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지역단위 장애 영유아 교육의 실천 = The Practice of Special Education for Handicapped Young Child and Infant Based on Communi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19870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연구자는 지역단위 장애 영유아 교육의 당위성, 우리나라 장애영유아 교육의 실태, 그리고 경주지역을 단위로 하여 장애 영유아 당사자들의 교육적 인식, 아이꿈터어린이집의 구체적 실천...

      연구자는 지역단위 장애 영유아 교육의 당위성, 우리나라 장애영유아 교육의 실태, 그리고 경주지역을 단위로 하여 장애 영유아 당사자들의 교육적 인식, 아이꿈터어린이집의 구체적 실천사례 등을 살펴보았다. 경주지역 장애 영유아 교육에 대한 자료조사와 실천을 통해 내린 결론은 아래와 같다. 첫째, 장애 영유아 교육은 통일된 공적 체계로 운영되어야 한다. 둘째, 장애 영유아 교육의 지역별 편차를 줄여야 한다. 셋째, 지역단위에서 장애 영유아를 조기에 발견하고 적절한 교육적 배치를 할 수 있는 체계가 마련되어야 한다. 넷째, 중소도시와 농어촌지역의 장애 영유아 통합교육을 정상화하여야 한다. 다섯째, 장애 영유아 교육은 수혜당사자의 요구 중심으로 지원되어야 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 looked about the rationality and reality of special education for handicapped young child and infant based on community. I investigated educational cognitions of the persons who are concerned to it, and presented the concrete practices of special ed...

      I looked about the rationality and reality of special education for handicapped young child and infant based on community. I investigated educational cognitions of the persons who are concerned to it, and presented the concrete practices of special education institution for young child and infant, “아이꿈터”. I concluded the next five direction from that kind of investigations and practices of special education for handicapped young child and infant based on community. First, the special education for handicapped young child and infant should be administrated in unified public system of local community. Second, the regional inequality of special education for handicapped young child and infant should be minimized. Third, the system which finds the handicapped young children and infants in early age and gives proper educational arrangements to them should be made based on local community. Fourth, the integration education for handicapped young child and infant in the small and middle cities, and farming and fishing communities should be normalize. Fifth, the special education for handicapped young child and infant should be supported to satisfy the need of the person who are concerned to i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안수경, "한현민(2005) 치료교육의 실태 및 개선방안 연구" 국립특수교육원 2005

      2 김민남, "한국교육론" 경북대학교 출판부 168-169, 2006

      3 박원희, "특수교육과 장애인복지의 이해" 양서원 2003

      4 정동영, "특수교육 요구아동 출현율 조사연구" 국립특수교육원 2001

      5 교육인적자원부, "특수교육 연차보고서" 36 (36): 2006

      6 신현기, "통합교육의 이론과 실제" 박학사 2005

      7 김정권, "탈산업사회와 특수교육" 특수교육 2003

      8 남상순, "장애전담 보육시설의 이용실태 및 만족도에 관한 연구" 영남대학교 행정대학원 2006

      9 이상희, "장애인교육관련법 제정에 따른 장애아 보육 과제" 한국보육시설연합회 35 :

      10 법제처,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 제정 2007. 5. 25. 법률 제 8483호, (2007.11.3), http://www.moleg.go.kr"

      1 안수경, "한현민(2005) 치료교육의 실태 및 개선방안 연구" 국립특수교육원 2005

      2 김민남, "한국교육론" 경북대학교 출판부 168-169, 2006

      3 박원희, "특수교육과 장애인복지의 이해" 양서원 2003

      4 정동영, "특수교육 요구아동 출현율 조사연구" 국립특수교육원 2001

      5 교육인적자원부, "특수교육 연차보고서" 36 (36): 2006

      6 신현기, "통합교육의 이론과 실제" 박학사 2005

      7 김정권, "탈산업사회와 특수교육" 특수교육 2003

      8 남상순, "장애전담 보육시설의 이용실태 및 만족도에 관한 연구" 영남대학교 행정대학원 2006

      9 이상희, "장애인교육관련법 제정에 따른 장애아 보육 과제" 한국보육시설연합회 35 :

      10 법제처,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 제정 2007. 5. 25. 법률 제 8483호, (2007.11.3), http://www.moleg.go.kr"

