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문화적 유전자(밈, meme)의 원형적 구조와 그 전승 양상을 밝히는 것에 목표를 두고 있다. 문화적 유전자의 원형적 구조를 밝히기 위해 주목하는 것은 ‘민담’이며, 문화적 유...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G3666401
2017년
Korean
한국연구재단(NRF)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문화적 유전자(밈, meme)의 원형적 구조와 그 전승 양상을 밝히는 것에 목표를 두고 있다. 문화적 유전자의 원형적 구조를 밝히기 위해 주목하는 것은 ‘민담’이며, 문화적 유...
본 연구에서는 문화적 유전자(밈, meme)의 원형적 구조와 그 전승 양상을 밝히는 것에 목표를 두고 있다. 문화적 유전자의 원형적 구조를 밝히기 위해 주목하는 것은 ‘민담’이며, 문화적 유전자의 전승 양상을 살피기 위해 주목하는 것은 ‘영상 매체’이다. 영상 매체를 통해 전달되는 텍스트 중에서도 특히 대중에게 강력한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는 ‘영화’에 초점을 맞추어 문화적 유전자의 전승 양상을 살피고자 한다. 본 연구는 크게 3단계로 나뉘어 진행된다. 1단계는 자료 수집 단계이다. 우선 본 연구의 대상이 되는 자료 수집의 기준을 마련하는 일이 필요하다. ‘문화적 유전자’의 기본 조건은 ‘변이’와 ‘선택’, ‘보유’에 기반한 진화 알고리즘을 수행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1차적으로 여러 편의 각편을 가지고 있는 민담에 주목하고자 한다. 각편의 양상이 다양하게 확인되는 민담일수록 변이와 선택, 보유에 기반한 진화 알고리즘을 발견하기가 수월할 것이기 때문이다. 각편의 수가 많은 민담은 그만큼 스스로를 복제하는 능력이 강한, 생존가가 높은 문화적 유전자일 가능성이 높다. 다음으로 1차 선정된 민담과 비교 대상이 될 수 있는 영화 자료를 수집해야 한다. 영상 매체로 전달되고 있는 수많은 텍스트 가운데 우선적으로 영화에 초점을 맞춘 것인데, 영화 외에도 영상 매체를 통해 전달되는 다른 텍스트 또한 연구의 대상이 될 수 있다. 민담과 비교 대상이 될 수 있는 영화 자료는 우선 ‘문제의식’, ‘관계 구도’ 측면에 초점을 맞추어 선정될 수 있다. 보다 세밀한 비교 및 분석은 2단계에서 이루어지며, 2단계에서 심층 분석을 통해 연구 대상은 보완되거나 수정될 수 있다. 자료 수집 단계에서는 민담과 영화 뿐 아니라 그 외의 매체에 대한 관심을 폭넓게 가져야 할 것이다. 물론 초점이 되는 것은 민담과 영화이지만, 민담과 영화를 중심으로 한 문화적 유전자의 전승 양상을 입체적으로 살피기 위해 다른 매체를 보완적으로 검토하는 것이다. 2단계는 자료 분석 단계이다. 본격적으로 문화적 유전자의 원형적 구조를 분석하는 단계로서, 민담과 영화의 구조적 상동성 및 차이점을 분석하는 데 초점을 맞춘다. 사람들이 오랫동안 기억할 수 있는 구조로 구성된 ‘민담’은 기존 연구에서 한계로 남아 있는 문화적 유전자의 ‘실체’를 ‘구체화’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 문화적 유전자와 관련된 연구에서 가장 중요한 한계점으로 지적되는 것은 바로 문화적 유전자의 단위를 규정할 수 없다는 문제이다. 문화적 유전자에 대한 다양한 정의들이 논의되어 왔지만, 정작 문화적 유전자의 실체가 무엇이냐 하는 문제에 있어서는 논의가 진척되지 못한 상황이다. 효과적인 문화적 유전자일수록 충실도가 뛰어난 ‘장기기억’을 만들어 내는데 ‘민담’이야말로 ‘장기기억’이 가능한 단위를 형성하는 아이디어의 단위를 가장 구체적으로 보여줄 수 있는 자료이다. 민담은 다른 어떤 장르보다도 사람들이 오랫동안 기억할 수 있는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민담의 심층 구조를 분석하는 일은 문화적 유전자의 원형적 구조를 밝히면서, 사람들의 마음에 장기간 영향을 미치는 정보의 패턴을 구체화하는 작업이 될 수 있다. 3단계는 자료 개발 단계이다. 2단계에서 이루어진 민담과 영화의 구조적 상동성 및 차이점 분석을 기반으로 하여 ‘문화적 유전자 지도(meme map)’를 개발할 수 있다. 문화적 유전자의 전파 경로를 파악하는 것은 문화적 진화 과정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정보를 제공해 준다. 또한 민담과 영화를 활용한 문화적 유전자 지도의 구축은 ‘성공적인 문화적 유전자’의 기준 마련과 우리 사회에 요구되는 문화의 발전 방향을 가늠하는 데 중요한 지침이 될 수 있다. 문화적 유전자 지도를 개발하는 최종 목표는 우리에게 유익한, 우리에게 필요한 ‘좋은 문화적 유전자’의 개발을 이끌어 내는 데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