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인문과학연구소 -> 인문학연구원영문명 : Research Institute for Humanities -> Institute for Humanities | ![]() |
201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 ![]() |
2012-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 ![]()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 ![]()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 ![]()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4 | 0.4 | 0.39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35 | 0.35 | 0.858 | 0.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