      11 이소현, "장애유아 통합유치원 교육과정" 학지사 2001

      12 조윤경, "장애아보육확충방안" 보건복지부 2002

      13 이계윤, "장애아동을 둔 취업모의 시간관리전략과 양육부담감의 관계에 관한 연구" 숭실대학교 2005

      14 최민숙, "장애아동 교육을 위한 가족참여와 지원" 학지사 2002

      15 이창미, "장애아 통합보육론" 교육과학사 2003

      16 이미선, "장애 영·유아 조기발견 및 진단·평가 방안 연구" 국립특수교육원 2001

      17 Mulhall, S., "자유주의와 공동체주의" 한울아카데미 2001

      18 한국보육시설연합회, "일반보육시설에 입소된 장애유아의 통합보육 지원모형개발을 위한 연구사업" 한국보육시설연합회 2006

      19 유수옥, "유아특수 교육론" 학지사 2005

      20 박화문, "세계특수교육의 신동향" 학지사 1999

      21 민천식, "사회과학 패러다임 이동과 특수교육의 재구조화" 대구대학 대학원 1997

      22 Dewey, J, "민주주의와 교육" 교육과학사 1996

      23 김민남, "도덕발달의 철학" 교육과학사 2000

      24 김민남, "도덕발달의 철학" 교육과학사 2000

      25 아이꿈터어린이집, "내부자료"

      26 경주시, "내부 자료"

      27 경주시 보건소, "내부 자료"

      28 정세구, "공동체주의 교육" 교육과학사 2002

      29 중앙보육정보센터, "http://www.educare.or.kr, 장애아 보육시설"

      30 중앙보육정보센터, "http://www.educare.or.kr, 보육통계"

      31 경북 장애인교육권연대 카페, "http://cafe.daum.net/gyeungbuksuho10042003-2006년 경북지역 특수교사 임용현황"

      32 Walzer, M., "Toword a Global Civil Society" Bergbabn Books 1998

      33 Etzioni, A., "The Spirit of Community" Fontana Press 1993

      34 Dewey, J., "The Scool and Society 32"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13

      35 Etzioni, A., "The New Golden Rule" Basicbooks 1997

      36 Miller, D., "Pluralism, Justice, and Equality" Oxford University Press 1995

      37 이미선, "OECD 특수교육 통계 및 지표" 국립특수교육원 2005

      38 박현정, "OECD 교육지표로 본 한국교육의 실태분석" 한국교육개발원 2004

      39 Rawls, J, "Justice as Fairness a Restatement 42" Harvard University Press 2001

      40 Shor, I., "A Pedagogy for Liberation 135" Bergin & Garvey Publishers 1987

      41 한만길, "21세기 교육복지 발전방안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000

      42 경상북도 교육청, "2007년 특수학급 설치교 현황(유․초등학교)" 유초등학교 2007

      43 경상북도 교육청, "2007년 특수학급 설치교 현황(유․초등학교)" 유초등학교 2007

      44 교육인적자원부, "2007년 특수교육운영계획"

      45 전국장애아동보육시설협의회, "2007년 정기총회 자료집" 전국장애아동보육시설협의회 2007

      46 여성가족부, "2007년 보육사업안내"

      47 경상북도 교육청, "2007년 경북 특수교육 운영계획"

      48 교육인적자원부, "2006년도 특수교육실태조사서, 66" 200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2-04 학회명변경 한글명 : 대구대학교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영문명 : Daegu University Research Institute of the Korea Special Education -> Research Institute of the Korea Special Education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4-05-23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 대구대학교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영문명 : Research Institute of the Korean Special Education -> Daegu University Research Institute of the Korea Special Education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8-16 학회명변경 한글명 : BK21특수교육교육연구단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영문명 : Bk21 Project Force Of Special Education -> Research Institute of the Korean Special Education
      KCI등재
      2006-06-22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특수교육저널: 이론과 실천 -> 특수교육저널:이론과 실천 KCI등재
      2006-05-18 학회명변경 한글명 : BK21특수교육교육연구단 -> 대구대학교 대학원 특수교육학과
      영문명 : Bk21 Project Force Of Special Education -> Daegu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Special Education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33 1.33 1.2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8 1.18 1.518 0.4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