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그동안 철학적 사고에 머물러 있던 그림자 노동의 개념을 디지털 기술 변화에 따른 새로운 모습의 그림자 노동으로 고려하고, 실증적 연구수준으로 끌어내려 학술적으로 이 현상...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G3752134
2018년
Korean
그림자노동 ; Shadow Work ; Ethnography ; Grounded Theory Development ; Mixed Methods ; 에스노그라피 ; 근거이론방법 ; 혼합방법론
한국연구재단(NRF)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그동안 철학적 사고에 머물러 있던 그림자 노동의 개념을 디지털 기술 변화에 따른 새로운 모습의 그림자 노동으로 고려하고, 실증적 연구수준으로 끌어내려 학술적으로 이 현상...
본 연구는 그동안 철학적 사고에 머물러 있던 그림자 노동의 개념을 디지털 기술 변화에 따른 새로운 모습의 그림자 노동으로 고려하고, 실증적 연구수준으로 끌어내려 학술적으로 이 현상을 설명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디지털 기술의 따른 그림자 노동이 무엇인지, 어떤 모습을 하고 있는지, 어디서 찾을 수 있는지, 그리고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고민할 필요가 있다. 기존연구에서는 다루지 못했던 그림자 노동 현상을 설명하기 위해서 본 연구는 에스노그라피 기법과 근거이론방법을 활용하여 디지털 기술 활용에 따른 그림자노동의 메커니즘을 규명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그동안 철학적 사고수준에서 머물던 그림자 노동의 개념을 디지털 기술 환경에서의 그림자 노동 현상으로 그 연구수준을 구체화하고, 해당 현상의 발생과정을 면밀히 관찰함으로써 MIS 연구분야에서의 그림자 노동에 대한 학술적 토대를 구축한다는 점에서 연구 주제의 창의성을 보유하고 있다. 더불어, 연구방법론 측면에서 에스노그라피와 근거이론방법의 활용은 그림자 노동에 대한 개인의 인식과 실제 행동을 모두 조사하고, 차이가 존재하는 경우 그 의미는 무엇인지까지 성찰하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보여준다는 측면에서 연구방법론상에서도 기존 연구들과 대비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