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사회문화적 무형자본을 바탕으로 한 ‘구별짓기’의 양태와 함의 = 의복 관련 지식과 경험에 대한 구술을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241611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의 목적은 종부와 종손, 반가(班家) 구성원들의 의복 관련 구술 속에서 과거에 존재했던 계급적 차이와 그로부터 형성된 지적(知的)ㆍ경험적 차이에 관한 인식을 확인하고 이를 기반으로 한 ‘구별짓기’의 양태를 유형화하여 그 특성과 합의를 살펴보는 데 있다. 특히 반가 구성원으로서 경험의 유사성과 동질성을 가진 제보자들의 구술에 주목하여 발화의 공동성을 확인함으로써 의복 관련 지식과 기억, 경험에 의해 형성 된 인식의 ‘경계’와 ‘구별’을 의생활이라는 일상 영역에서 규명하는 데 의미를 두는 것이다. 반가의 구성원인 제보자들은 구술 과정에서 자신들이 경험했거나 제작했던 의복의 명칭과 사용 방법, 종류에 관한 지식은 물론 옷차림의 범절, 의례와 의례복에 관한 인식, 의복 재료의 생산과 제작 경험 등을 근거로 타인 혹은 다른 집단에 대한 구별짓기를 시도한다. 이러한 사례는 지나간 시대의 계급적 기반 속에서 형성된 의생활에 관한 경험과 지식이 현재의 상황에서 사회문화적 무형자본으로 작동하여 나타나는 구별짓기의 한 단면이라고 할 수 있다.
      번역하기

      이 연구의 목적은 종부와 종손, 반가(班家) 구성원들의 의복 관련 구술 속에서 과거에 존재했던 계급적 차이와 그로부터 형성된 지적(知的)ㆍ경험적 차이에 관한 인식을 확인하고 이를 기반...

      이 연구의 목적은 종부와 종손, 반가(班家) 구성원들의 의복 관련 구술 속에서 과거에 존재했던 계급적 차이와 그로부터 형성된 지적(知的)ㆍ경험적 차이에 관한 인식을 확인하고 이를 기반으로 한 ‘구별짓기’의 양태를 유형화하여 그 특성과 합의를 살펴보는 데 있다. 특히 반가 구성원으로서 경험의 유사성과 동질성을 가진 제보자들의 구술에 주목하여 발화의 공동성을 확인함으로써 의복 관련 지식과 기억, 경험에 의해 형성 된 인식의 ‘경계’와 ‘구별’을 의생활이라는 일상 영역에서 규명하는 데 의미를 두는 것이다. 반가의 구성원인 제보자들은 구술 과정에서 자신들이 경험했거나 제작했던 의복의 명칭과 사용 방법, 종류에 관한 지식은 물론 옷차림의 범절, 의례와 의례복에 관한 인식, 의복 재료의 생산과 제작 경험 등을 근거로 타인 혹은 다른 집단에 대한 구별짓기를 시도한다. 이러한 사례는 지나간 시대의 계급적 기반 속에서 형성된 의생활에 관한 경험과 지식이 현재의 상황에서 사회문화적 무형자본으로 작동하여 나타나는 구별짓기의 한 단면이라고 할 수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identity aspects of 'distinction' based on knowledge and experience regarding costume as well as the memory about production and manufacture of costume by borrowing 'distinction' and 'Habitus' concept of Bourdieu.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knowledge about kinds and purposes of costume which upper class of Korean traditional society wore was used as a basic reason of distinction. Knowledge and experience regarding costume clearly showed the daily lives of upper class and class distinction. Second, 'distinction' was carried out according to their knowledge and experience concerning official costumes and ceremonies which upper class attended. Upper class people conducted confucian rites based on the four ceremonial occasions of coming of age, wedding, funeral and ancestral rites and they knew manners and etiquette of every rite and also how to utilize their formal costume. This was an significant reason that distinguishes them from other classes. Third, 'distinction' was also carried out according to technical skills to produce clothing materials and manufacture costume. Particularly, ladies from upper class emphasized they had derailed knowledge about the production process of clothing materials. Also, they believed the knowledge was worthy to show their virtues as a wife of the eldest son or a lady from a noble family. They usually attempted to do 'distinction' against women from other classes or women in the same class who were contemporary with them. Conclusively, 'distinction' was formed on the basis of hierarchical, economic, experiential priority in the past.
      번역하기

      This study aims to identity aspects of 'distinction' based on knowledge and experience regarding costume as well as the memory about production and manufacture of costume by borrowing 'distinction' and 'Habitus' concept of Bourdieu. The results of thi...

