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王竹에 있어서의 成長因子間의 相關分析 = On the Correlation of Principal Growth Factors Phyllostachys bambusoides Sieb. et Zucc.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202256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以上의 試驗分析에서 얻은 結果을 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竹稈의 最大節間長 및 枝下高의 稈高에 대한 大略的인 相對的 位置는 各各 稈高의 1割 8分, 4割 및 4割 9分으로서 最大節間은 眠...

      以上의 試驗分析에서 얻은 結果을 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竹稈의 最大節間長 및 枝下高의 稈高에 대한 大略的인 相對的 位置는 各各 稈高의 1割 8分, 4割 및 4割 9分으로서 最大節間은 眠高(1.5cm)와 1/4高사이에, 最長節間은 1/4高와 中央高사이에, 枝下高는 中央高의 直下에 占在한다는 事實이 確認되었다.
      2. 旣成의 眠高周圍 및 同節間長에 關한 稈高方程式(1971)은 ta, tb가 危險率 5%에서 다같이 有意性이 없음으로써 적合하였다(Table 1).
      3. 最大周圍(xc), 最長節間長(wl), 枝下高(zh) 및 稈高(y)間의 各種 相關에 있어서 相關係數가 γyzh=0.919(매우 有意的), γyxc=0.973(매우 有意的), γxczh=0.919 (매우 有意的), γywl=0.759(매우 有意的), γyxc.zh=0.805 (매우 有意的), γyxc.wl=0.940(매우 有意的), Ry.xczh=0.973(매우 有意的), Ry.xcwl=0.975 (매우 有意的) 등과 같이 나타남으로써 稈高와 가장 密接한 關係를 가지며 이에 最大의 影響을 주는 成長因子는 最大周園이며 또한 最大周圍이며 또한 最大周圍는 枝下高와도 高度의 相關이 있음을 알 수 있다.
      4. 回歸分析의 結果에서 얻은 最大周圍(xc) 및 最長節間長(wl)에 關한 稈高(y)의, 最大周圍(xc) 및 枝下高(zh)에 關한 稈高(y)의 回歸方程式은 各各 다음과 같다.
      yi=2.8029+0.3737 xci+0.2347zhi‥‥‥‥‥‥‥‥‥(1)
      yi=1.6180+0.3959 xci+0.0588wli‥‥‥‥‥‥‥‥‥(2)
      調製된 稈高의 回歸方程式은 回歸性의 檢定結果 β, γ가 各各 β≠0, γ≠0, β≠0 ≠γ로 되어 部分 또는 全回歸가 有意的이므로 回歸性이 있는 것으로 判明되었다. 따라서 本回歸方程式 (1), (2)는 指定因子 xc, zh, wl에 의해서 稈高 y를 推定할 수있는 能力이 있음을 알 수 있다. 本回歸方程式의 適合度의 尺度인 推定量의 標準誤差 또는 百分率誤差는 Sy.xczh=0.577, Sy.xczh(%)=5.73 및 Sy.xewl=0.547, Sy.xcwl(%)=5.43으로 매우 精度가 높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nalyzing the correlation and regression of principal growth factors in Phyllostachys bambusoides Sieb, et Zucc. in Tamyang district, and testing the suitability of the established regression eguation (y=-0.687+0.335x+0.206z) for it, auther summarizes...

      Analyzing the correlation and regression of principal growth factors in Phyllostachys bambusoides Sieb, et Zucc. in Tamyang district, and testing the suitability of the established regression eguation (y=-0.687+0.335x+0.206z) for it, auther summarizes the results as follows.
      1. As the relative height of the largest internode to culm height is generally about 18%, the longest internode; about 40% and clear length; about 49%, the largest covers from eye-height (1.5m) to 1/4-height, the longest from 1/4-height to 1/2-height and clear length under 1/2-height.
      2. The established culm height equation based on circle and internode-length at eye-hight (1971) is non-significant in both ta and tb at 5% critical rate (significance level).
      3. The correlative coefficients of the largest circle (xe), the longest internode (wl), clear length (zh) and culm height (y) are as follows;
      γyzh=0.919(highly significant), γyxc=0.973(highly significant),
      γywl=0.759(highly significant), γxczh=0.919(highly significant),
      γyxc.zh=0.805(highly significant), γyxc.wl=0.940(highly significant), Ry.xczh=0.973(highly significant), Ry.xcwl=0.975(highly significant).
      Judging from above facts,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largest internode has the closest relation to culm height and also to clear length. But especially the largest internode has highly an effect on the culm height.
      4. 1) The following are regression eguations of culm height based on the largest circle (xc) and the longest internode length (wl), and on the largest and clear length (zh)
      yi=2.8029+0.3737 xci+0.2347zhi‥‥‥‥‥‥‥‥‥(1)
      yi=1.6180+0.3959 xci+0.0588wli‥‥‥‥‥‥‥‥‥(2)
      2) By testing of the above equations, regression coefficients are as follows;
      β≠0, γ≠0, β≠0 ≠γ
      3) Standard error and standard error by percentage of regression equation precision;
      Sy.xczh=0.577, Sy.xczh(%)=5.73
      Sy.xewl=0.547, Sy.xcwl(%)=5.43
      Seeing above facts,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equations have great precision.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