      This study aims to identity aspects of 'distinction' based on knowledge and experience regarding costume as well as the memory about production and manufacture of costume by borrowing 'distinction' and 'Habitus' concept of Bourdieu.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knowledge about kinds and purposes of costume which upper class of Korean traditional society wore was used as a basic reason of distinction. Knowledge and experience regarding costume clearly showed the daily lives of upper class and class distinction. Second, 'distinction' was carried out according to their knowledge and experience concerning official costumes and ceremonies which upper class attended. Upper class people conducted confucian rites based on the four ceremonial occasions of coming of age, wedding, funeral and ancestral rites and they knew manners and etiquette of every rite and also how to utilize their formal costume. This was an significant reason that distinguishes them from other classes. Third, 'distinction' was also carried out according to technical skills to produce clothing materials and manufacture costume. Particularly, ladies from upper class emphasized they had derailed knowledge about the production process of clothing materials. Also, they believed the knowledge was worthy to show their virtues as a wife of the eldest son or a lady from a noble family. They usually attempted to do 'distinction' against women from other classes or women in the same class who were contemporary with them. Conclusively, 'distinction' was formed on the basis of hierarchical, economic, experiential priority in the past.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Ⅰ. 머리말
      • Ⅱ. 의복 관련 지식과 경험을 바탕으로 한 구별짓기의 양태
      • Ⅲ. 맺음말 : 의복 관련 구술에서 나타나는 구별짓기의 특성과 함의
      • 참고문헌
      • [국문초록]
      • Ⅰ. 머리말
      • Ⅱ. 의복 관련 지식과 경험을 바탕으로 한 구별짓기의 양태
      • Ⅲ. 맺음말 : 의복 관련 구술에서 나타나는 구별짓기의 특성과 함의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홍성민, "피에르 부르디외와 한국사회" 살림 2004

      2 오현철, "차이를 육화시키는 자본들" 한국정치연구회 4 : 1998

      3 김현미, "인간의 행위와 공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Pierre Bourdieu의 ‘아비투스’개념을 중심으로-" 지리교육학회 37 : 1997

      4 조희진, "유교적 맥락 속에서의 도포(道袍)와 남성, 그리고 여성 -경북 안동 인근 지역의 사례를 중심으로-" 실천민속학회 7 : 201-255, 2005

      5 김성례, "여성주의 구술사의 방법론적 성찰" 한국문화인류학회 35 (35): 2002

      6 유철인, "생애사와 신세타령:자료와 텍스트의 문제" 한국문화인류학회 22 : 1990

      7 윤택림, "새로운 역사 쓰기를 위한 구술사 연구방법론" 아르케 2006

      8 김상준, "부르디외, 콜만, 퍼트남의 사회적 자본 개념 비판" 한국사회학회 38 (38): 63-95, 2004

      9 리처드 M 도슨, "민속조사방법론" 전남대학교출판부 1998

      10 홍성민, "문화와 아비투스" 나남출판 2000

      1 홍성민, "피에르 부르디외와 한국사회" 살림 2004

      2 오현철, "차이를 육화시키는 자본들" 한국정치연구회 4 : 1998

      3 김현미, "인간의 행위와 공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Pierre Bourdieu의 ‘아비투스’개념을 중심으로-" 지리교육학회 37 : 1997

      4 조희진, "유교적 맥락 속에서의 도포(道袍)와 남성, 그리고 여성 -경북 안동 인근 지역의 사례를 중심으로-" 실천민속학회 7 : 201-255, 2005

      5 김성례, "여성주의 구술사의 방법론적 성찰" 한국문화인류학회 35 (35): 2002

      6 유철인, "생애사와 신세타령:자료와 텍스트의 문제" 한국문화인류학회 22 : 1990

      7 윤택림, "새로운 역사 쓰기를 위한 구술사 연구방법론" 아르케 2006

      8 김상준, "부르디외, 콜만, 퍼트남의 사회적 자본 개념 비판" 한국사회학회 38 (38): 63-95, 2004

      9 리처드 M 도슨, "민속조사방법론" 전남대학교출판부 1998

      10 홍성민, "문화와 아비투스" 나남출판 2000

      11 홍성호, "문화사회학 방법론과 역사연구-삐에르 부르디외의 관점을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8 : 1998

      12 김남희, "구술생애담에 나타난 자기 표현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국어교육과 36 : 2008

      13 이용기, "구술사의 올바른 자리매김을 위한 제언" 역사문제연구소 (58) : 364-384, 2002

      14 함한희, "구술사와 문화연구" 한국문화인류학회 33 (33): 2000

      15 유철인, "구술된 경험읽기: 제주 4.3 관련 수형인 여성의 생애사" 한국문화인류학회 37 (37): 3-39, 2004

      16 삐에르 부르디, "구별짓기:문화와 취향의 사회학 下" 새물결 1996

      17 삐에르 부르디, "구별짓기:문화와 취향의 사회학 上" 새물결 1995

      18 남상희, "공간과 시간을 통해 본 도시와 생애사 연구:독일 도시의 사례를 중심으로" 한울아카데미 2001

      19 송도영, "(주민생애사를 통해 본)20세기 서울 현대사:서울 주민 네 사람의 살아온 이야기" 서울시립대학교 부설 서울학연구소 200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2 0.52 0.5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9 0.64 0.965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